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MTB 브레이크는 일반자전거와 반대인가요?

늑대왕2005.06.17 14:03조회 수 831댓글 13

    • 글자 크기


며칠전 입문용mtb k2제드2.0을 조립했는데 제가 조립을 잘못했는지
핸들 왼쪽 레버가 앞브레이크, 오른쪽 레버가 뒷브레이크로 조립됐네요.
조립 전에 핸들바에 좌우 브레이크 레바가 장착된채로 박스채 왔는데
습관적으로 왼쪽 브레이크를 잡는 것이 버릇이 되서 왼쪽브레이크만
잡으면 앞 샥이 출렁이네요. 좌우 변경가능한가요. 고수님들 알켜 주세요


    • 글자 크기
타이어 추천좀 해주실래요? (by koo901901) no sag의 문제점? (by 호빵)

댓글 달기

댓글 13
  • 48630 참조 하세요.
  • 바꿀수 있구요. 왼쪽을 뒤쪽으로 쓰셨다면, 주위의 말은 절대로 듣지 마시고 예전 쓰시던그대로 쓰십시오. 어느쪽을 쓰던 본인이 쓰던쪽을 그대로 쓰는것이 정답 입니다. 다른 허무맹랑한 이론은 다 무시하시면 됩니다.
    ^^*)
  • 위에분처럼 본인이 쓰시기 편안한쪽을 택해서 쓰시면 되겠습니다~~~^^
  • 늑대왕글쓴이
    2005.6.17 15:23 댓글추천 0비추천 0
    많은 도움되었습니다.답변 주신 님들 감사합니다.
  • 진작에 다리 굵은님의 이런 조언을 못본게 아쉽습니다.
    저도 MTB시작하기 전까지 '왼쪽=뒷브렉' 으로 줄곳 철티비를 탔었는데..
    이곳 Q&A 에서 지식좀 넓혀본다고 뒤적이다가 '오른쪽=뒷브렉' 이 좋다(?)는 이론을 우연히 본적이 있었습니다.
    그 후로 MTB 한대 장만하면서 보니까 '오른쪽=뒷브렉' 으로 설정되어 있더라구요.
    잠시 위치를 바꿀까 망설였는데.. 그냥 좋다는 이론대로 새로 배우자 하고 그대로 탔죠.
    그런데 습관이 무서운거 같아요.
    사람이 붐비던 강변에서 조심하며 살살타고 있었는데.. 갑자기 뛰어든 아이를 보고 급브레이크 잡은거죠. 이때 나도 모르게 왼쪽을 뒷브레이크로 생각하고 더 힘이 들어갔던거 같습니다.
    결국 살짝 날라서 넘어졌는데.. 손목을 다쳐서 기브스도 하고.. 근 2달을 자전거만 구경했습니다.
    저처럼 실수하는 분이 없길 바랍니다.. 습관 = 무서운겁니다.
  • 근데요..디스크브레이크도 그게 가능한가요? 구조상 힘들지 않나요?
  • 디스크는 좌우 바꾸려면 돈이 많이 들어갑니다. 호스를 바꾸면서 블리딩 작업이 필요하기 땜시...
  • 오른쪽 = 뒷브렉이 좋습니다. 왜 좋은지 장황하게 설명해봐야 허무맹랑한 소리로
    들릴테니 생략하고요. MTB타면서 생활잔차 타는 식으로 타면 되겠습니까.
    제동은 앞브레이크로 하는 겁니다. 급브레이크 밟아서 앞으로 고꾸라졌다면
    그건 웨잇백으로 제대로 못 익히신거네요. 말씀하신데로 습관 무섭죠.
    무의식중에라도 웨잇백 하는 습관을 들이세요. 앞브레이크 쓸 줄 모르는 초보들이
    보통 어디로 잡던 상관없다고 많이 주장을 하는데 상관없지는 않고 가장 효율적인
    세팅은 왼쪽 앞브레이크 오른쪽 뒷브레이크입니다. 왼쪽이냐 오른쪽이냐 문제 이전에
    브레이크 잡는법을 제대로 익히면 이런 소리 자체가 안 나옵니다.
    앞브레이크가 제동의 대부분을 차지한다는걸 알면 앞브레이크와 뒷변속기를 한손으로
    조작해야 하는게 얼마나 비효율적인지를 알거든요. 평상시도 마찬가지지만 특히나
    급제동시에 뒷브레이크는 거의 도움이 안됩니다. 제대로 기술을 익힌 사람만이
    체중을 뒷바퀴에 실어서 그나마 제동력을 활용할뿐이죠.

