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이거 퍼온 글인데여...이해가 안가는부분이있어여..

웅이2004.10.31 16:12조회 수 483댓글 11

    • 글자 크기


(출처 : 다음카페 도로싸이클 / 작성 : 역도부)
가벼운자전거..좋지요
들어봐도 경쾌하고 타봐도 경쾌한 느낌..
자전거 좋아하시는 분은 가벼운 자전거에 관심을 가지게 될 겁니다.
저도 요즘 제 자전거가 무거운 것이 맘에 걸려 차체를 요모조모 생각해보고 있습니다.
그런데.. 과연 가벼운 자전거가 좋긴 한건가..?
이런 생각을 해보니 확실한 대답이 없는 것 같더군요.
그래서 집에 오면서 나름대로 조금 생각해본 바를 말씀드립니다.

0. 가정
(1)동일한 사람이 가벼운 자전거를 탄 경우와 무거운 자전거를 탄 경우를 비교한다. 즉 라이더의 무게차이가 없는 경우를 생각한다.
(2)자전거 자체의 성능과 마찰요인을 무시하고 오직 자전거의 중량과 공기저항의 측면에서만 비교한다.
(3)바퀴의 회전관성에 따른 변인을 무시한다.
(4)가벼운 자전거와 무거운 자전거가 완전히 동일하게 생겼다고 가정. 오직 차이는 무게뿐.

1. 가속시(예를들어 출발시)
f=ma
같은 가속도로 가속하기 위해서 드는 힘은 질량과 비례한다.
따라서 가벼운 자전거를 타면 출발할 때 드는 힘이 무거운 자전거에 비하여 작다.
따라서 가벼운 자전거가 작은 힘으로 출발할 수 있다.
특히 체중이 가벼운 라이더에게는 "라이더의 체중+자전거의 체중" 의 변화 비율이 커지므로 힘 절약효과가 더 커진다.
따라서 가벼운 사람에게는 자전거의 질량이 더욱 중요한 변수가 된다.
예를들어 몸무게 100kg인 사람이 9kg자전거에서 8kg 자전거로 바꾸면 힘 절약 비율은 108/109 가 되지만
몸무게 50kg인 사람의 경우는 58/59가 되므로 100kg인 사람에 비하여 힘 절약 효과가 대략 두배가 된다.
자전거 질량을 줄이는 데 들어간 비용에 대해 본전을 뽑으려면 가능한 체중을 줄여야 겠네요.

2. 감속시(예를들어 정지시)
도로자전거는 브레이크를 잡아서 정지합니다. 일단 공기저항을 무시하겠습니다. 또, 자전거 자체의 저항을 무시한다 하였으므로 평지에서 자전거를 감속하는 방법은 오직 브레이크 밖에 없다고 가정합니다.
가속시와 마찬가지로 같은 시간에 정지하려면 무거운 자전거에 더 큰 힘을 주어야 합니다.
즉 가벼운 자전거는 브레이크를 가벼운 힘으로 잡아도 된다.
이때도 역시 가벼운 라이더가 중량감량에 의한 효과를 더 크게 볼 수 있다.

1,2번의 결론에 따라 가감속이 많은 주행시 자전거의 무게차이에 의한 효과는 더욱 커지게 됩니다. 왜냐하면 가감속시마다 가벼운 자전거는 힘이 덜들기 때문..
따라서 가벼운 자전거는 한산한 곳에서의 주행보다는 시내 주행에서 더욱 빛을 발하게 된다. 이는 얼마나 자주 멈추고 출발하기를 반복하느냐에 따라 좌우된다.
또한 트랙용보다 도로용에서 자전거의 무게가 더욱 중요해진다는 것을 암시합니다.

3. 업힐
위치에너지 = mgh
같은 높이를 오를때 주어야 하는 에너지는 질량에 비례합니다.
또 에너지=(힘)*(거리) 이므로
업힐시 무게비율은 힘의 비율과 완전히 같습니다.
즉 가벼운 자전거는 가벼운만큼 업힐에서 유리하다.

