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결 안된 질문

샥 프리로드조절기능이 뭐죠? 왕!!!!초보
추천 수 ( 0 )제잔차에 앞샥에 보면 한쪽은 락기능--이건 대충이해가 가는데 한쪽에 있는
프리로드+/-표시 있는 것은 어떻게 사용하는건지 대충 난감^^;
+쪽으로 돌리면 딱딱해지고 -쪽으로 돌리면 반대인 것 같은데 도로에 따라
셋팅을 하는건지 아니면 몸무게 따라 셌팅을 하는지 고수분들 왈바로 인해
mtb세계로 점점 빠져드는 왕초보에게 자세한 설명부탁드립니다.
프리로드+/-표시 있는 것은 어떻게 사용하는건지 대충 난감^^;
+쪽으로 돌리면 딱딱해지고 -쪽으로 돌리면 반대인 것 같은데 도로에 따라
셋팅을 하는건지 아니면 몸무게 따라 셌팅을 하는지 고수분들 왈바로 인해
mtb세계로 점점 빠져드는 왕초보에게 자세한 설명부탁드립니다.
답변 (8)

프리로드를 조절하는 것의 목적은 코너링이나 굴곡이 심한 지형에서 앞휠이 노면에 잘 붙게 하기 위한 겁니다. 그냥 적당히 중간쯤에 세팅해도 문제 없지만, 라이더의 체중에 따라 정확히 세팅하게 되면 그만큼 잔차의 성능이 좋아지는 것이겠죠. 프리로드는 샥에 무게가 실릴 때 튀겨주는 스프링의 힘을 말하는 것입니다. 이게 크면 샥이 딱딱해지는 것이죠. 반응이 빠르고 느리고는 별개의 개념입니다. 라이더가 그냥 자전거에 올라 앉기만 했을 때 샥이 전체 트래블의 4분의 1 정도는 들어간다면 잘된 세팅입니다. 이때 샥이 먹어주는 정도를 새그(sag)라고 합니다. 체중이 무거워서 4분의 1 이상 샥이 먹는다면 새그를 줄여줘야 하겠죠. 이 때 프리로드를 + 방향으로 늘려주는 겁니다. 체중이 너무 가볍다면 그 반대로 하면 되겠죠.
조절 할 때는 샥이 먹는 정도를 눈으로 보고 조절을 해야 되므로 케이블 타이를 샥스텐션에 감아주고 측정한다거나 옆에서 누군가 봐준다거나 하는 식으로 도움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정확한 새그 조절은 각 제품별로 매뉴얼을 참고하면 나와있고, 또 제품별로 편차가 있습니다.
조절 할 때는 샥이 먹는 정도를 눈으로 보고 조절을 해야 되므로 케이블 타이를 샥스텐션에 감아주고 측정한다거나 옆에서 누군가 봐준다거나 하는 식으로 도움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정확한 새그 조절은 각 제품별로 매뉴얼을 참고하면 나와있고, 또 제품별로 편차가 있습니다.
의견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