메뉴 건너뛰기


먹거리

Biking2006.01.19 12:44조회 수 342추천 수 20댓글 0

    • 글자 크기


수입밀 빵에도 곰팡이가 필까?


"수입밀에서 가장 큰 문제는 수확 후 농약이니까, 농약 중독이 일으킬 수 있는 일은 다 일으킨다. 면역력 저하, 신경 장애, 각 기관 기능 저하로 인해 감기 잘 걸리고, 아토피 심해지고...(본문 중에서)"


우리밀살리기운동본부에서 한 가지 실험을 한 적이 있다.
우리밀과 수입밀가루를 각각 병에 담고 그 위에 살아있는 벌레를 넣어 본 것이다. 수입밀가루의 경우에는 몇 시간 이내에 벌레들이 다 죽어버렸다. 그러나 우리밀 밀가루에 넣은 벌레들은 며칠 동안 벌레들이 살아있었다. 수입 소맥분이 나쁘다는 것은 누구나 잘 알지만, 왜 어떻게 얼마나 나쁜지는 상세히 모르시는 경우가 많다. 왜 나쁠까?

우리 나라에 수입되는 밀은 거의 전량 미국에서 온다.
미국에서는 밀농사를 지을 때 수출용과 내수용을 구분한다. 수출용은 내수용보다 더 많은 농약과 화학비료를 써서 농사짓기 때문에 영양은 빈약하며 유해 화학물질 함량은 훨씬 더 많다.

수출용 중에서도 여러 질이 있어서 단가의 차이도 있고, 그 밀을 수입하는 국가에서 철저하게 검역을 하는 경우(일본처럼) 독성이 강한 농약을 함부로 쓰지는 않는다. 유감스럽게도 우리 나라에 수입되는 밀은 생산 및 거래 단가가 낮은 편에 속하는 저급한 밀이며, 검역을 철저히 하지 않으니까 아무래도 그만큼 유해물질이 함부로 쓰여졌을 가능성은 더 커진다.

생산, 즉 밀 재배 과정에서 쓰여지는 농약은 햇빛에, 그리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어느 정도 분해된다. 그러나 수출되는 밀은 장거리, 장기간의 유통과정을 거치므로 밀 농사를 다 지어 수확하고 출하해서 수출을 위해 선적하기 직전에 엄청난 양의 농약을 밀 위에 직접 뿌린다. 그래야 선박으로 오래 운송하여 수입하는 국가에서 오래 유통되더라도 벌레가 먹거나 대장균이 번식하지 않기 때문이이다.

이렇게 수확한 후에 뿌리는 농약을 '포스트 하비스트'('수확 후'라는 뜻)라고 부르는데 미국의 경우 보통은 선적지 가까운 곳의 무인시설에서 컨베이어 벨트 위에 밀을 그대로 놓고 움직이는 벨트 위의 밀에다가 위에서 농약을 분사하여 골고루, 흠뻑 뿌리는 장치를 이용하고 있다.

이러한 밀이 얼마나 해롭고 사람에게는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수입밀에서 가장 큰 문제는 수확 후 농약이니까, 농약 중독이 일으킬 수 있는 일은 다 일으킨다. 면역력 저하, 신경 장애, 각 기관 기능 저하로 인해 감기 잘 걸리고, 아토피 심해지고, 소화 잘 안되고, 빈혈 생기고, 성격 난폭해지고, 아이들이라면 성적이 떨어지고, 어른이라면 건망증이 심해지고...

일일이 다 들 수 없을 만큼 전체적인 몸과 마음의 이상이 생길 수 있다. 이렇게 무서운 농약은 열을 가한다 해서 절대로 줄어드는 것이 아니다. 삶아도 쪄도 전혀 변함 없다. 튀긴다면 튀김 기름의 문제까지 더해져서 더 나쁜 음식이 된다. 시중에서 파는 빵 중에 방부제를 쓰지 않았다는 것이 명시된 제품들이 많이 있는데 그것은 사실이다. 방부제를 쓸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밀 자체에 농약이 충분히 많이 들어있어서 곰팡이나 세균이 번식할 여지가 없다.
한 초등학교 선생님이 아이들에게 숙제를 내주었다.
집에 곰팡이가 핀 식빵이 있으면 가져와 보라고 했다고 한다.
이제 빵은 냉장고에 넣어둘 필요가 없다.

