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SCOTT 제니우스 바빙 제어기술에 대해서,,,,◈◈◈

송파코렉스2004.07.24 12:38조회 수 1780댓글 0

  • 1
    • 글자 크기




SCOTT 제니우스 바빙 제어기술에 대해서,,,,

서론
그 동안 SCOTT의 풀서스펜션(Full-Suspension) 자전거에 대한 연구와 개발은
항상 싱글피봇(Single-Pivot) 플랫폼에서만 진행되어 왔다.
그래서 SCOTT의 풀 서스펜션 자전거 라인업은 모두 상글피봇을 채용하고 있었다.
SCOTT의 레이싱을 위한 프레임 제조 테크놀러지는 세계 최고 수준을 자랑한다.
가장 앞서있다는 평을 받는 경량화된 프레임 설계기술과
다운튜브 및 체인스테이의 경화된 튜빙 기술이 최대의 순간 가속력을 필요로 하는
레이서들에게 인정 받고 있다.
하지만 풀 서스펜션 자전거 분야에서의 핫 이슈인 바빙(Bobbing)제어에
대해서는 별 다른 연구결과를 보이지 않고 있었다.

본론

이 자전거는 SCOTT의 싱글피봇 플랫폼으로부터 탈출한
첫 번째 Multi linkage방식의 자전거 이다.
SCOTT이 멀티 링키지로 간 까닭은
바로가상피봇위치(virtual pivot point) 시스템의 개발 때문이었다.
또한 VPP 개발에만 만족하지 않고 그들은 레이싱 테크놀러지의 우위를 점하기 위해
새롭게 디자인 된 혁명적인 리어샥(Rear Shox) 개발이 필요하였고,
그 들이 디자인한 혁명적인 기능을 만족시킬 수 샥은 전세계 어디에도 없었다.
결국 그들은 직접 리어 샥을 제조하기로 하였고 이는 아주 위험한 모험이었다.
몇 년의 개발작업 후에 스캇은 새로운 풀 서스펜션 자전거를 발표했다.
새롭게 개발된 VPP 시스템과 혁명적인 리어샥을 탑재한 ULTIMATE TRAIL BIKE를 선보였다.
이 자전거의 이름은 제니우스(GENIUS)이다.

포커스1 - 스캇 가상피봇위치(Virtual Pivot Point) 시스템
SCOTT은 바빙을 제어하기 위한 새로운 방안을 고안해 냈다.
바빙을 제어하기 위한 그 들의 솔루션은 가상 피봇 위치를 가진 4바 링키지(4bar-linkage) 시스템과
새롭게 고안된 기능을 가진 리어샥의 조합이었다.
이 들은 바빙의 원인을 분석하던 중에 중요한 원리를 발견했는데,
풀 서스펜션 자전거 스윙암의 피봇 포인트가 체인라인과 일치하지 않을 때
바빙이 일어난다는 중요한 사실이었다.
만약 피봇 포인트가 체인라인(Chain-Line) 위에 세팅되어 있으면
아래쪽으로 잡아 당겨져 있는 리어휠(Rear Wheel)을 라이더의 페달링과
체인이 리어휠을 더욱 더 아래쪽으로 잡아 끌어 당긴다.
또한 피봇 포인트가 체인라인 아래에 있다면 반대로 리어휠은 라이더의 페달링과
체인으로 인해 위쪽으로 잡아 당겨진다.
어느 경우든지 라이더의 힘에 의한 페달링에 의해 자전거의 뒤쪽은 바빙을 시작하고 샥은 작동한다.

SCOTT의 바빙제어를 위한 솔루션은 간단하다.
피봇 포인트를 체인라인과 항상 같은 라인상에 위치시키는 것이다.
하지만 불행하게도 체인라인은 항상 변한다.
왜냐하면 라이더들이 쓰는 체인링이 지형에 따라 자꾸 바뀌기 때문이다.
전통적인 싱글피봇 디자인은 중간 체인링과 큰 체인링 사이에 피봇포인트를 위치시키는 것이 었다.
VPP(Virtual Pivot Point)에서 주목할 점은 VPP로 디자인 된 자전거가 가지고 있는
많은 관절과 적절한 샥의 위치에 대한 조합은 가상피봇 포인트가 움직일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SCOTT은 바빙을 제어하기 위한 가장 이상적인 샥과 관절의 조합을 연구하기 시작 했고,
마침내 완성된 그들의 솔루션은 자전거 역사상 가장 빛나는 작품 중에 하나가 되었다.
SCOTT의 VPP는 다운튜브 아래와 B.B 앞 공간 어딘가에 위치하고 있다.
우리가 의미 하는 가상의 뜻은 라이더에 의해 자취를 남긴
자전거 리어휠 트래블에 의한 호의 중 심(당신이 리어휠의 움직임에 의한 호를 그리기 위해 컴파스를 꼽은 위치)은
B.B 앞 공간에 있다.

