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남편이 고개숙이던 날!!!!

nitebike2004.11.17 11:10조회 수 498추천 수 5댓글 5

    • 글자 크기


조선일보 / 줌마클럽 최윤정 11월17일자

직장생활을 할 때 옆자리에 있던 동갑내기 직원은 불행히도 폭군 상사 밑에서 업무를 보고있었다. 정말 그 상사는 말이 통하지않는 사람이었다. 아부와 뇌물에 닳을 대로 닳은 사람이었다. 업무능력과 상관없이 자기 기분에 따라 윽박지르거나 화를 내곤 했던 상사밑에서 시달리던 직원의 유일한 스트레스 해소는 담배였다.
업무능력보다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저절로 얻어진 직분을 너무 남용하던 상사를 좋아할 사람은 없었다. 하지만 그 동료만큼은 꼬박꼬박 그 횡포를 받아주곤했다. 근무시간뿐 아니라 먹기 싫은 술좌석까지 꼭 데리고 다녀서 동료는 죽을 상을 하고 따라가야했다.

보다못한 다른 직원이 “승진도 중요하지만 노(No) 소리를 할 때는 해야지 스트레스받아서 어떻게 사냐”고, “찍혀봐야 다른 부서로 옮겨가면 그만 아니냐”고 말했다. 그는 그저 씨익 웃기만 했다. 가정있는 남자가 어떻게 하고싶은 것만 하고 살겠냐는 뜻같았다. 아주 멋있게, 보란 듯 그 앞에서 ‘No’라고 말하거나 사표를 던지고싶지만 처자식 때문에 참는다는 여느 남자들처럼 말이다. 상사가 다른 부서로 떠나가자 동료는 “진짜 회사 나오기 싫었다”고 고백했다.

남편은 무뚝뚝한데다가 빈말을 하거나 변죽을 적당히 울리는 것도 못하는, 그래서 아부와 인사치레에 거리가 먼 사람으로 여겨졌다. 회사 가족모임에서 보면 빈말 잘하고 속 훤히 들여다보이는 아부성 발언으로 적당히 상사의 기분을 잘 맞춰주는 직원들이 있다. 그 자리에 남편은 허허 웃기만 할뿐 딱 한 방 그것을 못한다. 물론 남편의 성향을 알기때문에 화가 나거나 그것으로 바가지를 긁지는 않는다. 다만 내 남편이 대화의 중심이 아니라는 느낌 이상의 뭔가 허전한 것을 나는 느낀다. 나도 직장 생활을 했기에 인사고과가 승진의 결정타라는 것, 그것이 업무능력만 가지고 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쯤은 알고 있다. 일을 잘하는 사람보다 그렇지않은 사람이 먼저 과장, 부장자리에 오르는 일이 흔하지 않은가?

어느 날 남편 회사의 높으신 분 가족과 어려운 자리를 함께 했다. 예약되어 있었던 것이 아니기에 우리의 복장이나 태도가 영 부담스러웠다. 다행히 먼저 일어나시는 그 분들을 배웅하러 남편이 따라 나섰는데 그 때 난 보았다. 남편이 그 차에 대고 수없이 인사하는 모습을….

내가 평소 알고있던 남편이 아니라 아주 낯설고, 아무리 부인하려 해도 잘 보이고싶은 마음에서 우러나오는 인사였다. 나와 눈이 마주치자 그 역시 계면쩍은 듯 어색한 웃음을 지어보였다.

돌아오는 길, 앞자리에 앉아 운전하는 그의 어깨가 눈에 들어왔다. 아까의 인사가 자꾸 오버랩되었다. 가장의 무게라는게 이런걸까? 누가 그랬던가 아버지 속옷은 못빨아도 상사 속옷은 빨 수 있는게 남자라고. 남편도 회사를 그만두고 싶다는 말을 아주 가끔 한다. 하지만 물려받은 재산이 있는 것도 아니고 로또에 당첨될 확률도 없기?문에 남편은 이게 최선인양 열심히 일을 한다. 그 역시 자존심도, 청년 때 가졌던 희망도 죽이고 죽여서 이제는 존재하고픈 희망이 아닌 존재하는 현실속에서 살고 있는 것이다.

“원더풀, 원더풀, 아빠의 인생 부라보!”를 노래하며 상사앞에서는 ‘No’ 소리를 하지못하는 그네들의 속내. 인사하는 남편이 아부쟁이나 부끄러운 것은 아니다. 그러나 왜 이렇게 마음이 아플까? 내가 본 것은 여느 월급쟁이 남자들의 비슷한 모습일텐데. 나 역시 짐짓 원하던 아부가 아니었던가? 악덕상사든 착한 상사든 사장이 되기전까지 남편은 부하직원일것이고, 내가 본것은 지극히 작은, 아무것도 아닌 것일 수도 있는데 말이다. 아마도 남편이 그보다 더한 일도 하리란 생각 때문일까.