1990년대 초반에 ‘우리밀 살리기’ 운동이 전개되었다.
그 효과로 1996년에는 2787㏊로 재배면적이 늘어나는 듯 했으나, 소비가 더 이상 늘지 않아 다시 줄기 시작했다. 그래도 요즈음 밀 재배면적이 다소나마 늘어난 것은 보리 재고가 늘어나자 정부가 보리농사를 제한하는 바람에 밀농사로 돌아섰기 때문이다. 지난해 재배면적은 3800㏊에 생산량은 1만2600t(재고 약 6000t, 농협중앙회자료), 반면에 해마다 밀 수입량은 무려 400만t(약 200만t씩 식용과 사료용)이라고 한다. 우리밀 생산량은 0.25%인 셈이다.

그런데 이마저도 소비가 늘지 않아 재고로 쌓여가고 있다고 한다.
소비를 외면하는 이유로는 유통업체와 가공업체들이 우리밀보다 3~4배 값이 싼 수입밀을 선호하는데다 생산량이 크게 늘었기 때문이다. 또, 속껍질째 도정해 다소 거친 느낌을 주기 때문이기도 하다. 어쨌든 보리대란과 함께 밀대란이 예고되는 대목이다.

수입 밀이 값 싼 이유는 또 있다.
관세율이 2%에 불과하다. 일본은 200%이고 중국은 180%다. 관세장벽을 통해 자국농업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그런데 우리 밀은 그런 방어벽도 없이 발가벗고 싸워야 하니 이길 도리가 없다. 보릿고개 시절 허기진 배를 채우자니 국민부담을 덜어주자고 수입관세를 낮췄다. 그런데 쌀이 남아도는데도 관세를 그대로 두어 밀농사를 망치고 쌀 재고도 더 쌓이게 만든다. 이렇게 가다가는 이 땅에서 우리밀이 영원히 사라지지 않을까 염려된다. (2005년 12월/우리농촌살리기공동네트워크)

이 기사는 우리농촌살리기공동네트워크/에서 옮겨왔습니다.



    • 글자 크기
똥에 대한 성찰 (by Biking) 대박이! (by ducati81)

댓글 달기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9996 오... 데낄라...1 mpzeki 2006.01.20 380
9995 못타바이크1 토토 2006.01.20 337
9994 오크 밸리3 노란자전거 2006.01.20 389
9993 줄기데낄라..3 onbike 2006.01.20 330
9992 글 6개 써버려...2 treky 2006.01.19 361
9991 똥에 대한 성찰2 Biking 2006.01.19 378
먹거리 Biking 2006.01.19 342
9989 대박이!3 ducati81 2006.01.19 369
9988 이제....1 노란자전거 2006.01.19 319
9987 이러케는 해놔야3 onbike 2006.01.19 321
9986 우씨..2 onbike 2006.01.19 362
9985 [펌 2탄] 어주구리4 노란자전거 2006.01.18 336
9984 설피밭에서1 Biking 2006.01.18 345
9983 오늘 탕춘대 가서...1 우현 2006.01.18 348
9982 행복의 나라로4 Biking 2006.01.17 410
9981 삿갓봉-천령산 다녀왔습니다.4 토토 2006.01.17 420
9980 흑.2 ducati81 2006.01.17 333
9979 [펌] 족가지마5 노란자전거 2006.01.16 344
9978 옷 좀 샀습니다...10 onbike 2006.01.16 420
9977 부산에..5 jericho 2006.01.14 455
첨부 (0)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