SCOTT 제니우스 VPP는 샥의 압축에 의해 VPP의 중심을 움직일 수 있다.
SCOTT의 이러한 아이디어는 피봇 포인트가 가능한 자주 체인라인과
동일 선상에 놓 이도록 설계되었다.
이러한 노력은 완벽한 바빙 제어를 실현하게 만들었다.
SCOTT은 일반적으로 라이더들이 타고 있는 지형에 따라 기어를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연구하기 시작했다.
예를 들어 산에 오를 때에는 라이더의 체중이 자전거의 뒤쪽에 갈 것이고,
자전거 뒤쪽은 좀 더 압력을 받게 뒬 것이다. 이것은 VPP를 움직인다.

SCOTT은 이러한 업힐 상황에서 피봇 포인트가
Granny링-헐렁한 체인링(라이더들이 가파른 업힐에서 많이 쓰는 체인링)라인과
일치되 도록 튠업했다.다운힐에서는 라이더의 체중이 앞을 향하게 되고
자전거의 뒤쪽에 대한 압력은 감소할 것이다.
이러한 상황은 VPP가 아우터 체인링(라이 더들이 다운힐에서 가장 많이 쓰는 체인링이라고 가정했다)라인과
일치되도록 튠업했다.

만약에 이러한 SCOTT의 노력에 의해서 당신이 아주 적은 바빙을 경험했다면
다음과 같은 의문을 가지게 될 것이다.
평탄한 곳에서의 라 이딩에서는 미들 체인링 라인과 피봇라인이 일치되는 것인가라고...

제니우스는 다양한 라이더의 체중에 대해서 아주
민감하게 재단하여 만든 시스템이다.
제니우스는 라이더의 정확한 체중에 의한 세팅을
필요로 하며, 단순히 리어샥의 SAG 세팅을 위한 것이 아니라
새로운 VPP에 의한 바빙제어의 목적까지 해결하기 위한 아주 중요한 세팅 절차이다.
제니우스는 라이더들이 어떠한 상황에서 어떠한 기어를 쓰는 지에 대한
통계적 추론을 통해서 바빙제어를 연구한 모범적인 사례이다.

포커스2 - SCOTT 제니우스 리어샥
SCOTT의 제니우스 리어샥은 “Pull shox”이다.
메인 실린더 내부에 스텐션 튜브(Stanchion Tube)가 있고
이는 안 전하고 기분좋게 작동한다.
이러한 “풀샥”은 원천적인 장점이 있다.
스탠션 튜브가 쭉 뻗은 상태가 아니고 움추린 컴팩트한 상태로
대부분의 시간을 보내고 있기 때문에 일반적인 “Push”형태의 샥보다는 내구성이 좋고
더 오랜기간 동안 촘촘하고 딱딱하게 샥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자가 청 소를 한다.
항상 스탠션 튜브가 노출되어 있지 않고 스트로크 운동시에만 스탠션 튜브가 노출 되는데,
이 때마다 진흙이나 먼지 등을 아래로 밀어 버리기 때문에
항상 청결한 상태를 유지한다. 핸들바에 달린 리어샥 스프링 조절장치는 엄지 손가락으로
쉽게 조절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장치는 새로운 것이 아니지만,
제니우스에겐 락아웃 기능 이외에도 다른기능이 숨겨져 있다.

락아웃 : 리어샥 잠금
트랙션 컨트롤 : 순간적으로 에어 스프링 장력을 높게 조절
풀 트래블 : 순간적으로 에어 스프링 장력을 낮게 조절

이러한 3-Speed 리어샥은 노면상태에 따라 마음대로 조절할 수 있다.
이것은 트래 블을 조절하는 기구가 아니다.
트랙션 모드, 풀 트래블 모드 모두가 5인치의 트래블을가진다.
단지 이 두 모드의 차이점은 에어 스프링 장력에 대한 차이일 뿐이다.

트랙션 모드에서는 스프링 장력이 높게 세팅된다.
이에 대한 결과는 좀 더 강한 압력으로 제니우스는 하드테일과 같은 느낌을 라이더에게
전달하고 실제로 힐클라이밍시 하드테일의 가속능력과 소프트테일의 접지능력을
동시에 제공하여 등판능력을 향상시킨다.
풀트래블 모드는 스프링 장력이 낮게 세팅된다.
이는 다운힐 시에 유연한 스윙암의 작동을 보장하여
라이더가 5인치의 리어 트래블을 효과적으로 사용하면서
안정적이고 공격적인 다운힐을 할 수 있도록 능력을 제공한다.
이러한 순간적인 에어 스프링 장력의 변화는
포지티브 및 네가티브로 구성되어 있는 두 개의 에어 챔버간 에어 분배의 원리 때문이다.

