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초승달이 질때

Biking2004.10.19 19:27조회 수 378추천 수 32댓글 0

  • 1
    • 글자 크기






어둠이 내린 도심의 고층 빌딩 옥상 피뢰침에 초승달이 걸려있다..
걸려서 움직이지 않는 것 처럼 보이는데..
빌딩 옥상에 뛰어 올라가 걸린 초승달을 따다가 애에게 줘야겠다

[초승달이 질때]

소쩍새가 피를 쏟듯 구슬프게만 울던 늦은 봄 초저녁으로 기억된다. 산과 산이 서로 으스스하게 허리를 부비고 그들끼리 긴 가랭이를 꼬고 누운 두메인지라 해만 지면 금시 어두워졌고 솔바람이 몰고 오는 연한 한기로 미닫이를 닫아야 했다.

40리 밖 읍내에 가셨다가 돌아오시지 않은 아버님을 마중하러 나는 세 살 아래 동생을 데리고 재를 넘었다. 한참 걷다 보니 속눈썹 같던 초승달이 지고 어디를 보나 까만 어둠이 밀려오는데 열대여섯 살 소년은 갑자기 울음을 터뜨릴 것 같은 무서움에 질려 있었다. 나는 동생의 손을 꼭 잡고 뚜벅뚜벅 걸음을 옮겼다. 주먹만한 차돌을 주웠다. 그리고 그것을 땀이 나도록 쥐고 동생더러 뒤를 따라오라 했다.

여느 때같이 쇠죽 냄새가 물씬한 머슴의 등짝을 앞세우고 그 뒤를 바짝 따르며 아버님을 마중했던 밤은 그래도 든든하고 재미있었지만 그 밤처럼 풋나물 같은 두 형제만이 마중할 땐 떨리기만 했었다. 역력히 기억되는 것은 나보다 어린 동생이 훨씬 태연하고 의젓했던 것이었다. 겁을 먹다 보면 배도 고팠다. 자꾸만 커다랗게 들려 오는 부엉이 소리, 아버님의 호리한 체구에 표표한 흰 두루마기가 좀처럼 보이지 않을 때, 우린 울음을 터뜨릴 수밖에 없었다.

그 무렵 우리 집 앞을 지나는 신작로엔 하루를 두고도 겨우 산판에 드나드는 트럭 몇 대와 누룽지처럼 쇠똥으로 얼룩진 황소의 달구지들만 삐걱거릴 뿐이었다. 20리 밖엔 기차가 통했지만 겨우 서너 번, 그것도 시커먼 화차로 아득히 연결된 임시 열차까지 셈에 넣어서 그랬던 것이다.

원래 소박하셨던 아버님은 읍내 출입이 있을 때마다 40리나 되는 먼 길을 아예 걷기로 작정하셨다. 그래서 새벽 일찍이 길을 뜨셨다가 으레껏 황혼이 지나서야 오셨다. 심한 경우는 백리가 넘는 전주 나들이도 보행을 마다하시지 않았다.

그래서인지 내가 겨우 열 살을 지난 뒤부터 시작한 마중이 제법 익숙해졌다. 외지에 나와 중학을 다닐 때 방학을 맞아 집에 돌아올 때면 나는 이 마중 같은 일로 학자(學資)를 토색질하던 불계수(不計數)의 빚을 갚으려고 했었다. 확실히 그런 예우가 있고 나면 책값을 주실 때 관대하셨다. 그리고 우람스런 머슴을 앞세우고 깜박이는 초롱불로 길을 밝히면서도 도깨비 얘기나 들으면서 오싹오싹한 밤길을 걷는 데 짜릿한 재미도 약간 느끼곤 했었다.

그 밤도 그러한 몇 가지 속셈이 있었는지 모른다. 그럴수록 목적을 위해선 아버님을 꼭 마중해야 된다는 다짐을 굳혔었다. 이윽고 멀리 펄럭이는 하얀 두루마기를 보곤, 평소 응석 한 번 부려 보지 못하고 자란 주제에 큰 소리로 "아버지"를 외쳤다. 그리고 우리 형제는 장신의 아버지 뒤를 따라 졸랑졸랑 돌아왔다. 여느 아빠처럼 두 팔에 형제를 거느리고 사탕이라도 한 개 속주머니에서 꺼내 주셨으면 했지만, 그렇게 엄하기만 했던 아버지가 지금은 더욱 그립다. 도연명(陶淵明)이가 낙향할 때 문간에서 마중했던 그의 치자(稚子)보다 우린 더욱 어리석어서 먼길을 두근거렸는지 모른다.

