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결 안된 질문

nrs2 에 달려있는 디스크 브레이크 레버..
추천 수 ( 0 )자이언트 nrs2를 타는데요
브레이크 레버를 보면 조그만 네모통이 양쪽에 달려있는데
브레이크 오일이라고 설명서에 나오는데 이게 반영구적인가요??
유압인지 기계식인지 초보라 너무 애매하네요
nrs2 에 달린 디스크 mph 에 대해 아시나요?^^;;;
브레이크 레버를 보면 조그만 네모통이 양쪽에 달려있는데
브레이크 오일이라고 설명서에 나오는데 이게 반영구적인가요??
유압인지 기계식인지 초보라 너무 애매하네요
nrs2 에 달린 디스크 mph 에 대해 아시나요?^^;;;
답변 (1)

메뉴얼이 없으신가요?
MPH브레이크는 유압브레이로 호프(어떤 모델이었더라..?)의 카피모델입니다.
closed방식이고 dot 4, dot 5.1의 브레이크 오일을 씁니다.
레버의 통에 달려있는 다이얼을 돌리면 캘리퍼의 패드 간격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가격대 성능비는 우수합니다. 현재 국내 판매되는 유압브레이크중 최저가일겁니다.
단점은 제법 긴 다운힐시 파이프 내의 오일이 팽창해 패드 간격이 좁아지는 현상이 있지만 레버의 다이얼로 간격을 넓히시면 되고, 조금만 냉각시켜도 원상복구 됩니다.
그리고 낮은 가격대라 마무리나 질감이 좋지 않고, 동양인의 손에 비해 레버의 길이가 긴편입니다.
또 closed방식이다 보니 유압라인의 공기방울에 민감한 편이라 블리딩시 공기빼기에 많은 시간이 듭니다.
그래도 가격대 성능비가 우수하고 패드간격조절이 되는 큰 장점이 있어
시마노나 헤이즈와 비교해 그 성능은 손색이 없습니다.
MPH브레이크는 유압브레이로 호프(어떤 모델이었더라..?)의 카피모델입니다.
closed방식이고 dot 4, dot 5.1의 브레이크 오일을 씁니다.
레버의 통에 달려있는 다이얼을 돌리면 캘리퍼의 패드 간격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가격대 성능비는 우수합니다. 현재 국내 판매되는 유압브레이크중 최저가일겁니다.
단점은 제법 긴 다운힐시 파이프 내의 오일이 팽창해 패드 간격이 좁아지는 현상이 있지만 레버의 다이얼로 간격을 넓히시면 되고, 조금만 냉각시켜도 원상복구 됩니다.
그리고 낮은 가격대라 마무리나 질감이 좋지 않고, 동양인의 손에 비해 레버의 길이가 긴편입니다.
또 closed방식이다 보니 유압라인의 공기방울에 민감한 편이라 블리딩시 공기빼기에 많은 시간이 듭니다.
그래도 가격대 성능비가 우수하고 패드간격조절이 되는 큰 장점이 있어
시마노나 헤이즈와 비교해 그 성능은 손색이 없습니다.
의견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