결론
GENIUS 위에서 살펴 본 SCOTT VPP시스템과 SCOTT 3-Speed 리어샥의
조합은 대단히 성공적이었다.
단순한 바빙제어 뿐만 아니라 다목적 자잔거로서의
기능도 제공했기 때문이다.
SCOTT은 VPP시스템과 3-Speed리어샥 외에도
또 다른 장점을 라이더에게 선사했다. 그것은 “무게 ”이다.
VPP를 위한 많은 관절과 리모트 컨트롤이 가능한 다양한 기능의 리어샥이
포함된 프레임의 무게가 2.15kg에 지나지 않는 것은
대단한 경 량화의 노력임에는 틀림없다.
라이더의 지형에 따른 기어조작의 통계적 추론에 의한 VPP 시스템에 의한
바빙제어와 완성도 높은 프레임 경량화, 그리고 하드테일, 소프트테일, 트레일 바이크의
기능을 한꺼번에 맛보게 해주는 리어샥의 3박자는 제니우스가
세계에서 가장 훌륭한자전거 중 하나가 뒬 수 있도록 만들어 준
자전거 기술발달의 좋은 본보기가 될 것이다.

SCOTT의 대표적인 MTB rider인 Thomas Frischnecht (토마스 프리치)은 더 이상 자전거의
기술혁명은 없을 것이라고 이야기 하였습니다.
scott은 그와 독일의 기술진들이 2년여의 연구끝에 미래의 자전거인 Genius를 전세계에 알리게 되었습니다.
자 이제부터는 하드테일을 탈것인가? 풀 서스펜션을 탈 것인가? 하는 고민을 Genius가 해결하십시요.
라이딩을 하는 지형에 따라 지오메트리가 적절히 바뀌는 자전거 핸들바 위에 장착된 조그만 조절레버로
All, 트랙션, Lock의 세가지 모드로 샥의 기능을 제공하여 줍니다.

바로가기 --->
Genius MC 30 (04)
Genius MC 40 (04)
Genius MC 50 (04)

문의 전화 : 422-0887


  • 1
    • 글자 크기
@@@@@ 메일바이크 상설할인매장 개장!!!@@@@@@ (by moor) 동급제품 중 최고 " LX급에 디스크브레이크장착" 720,000원에 한정판매합니다.. (by 바이크랜드)

댓글 달기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참여 업체의 협조를 당부드립니다6 bikeholic 2008.01.31 11076
공지 == 쇼핑가이드 게시판의 운영방식안내입니다 ==10 bikeholic 2002.10.11 17855
◈◈◈ SCOTT 제니우스 바빙 제어기술에 대해서,,,,◈◈◈ 송파코렉스 2004.07.24 1780
1023 동급제품 중 최고 " LX급에 디스크브레이크장착" 720,000원에 한정판매합니다.. 바이크랜드 2004.07.23 2324
1022 바이크랜드경매코너 서스펜션포크 04년형 락샥SID팀(리모트부착) 1,000원부터 시작합니다 바이크랜드 2004.07.23 1119
1021 한양MTB : 화이트브라더스 XC4 서스펜션을 파격적인 가격으로(가격 미공개) 한양MTB 2004.07.22 1121
1020 ◈◈◈ 스페셜 라이즈 Stumpjumper Comp (04)흰색 입고 ◈◈◈ 송파코렉스 2004.07.22 1967
1019 ★★★ 영 MTB 조립 특가 ★★★ 영MTB 2004.07.21 1505
1018 ★★★ 레인코트, 물통, 핸들테잎 ★★★2 영MTB 2004.07.21 813
1017 한양MTB : 50% 힐인 운영되는 [깜짝 SALE 코너]을 알고계십니까 ? 한양MTB 2004.07.20 2882
1016 ◈◈◈ 05년도 파일럿 SL 장착된 얼라이트 팀 ◈◈◈ 송파코렉스 2004.07.20 1338
1015 ◈◈◈ 하드락 콤프 27단 유압 디스크 ◈◈◈ 송파코렉스 2004.07.20 1394
1014 OD.CAMP 세일 기간중 영업시간 안내. 오디캠프 2004.07.19 1440
1013 bike119 조립완성차 파격 모음전!!! BIKE119 2004.07.19 1598
1012 1일사용 !! 대여용자전거판매 => 하드락 콤프디스크(899.000원) , 타사자라(699.000원) BIKE119 2004.07.19 1242
1011 프리라이드 최고의사양 12.9kg ,스펙 업그레이드 NO!!! ==> 295만원 품절임박!!! BIKE119 2004.07.19 1006
1010 9.6kg , 풀XTR ,DT240S허브,스카랩수퍼 샥잠금장치 ==> 295만원 품절임박!!! BIKE119 2004.07.19 1119
1009 OD.CAMP 창고 대방출 원가이하 세일 품목2 오디캠프 2004.07.19 1624
1008 후지-인트라넷 오픈기념 사은 대잔치 후지바이크 2004.07.19 822
1007 세계를 fuji-kobe 자전거가 달리고 있습니다.1 후지바이크 2004.07.19 686
1006 ### 프라이멀 여름휴가 컨테스트 ### 빅스코리아 2004.07.19 637
1005 한양MTB : 적체 재고소진 원가초월 판매 => 금주특가상품을 매일 5%씩 가격인하 판매 한양MTB 2004.07.18 1592
첨부 (1)
GENIUS_MC_30.jpg
240.6KB / Download 0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