4. 다운힐(페달링을 안하면서 내려오는 경우)
일단 공기저항을 무시합니다. 공기저항은 다음에 고찰.
다운힐에서는 무거운 자전거가 유리할 차례가 되었는가?
높이 h에서 내려왔을때 저절로 발생되는 속도에 대해서..
(언덕위에서 위치에너지)=(언덕 아래에서 운동에너지)
즉, mgh=(mv^2)/2
위 식의 양변을 질량 m으로 나누면
gh=(v^2)/2
즉 내려왔을때의 속도는 무게와 무관.
결론은 무거운 자전거와 가벼운 자전거가 얻는 속도는 동일하다.
즉 무거운 자전거로 힘들게 올라갔다고 해서 내려갈때 더 빨리 내려오는 것은 아니다.
그럼 업힐할때 더 들어간 힘은 어디서 보상받는가.
더 들어간 힘은 언덕 아래에서 에너지로 보상받는다. (속도가 같으면 무거운 자전거의 운동에너지가 크다.) 그러나 속도로 보상받지는 못한다.
무거우면 좀 억울하네..
그러나 이는 공기저항을 고려하지 않은 결론입니다. 공기저항을 고려한 결론은 아래에서 고찰.

5. 평지에서 일정한 속도로 달릴때(공기저항 고려)
공기저항은 물체의 속도에 대체적으로 비례한다는 것이 실험결과입니다. 또한 모양에도 관계하지만 여기서 모양은 완전히 동일하다고 가정하였으므로 모양에 의한 차이는 없음. 그리고 중요한 것은 공기저항은 물체의 무게와 관계가 없다는 사실.
즉, 무거운 자전거와 가벼운 자전거에 작용하는 공기마찰은 동일하다.
따라서 평지에서 일정한 속도를 유지하기 위해서 들여야 하는 힘은 가벼운 자전거나 무거운 자전거나 같다는 결론.
그런데 아무래도 가벼운 것은 바람에 잘 부대끼는 것 같습니다.
그것에 관한 고찰이 6번입니다.

6. 페달링을 하지 않으면서 공기저항에 의해 감속하는 경우.
공기저항력이 같으므로
f=ma에서 a=f/m
즉 질량이 작으면 감속이 크다.
즉 일정한 속도로 달리다가 페달링을 멈추면 가벼운 자전거가 더 빨리 감속한다.
드디어 무거운 자전거가 유리한 점도 있다는 것이 밝혀집니다.
무거운 자전거는 평지를 달리다가 쉬고싶어서 페달링을 멈추었을때 속도가 잘 안떨어진다는 것입니다.

4'. 다운힐시 공기저항을 고려하면.
다운힐시 공기저항을 f'이라 하면
f'=ma에서
공기저항에 의한 감속효과는 a=f'/m.
즉 질량이 커지면 감속효과는 작아진다. 따라서 4번에서의 결론을 뒤집고 (페달링을 안하면서)다운힐시 무거운 자전거가 더 빨라진다는 결론이 나옵니다.

7. 결론
출발할때 : 가벼운 것이 좋다
멈출때 : 가벼운 것이 좋다
평지주행시: 둘 다 좋다
업힐할때 : 가벼운 것이 좋다
다운힐할때: 무거운 것이 좋다
무거우신분: 체중부터 줄이시고 천천히 고려하세요
가벼우신분: 무게 줄이는데 돈좀 들여도 좋겠네요
한산한 시골에서 타시는분: 천천히 고려하세요
복잡한 도심에서 타시는분: 무게줄이는데 돈좀 들여도 좋겠네요
다운힐을 좋아하시는분: 천천히 고려하세요
업힐을 좋아하시는분: 무게줄이는데 돈좀 들여도 좋겠네요

8. 더 생각해볼 사항
가정 자체가 추상적이므로 아직 더 많은 요소들을 점검해야 합니다.
그래도 나름대로 여러가지 의미있는 결론을 얻은 것 같습니다.
더 생각해볼 사항은
(1) 허브에 가해지는 하중과 허브에서 발생되는 힘 손실과의 관계
(2) 타이어에 가해지는 하중과 타이어에서 발생되는 힘 손실과의 관계
(3) 바퀴의 회전관성 문제
(4) 크랭크암의 화전관성 문제
(5) 다리도 계속 움직이는데 다리의 무게가 미치는 영향  

말랴 덧붇임 - 작성하신 분이 물리학을 전공하신다니... 어느 정도 신빙성은 있는 것 같네요
근데 전 이해가 잘 안 되는군요. 고등학교때 문과였는데 어느 특정한 과목이 좋아서 문과에 간게 아니라
수학과 과학이 싫어서 문과를 선택하다보니... 저에겐 어려웠지만 부분적으로 도움이 된 것 같습니다.



http://bike.jinbo.net/uboard.asp?id=study&skin=board_urim_v20K&color=Gray&code=&page=8&page_num=&order1=u_no&order2=desc&u_no=14
여기서 퍼왔거든요..
근데 6번과 7번 사이에 있는 4'(4 다시)글이 이해가 안가네여..
떨어지는 속도는 면적에 의한 공기의 마찰에만 관계가 있는것이 아닌가여..
그렇게 되면.모든 동일 조건이니까,
같은 속도로 떨어지는게 아닌가 생각 되는데....