우리들 자식이 원행(遠行)의 아버님을 마중하던 곳은 먼 고개를 넘어 돌들이 산을 이룬 성황 고개요, 비단물이 반짝이는 청강수(淸江水) 징검다리요, 숨이 깔딱이는 높은 비석재였다. 요즘처럼 편리하게시리 문전에서 영송하는 것은 사무적이어서 싫다. 통금 5분 전에 귀가하는 탕부(蕩父)나 낭아(浪兒)가 아닌데도 벨소릴 듣고서야 슬리퍼를 끌며 발발이와 함께 문을 열어 주는 그런 것은 더욱 싫다.

지금은 분초를 다투는 약속에 서로 묶여 줄달음하는 정밀 기계 시대다. 옛날 우리 부조(父祖)들이 사랑하는 친구들과 재회를 약속할 땐 '꽃이나 피거든 만나세.' 아니면 '풍엽(楓葉)이 만산(滿山)할 제 만나세.' 등등 정말 아리숭한 그런 거였다.

거기에 비하면 아버님 귀가 시간은 훨씬 구체적이었고, 기계 시대에 비하면 훨씬 애매했다. 시린 손을 부비며 고갯마루 고추바람 속에 서서 언제쯤 거나한 취기를 데불고 홀연히 시계(視界)에 나타나실 아버님을 마중함엔 기다리는 기쁨이 있다.

살벌한 오늘의 서울에서도 때로 예고 없이 소낙비가 내리는 초저녁 주택가 입구를 스치면, 많은 아주머니나 어린 자녀들이 우산을 들고 누구를 기다리는 풍경을 본다. 지금쯤 어느 대폿집에서 술타령하는 남편이나 아빠를 기다리는 뜨겁고 목마른 풍경을 본다. 그럴 때마다 나는 초승달이 지고 까맣게 어두운 고개에서, 지금은 다시 뵈올 수 없는 아버지의 하얀 두루마기를 기다리느라 우리 형제가 등을 맞대고 추위를 견디었던 무섭도록 적막한 밤이 그립다.

작자 : 허세욱

어린 시절, 아버지를 마중하던 밤에 느꼈던 무서움과 짜릿한 재미는, 현관 앞에서 아버지를 맞는 현대에서는 느낄 수 없는 인간적인 정감이자 그리움이다. 무섭고 어려운 아버지를 마중 나가고, 그 아버지의 그림자를 따라 걷던 어린 시절의 나날들이 오늘에 와서 더욱 그리운 것은 무상(無償)으로 주는 정(情)의 기쁨을 회복하고 싶은 작자의 염원이 간절하기 때문이다. 대조와 비교를 통한 서술, 동양적 미덕과 정서를 바탕으로 한 정감 어린 문체 등이 돋보인다.



  • 1
    • 글자 크기
변명 하지 마라.. (by Biking) 오랜만에 (by 왕창)

댓글 달기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854 수암봉... 진빠리 2004.10.25 369
5853 충청도...1 진빠리 2004.10.25 350
5852 남부군 및 남로당 당원 여러분!4 잔차 2004.10.25 380
5851 축하드립니다. <<<잔차님 용섭씨 축하파티 공지>>>1 nitebike 2004.10.25 361
5850 수리산 한바퀴..1 nitebike 2004.10.25 342
5849 수리산 한바퀴.. Biking 2004.10.25 378
5848 먼 곳에서 벗이 찾아오시니...3 반월인더컴 2004.10.23 377
5847 성수역3 Biking 2004.10.22 376
5846 잠실에선... 진빠리 2004.10.23 386
5845 알고보니 토요일 바다로 가자 였슴다...1 우현 2004.10.22 402
5844 걸음마 6일전~~~2 박공익 2004.10.22 325
5843 夜想曲...1 진빠리 2004.10.21 505
5842 깊은밤의서정곡... 진빠리 2004.10.21 364
5841 이 밤이 깊어가지만... 진빠리 2004.10.21 335
5840 夜花... 진빠리 2004.10.21 399
5839 cancel...2 진빠리 2004.10.21 330
5838 바다로 가자....1 우현 2004.10.20 381
5837 화장실1 제임스 2004.10.20 363
5836 변명 하지 마라.. Biking 2004.10.19 428
초승달이 질때 Biking 2004.10.19 378
첨부 (1)
cho_seung_dal_2_jil.gif
59.3KB / Download 0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