    자전거만 MTB이고 용도는 생활자전거라면 제 리플은 무시하셔도 됩니다.
  • 웨잇백으로 -> 웨잇백을
  • 위의 의견과 상반되지만 제 경우에 항상 이 질문에 대한 대답은 한 가지입니다. 쓰던대로가 최고입니다. 그리고 저는 앞 브레이크는 오른쪽입니다. 실제로 자전거 자체의 기계적인 면을 본다면 왼쪽 앞브레이크가 가장 이상적인 브레이크 라인을 가지게 되어있습니다만, 자전거는 사람에 맞춰지는 물건이지 사람이 자전거에 맞출 필요는 없습니다. 익숙하고 자연스러운게 최고입니다. MTB를 타기전에 보통 자전거 또는 오토바이를 타셨던 분이라면 익숙한 오른쪽 앞브레이크를 쓰는 것이 좋고, 이전에 자전거 또는 오토바이를 접해보지 못한 분이라면 브레이크 방향이 어느 쪽이던지 상관없습니다.
    오른쪽으로 브레이킹을 하고 주로 변속하는 뒷드레일러를 동시에 사용한다는 부담도 있지만 어찌보면 대부분의 한국사람에게 가장 민감한 오른손으로 브레이킹을 하는 장점도 있습니다.

    tokenid님과 같은 경우를 당하는 것은 브레이크 방향에 적응이 안되어 생긴 문제입니다. gemul님의 의견처럼 브레이킹의 중요한 역할은 앞바퀴는 제동, 뒷바퀴는 감속의 역할입니다. 그러나 급한 브레이크 상황에서는 제동을 위한 앞브레이킹과 동시에 웨잇 백을 해야하는 것은 브레이킹 스킬의 문제이고 이를 완전하게 터득하지 못한 것은 요령을 아직 모르는 것이지 그 것이 절대 레버 방향의 문제는 아닙니다. 브레이킹 요령을 완벽하게 터득한 사람이라도 레버 방향이 바뀌면 tokenid님과 같은 경우는 충분히 당할 수 있습니다.
  • 개인차가 있는 것 같습니다..
    저도 예전에 10년가까이 변속기어가 없는 생활잔차로 통학했는데
    MTB타면서 브렉습관을 바꿨습니다.
    처음 한두달 조심하고나니 적응이 돼서 지금은 전혀 불편함을 못느낍니다.
    오히려 뒷바퀴가 너무 자주 락이 걸려 문제입니다..^^
    제경우는 아직 초보라 위급상황시 웨잇백할 시간적 여유가 거의 없어서
    거의 무의식적으로 뒷브렉을 강하게 잡고 앞브렉으로 제동거리를 조절합니다.
    앞브렉은 제동력은 강하지만 뒤집어지기 쉬워서 웬만하면 락이 안걸릴 정도로 잡습니다.
    습관을 구태여 바꿀 필요는 없겠지만
    제가 좀 단순해서 앞변속과 앞브렉, 뒷변속과 뒷브렉이 같은 게 더 편하더군요..
    참고로 저는 왼손잡이입니다..^^
    어릴 때 밥먹는 것과 글쓰는 걸 오른손으로 바꿨습니다. 나머지는 다 왼손..ㅎㅎ
  • 흐으.. 약간의 와이어 라인이 더 이상적으로 된다고, 습관을 무시할수 있을까요?
    사람이 급하면 원래 버릇이 나오는 법.. 오른쪽 앞 브레이크가 와이어 라인이 좀 더 좋다고
    앞으로 날아갈 위험을 감수하라...? 생활 자전거던 MTB던 습관대로 써야 하는게 정답 아닌가요? 둘을 나누는게 더 이상한 일인거 같은데 ㅡㅡ; 오른쪽 앞 브레이크면 웨이트 백이 좀더 잘된다거나 하면 몰라도(-_-).. . 아. 케이블이 좀 더 짧아지니, 앞 부분 무게가 줄어서..(퍼억..#_ㅜ)
  • 브레이크라인이 이상적이라서 앞으로 날아갈 위험을 감수하라는 말은 어디에도 없는데
    갑자기 왜 언급되는지 이해를 할수가 없네요. :) 제대로 브레이크 잡는 법을 익히면
    좌우 브레이크 위치는 상관없습니다. 고로 브레이크의 위치때문에 앞으로 넘어졌다는
    tokenid님이나 위치가 달라서 앞으로 날아갈 위험을 감수해야 하냐는 roamstar님의
    반문은 브레이킹에 대한 이해부족으로 보입니다. 제동시 뒷브레이크에 힘 더주는 것
    아닙니다. 혹시나 뒷바퀴 락 걸려서 미끄러지는걸 제동력이 가장 강한 상태라고 알고
    계시다면 전혀 아니구요. 정지 마찰력이 운동마찰력보다 강합니다. 땅바닥에 놓여
    있는 무거운 상자 같은것 일단 밀기는 힘들지만 일단 한번 밀리면 쉽게 밀리듯이
    브레이크 역시 한번 밀리기 시작하면 제동력은 별로 기대 못합니다. 정지 마찰력과
    운동 마찰력의 관계를 좀 더 자세히 알고 싶으시면 고등학교 물리교과서나 네이버
    지식인의 활용을.... 생활자전거 타던 때야 뒷바퀴 슬립 일어나는 제동력 정도로도
    충분이 제동이 가능하겠지만 MTB를 MTB처럼 탄다면 글쎄요. :) 언급했듯이 용도가
    생활자전거라면 제 글은 무시하셔도 됩니다.