    • 글자 크기
XTR 브레이크 암.... 앞 뒤 질문... (by yw0508) 이 자전거 가격좀 대략 알려주세요 ㅜㅡ (by kalhintz)

댓글 달기

댓글 11
  • 2004.10.31 16:27 댓글추천 0비추천 0
    아마도.. 라이더, 잔차의 동일 면적을 가정한것 같습니다. 말씀하신대로 공기 저항이라하면, 공기의 상태, 접촉면 등에 영향을 받습니다만, 마찰력을 f' 이라고 둔것을 보아, 이런 판단이 가능합니다..^^;;
    위의 상황은 지면과의 마찰력, 구동계열에서의 손실등을 무시한.. 말 그대로 특정한 가정에서 비롯된 결과라 할 수 있겠습니다
  • 가방끈이 짧아서 이해가 될듯 안될듯 하지만... 무거운 물체가 사면을 내려올때는 단연 무거운게 유리하겟지요..^^;
    예를 들어서 쟁반에 가벼운 물질로 만든 구슬과 쇠구슬과 비교해서 시험해보면 쇠구슬이 더 빠른걸 아실껍니다^^;
    중력은 질량에 비례한다는건 다들 아시겟지요^^; 사면에서는 무거울수록 가속력이 더 붙고.. 다운힐은 저항이잇지요
    거기에서 가벼운물질은 무거운물질보다 가속력을 덜 받게 되는것이지요.. 약간에 경사진 다운힐구간에서
    다운힐을 탄 100kg의 사람과 똑같은 다운힐을 탄 50kg의 사람이 내려온다면 가벼운사람은 느린 속도로 천천히 가속이
    붙거나 얼마 못내려가서 멈출것이고 무거운사람은 가벼운사람에 비해서 가속력이 배가되서 내려오겟지요^^;
    에고 가방끈짧은넘이 무슨소릴 하는지 ㅡ,.ㅡ 여튼 이론은 실질적인것보다는 약간에 오차가 잇습니다^^;
  • 웅이글쓴이
    2004.10.31 16:46 댓글추천 0비추천 0
    앙~설명을 들어도 잘 모르겠어요 T^T일단 가정에서 모든 조건이 동일 하다고 했줘....
    마찰력 = 뮤(마찰 개수)X힘(중력)이라서 그런가여...경사길이라서 힘이 분력이 되겠지만..
    근데 이렇게 따져볼때의 마찰력은 가정에서 무시 한다고 하던 허브나 기타 구동계의 마찰력이 되는것 아닌가요?
    음..
    그럼..내려 올때 받는 가속력은 중력 가속도 인데 것은 지구상에서 9.8정도로 고유한 양이니깐.
    결국은..같은 속도로 내려오는게 아닐까요?
  • 2004.10.31 18:48 댓글추천 0비추천 0
    체중 가벼운 사람이 어느정도 유리하긴 하군요..
  • 2004.10.31 18:49 댓글추천 0비추천 0
    무게에 상관 없이 낙하 속도는 같습니다. 단 운동 에너지가 틀리죠.
    시속 20km로 달리는 자전거 2 대가 있는데, 한대는 50kg의 사람이 타고 나머지 한대는 100kg의 사람이 탔을 때 어느 것에 부딪히는게 덜 다칠지 예상이 되시죠.