    앞브레이크가 브레이크의 주된 역할을 하고 뒷드레일러가 변속의 주된 역할을
    한다는걸 인지한다면 각각을 양손에 분담하는게 가장 효율적이라는게 그렇게
    이해하기 어려운가요? 습관이 문제된다면 뒷브레이크 강하게 잡는게 문제입니다.
    MTB로 바꿔서 이전 습관대로 뒷브레이크 강하게 잡을려는데 앞브레이크가 강하게
    잡혔다면 오히려 고마워 해야 할이죠. :) 티코 타던 습관으로 차만 좋다고 파리-
    다카르 랠리에서 과연 제대로 갈수 있을련지요. 물론 랠리용으로 디자인된 자동차를
    티코의 용도로 쓴다고 그걸 탓할 마음은 전혀 없습니다. 하지만 습관이란게 무서우니
    랠리에 랠리차 타고 나가서도 티코 몰던대로 몰겠다는 좀 아닌듯 하네요. 물론
    주행이야 가능하겠죠. 남들 100km 갈때 한 3-40km.

    돌발상황에서이 제동의 개념이 상당히 다른것 같네요. :)
    저속에서야 뒷브레이크가 문제될일이 거의 없지만 40km 이상의 속도에서 돌발상황이
    일어나면 필요이상으로 뒷브레이크가 강하게 잡혀서 문제가 큰데 말이죠.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Q/A 게시판의 이용방법을 알려드립니다 :::35 Bikeholic 2002.12.05 138277
48322 계기판 질문입니다. airmax2000 2005.06.17 184
48321 바이크웍스 전화번호 아시는분 제발 전화번호좀 알려주십시요1 taoist71 2005.06.17 260
48320 뒷 허브 교환 질문 입니다3 bounce03 2005.06.17 289
48319 자전거 추천 좀 부탁드릴께요2 206216 2005.06.17 255
48318 공구사다가 림한번 맞춰보려고 하는데...6 proctor 2005.06.17 379
48317 acera 드레일러에 11-32 카셋트(뒷 기어)맞을까요?2 airsodam 2005.06.17 379
48316 헤이들리사 홈피주소가2 torrent10 2005.06.17 320
48315 제킬에 팬더는 어떻게 달수 있는지요?1 traum 2005.06.17 218
48314 트리락? 트레락;;? 자우간 속도계질문요..1 teojin 2005.06.17 296
48313 타이어 추천좀 해주실래요?2 koo901901 2005.06.17 423
MTB 브레이크는 일반자전거와 반대인가요?13 늑대왕 2005.06.17 831
48311 no sag의 문제점?3 호빵 2005.06.17 432
48310 라이트 LED LENSER 7767 어떤가요?2 performer77 2005.06.17 351
48309 생활잔차용 스프라켓을 교환하려면...2 samac76 2005.06.17 259
48308 이게 무슨 전차인지 아시는분?8 puhami 2005.06.17 601
48307 최근 미국에서 나오는 31.8 스템 궁금합니다.3 hockey2 2005.06.17 354
48306 샥에 관해서요4 foxlove102 2005.06.17 334
48305 브레이크 림과의 마찰음 원인제거방법 질문2 injae 2005.06.17 341
48304 폭이 좁은 안장2 sejinc 2005.06.17 542
48303 SRAM에 변속케이블과 XTR 변속 케이블의 호환성2 nobury 2005.06.17 385
첨부 (0)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