    같은 속도라면 무거운 쪽이 제동 할 때도 힘이 더 들죠.
  • 2004.10.31 20:09 댓글추천 0비추천 0
    마찰력 = 뮤 * 중력(의 지면 방향의 힘).. 에서 이 마찰력은 지면과의 마찰력을 의미합니다
    고등학교 공통과학 물리부분에서 나오는 얘기일듯 합니다
    그치만 이 마찰력을 고려한다면, 잔차에 따라, 노면의 상황에 따라 달라질텐데요.. 그럼 복잡해지겠쬬?
    그래서 위에 글 쓰신분은.. 공기로 인한 저항(마찰보다는 저항이라는 표현이 더 어울릴듯 합니다)만을 고려했겠죠
    사실 유체 내에서의 저항은 속도에 비례하기 때문에 질량이 다르더라도, 표면적, 부피, 구조 등이 같다는 조건에서 중력이라는 가속도를 받아 운동을 하게될때, 속도가 같기 때문에 (f=ma 에서 질량이 작기 때문에 가속도가 더 커서 속도가 더 빨라지지 않겠느냐 하는 의문이 생길지도 모르지만, 중력가속도라는 같은 a로 인해 같은 속도가 됩니다) 결국 같은 저항력을 받게 되는것이지요
    이럴 경우 f' =ma 에서 같은 힘을 받는데, 질량m 이 다르기 때문에 가속도에 차이가 나온다
    이런 결론을 끌어낸것 같습니다
    결국 공기와의 마찰까지 무시한다면, 같은 속도가 될것이지만, 공기의 저항력으로 인해 속도의 차이가 나온다.. 입니다^^;
  • 유체저항은 질량과는 무관합니다..
    유체저항은 정지된유체 와 운동하는 물체가 가지는 단면적(운동방향과 수직한)과 속도에 비례합니다..
    즉 다운힐시 질량이 다른 두사람은 물리적인 모양이 동일하다면 속도는 동일합니다..
    유체내 운동하는 물체의 속도는
    v={(g-a)^t2}/2 + v0 g=중력가속도, a=유체에의한 저항, v0=초기속도
    즉 질량과는 무관함..

    여기서 a는 단면적과 속도의 함수이므로 실제로는 속도가 커지면 a도 증가 g=a 가 되는 시점이 나옵니다..
    이때부터는 가속운동이 아니고 등속운동을 하게됩니다..(즉 속도가 일정해집니다.. 이를 종속도(터미널 베로시티)라 합니다)..

    결론..다운힐시 질량이 다른 두사람(체형이 동일하다면) 의 속도는 동일하고 계속 가속(페달링)이 없다면 일정시간이 지난 시점에서는 가속없이 등속으로 다운하게 됩니다... ...

    위의 4' 번과 같은 논리는 잘못된 것입니다.......
  • 수정 v={(g-a)t^2}/2 로 수정합니다.....
  • 아주 중요한 것이 빠졌는데 몸무게 100대 사람과 50kg대 사람의 다리근력이 같을까요? 말하자면 엔진을 전혀 고려하지 않았습니다. 둘다 운동으로 다져진 선수라 가정하면 어마어마하게 차이탈 텐데요 . 브레이킹 능력에서는 고려하지 않아도 되지만 페달링파워와 관계있는 부분은 무게 계산만으로는 설득력이 부족하다 봅니다.
  • h2osy 님의 해석이 가장 정확하다고 봅니다.
  • 웅이글쓴이
    2004.11.1 09:44 댓글추천 0비추천 0
    많은 답변 감사 드려요^^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Q/A 게시판의 이용방법을 알려드립니다 :::35 Bikeholic 2002.12.05 138279
35582 XTR 브레이크 암.... 앞 뒤 질문...1 yw0508 2004.10.31 262
이거 퍼온 글인데여...이해가 안가는부분이있어여..11 웅이 2004.10.31 483
35580 이 자전거 가격좀 대략 알려주세요 ㅜㅡ3 kalhintz 2004.10.31 385
35579 뒷 기어 셋팅질문입니다.3 seojo 2004.10.31 224
35578 포뮬러유압을 더티점프3 에 낄수있는지..1 blue백호 2004.10.31 195
35577 구동계열 수명에 대한 질문입니다.7 인자요산 2004.10.31 326
35576 제 바이크가 될..6 intermot 2004.10.31 399
35575 차체가 덜그덕 거립니다.3 kpop 2004.10.31 205
35574 타이어 얼마나 더 사용할수 있을런지?2 sh1ny 2004.10.31 420
35573 해외 구입 질문이요..2 yookevin 2004.10.31 347
35572 MET헬멧...2 bisan2 2004.10.31 627
35571 에픽에대해서질문3 terry12 2004.10.31 448
35570 어떤 부품을 바꿔야 할까요?(스캇 익스퍼트레이싱)2 smolee 2004.10.31 459
35569 까낙 신발 파는 샾이 어디에 있나요?2 giugi 2004.10.31 266
35568 첼로 2003 구입후 질문입니다.2 dh4865 2004.10.31 326
35567 이게 각각 한개 가격일까요 ~ 아님 한대분 가격일까요? 사진있음..6 머루 2004.10.31 569
35566 기어 케이블 끝에...6 beamsword 2004.10.31 424
35565 인천에서 아디다스 고글 취급하는곳 없나요?2 전천후라이더 2004.10.31 293
35564 타사자라 행어 어디서 구할수 있나요?2 취화선 2004.10.30 352
35563 물통 케이지 규격이 제각각인가요?2 trakl 2004.10.30 412
첨부 (0)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