같이 출발한 동기들 가운데 분명 누군가는 먼저 피라미드구조의 꼭지점에 가게 될 것이며 그것이 남편이면 좋겠지만 아닐 수도 있다. 상사의 한 마디보다 동기의 출세가 더 충격으로 다가올 수도 있을 것이다. 그때마다 그를 위로하고 아무렇지 않은듯 더 큰 힘을 줘야 할 텐데…. 이래서 “남편들한테 잘해야 한다. 잘해야 한다”라고 어르신들이 말씀하시나보다.


    • 글자 크기
그러니까 종자제는 언제죠? (by 십자수) 초보번개 올렸습니다.. (by muj)

댓글 달기

댓글 5
  • 어릴적 뒷산에서 나무를 해서 지게에 질머지고 산길을 지나 집으로 향하는 길에
    지게에 질머진 나무의 무거움을 이기지 못해서 밭두렁에서 쉴어가곤 했다.
    그때는 그 무거움이 삶의 무거움으로 느껴지지 않았다.
    지게에 작대기를 받치고 허리를 펴 바다의 수평선을 바라볼라치면 금새 몸이 가벼워졌다
    지게에 질머진 나무로 아궁이에 불을 지펴 저녁을 준비하실 어머니의 모습을 생각하며
    무거움도 잊은 채 가벼운 발걸움..
    하지만 지금은 존재의 가벼움 보다는 가장으로 책임의 무게가 느껴지는 건 당연하다.
    가장의 어깨에 옛날처럼 나무지게가 없어도 무거움을 느끼는건 왜일까?
    과연 이 무거움이 언제까지 지속 될지는 두고 볼 있이다.
  • muj
    2004.11.17 18:52 댓글추천 0비추천 0
    내.. 그래서 때려쳤잔우...^^;;
  • 2004.11.17 22:11 댓글추천 0비추천 0
    엠유제이님~~~ 잘해써요...^^
    우리의 뮤즈님은 그런게 안어울려...
    영원한 베가본드 엠유제이...+ 빠리..ㅎㅎㅎ
    불량나박...
    가만히 보니 말된다..ㅎㅎㅎ
  • 에이 참~~! 예전에 어떤 교수님이 하신 말슴이 생각 나네요... 철 없는 아내들아 남편이 벌어다 준 돈 함부로 쓰지 말것이다.. 집에서 배깔고 엎어져서 노닥거릴때 또 그 돈으로 뭔가를 사려 할때... 네 남편이 얼마나 힘들게 버는지 생각해야 할것이다. 네 남편 직장에서 하루만 같이 생활 해 봐라~! 10원짜리 한장 함부로 못쓸거다~!
  • 2004.11.18 09:41 댓글추천 0비추천 0
    남편들은 그래도 꿋꿋해야 합니다.
    전 떠나는 차에대고 인사안합니다. 차타기 전에 많이하죠.ㅋㅋㅋ
    철저한 이중생활이(?) 필요합니다. 그래야 오래 직장생활도 잘하고, 오래살 수 도 있죠.
    즉 퇴근-야근을 하던말던-하면서는 직장인이 아닌사람으로 돌아갑시다. 자연인,라이더,아빠,남편이 되는거죠.
    전 그래서 우리 남부군을 사랑합니다.
    !!!철저한 이중생활을 하는 남부군 만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134 심장병 어린이돕기 과천 마라톤!10 잔차 2004.11.15 398
6133 배경음악...1 진빠리 2004.11.15 450
6132 다 주무세요?4 leeky 2004.11.16 398
6131 그러니까 종자제는 언제죠?2 십자수 2004.11.17 392
남편이 고개숙이던 날!!!!5 nitebike 2004.11.17 498
6129 초보번개 올렸습니다..5 muj 2004.11.17 450
6128 모러싸이클 다이어리...4 진빠리 2004.11.18 609
6127 가딘아!..9 진빠리 2004.11.19 410
6126 내일.......5 짱구 2004.11.19 384
6125 토요일...8 muj 2004.11.22 379
6124 11월20일 즐거운 라이딩1 우현 2004.11.22 333
6123 안부.2 반월인더컴 2004.11.23 327
6122 목요일에 수리산 야간 라이딩 하실분 있으신가요?1 gsstyle 2004.11.23 357
6121 젊은미소...8 진빠리 2004.11.24 363
6120 나박님..고물 사요...3 좋은아빠 2004.11.24 367
6119 2004 남부군 종자제...8 진빠리 2004.11.24 709
6118 청계산..1 muj 2004.11.24 361
6117 음악 한곡 들어 보세요...3 십자수 2004.11.25 333
6116 오토바이 성대모사. 함 들어보세요.. 배꼽 잡았습니다.5 comaman 2004.11.25 415
6115 썰물이 되어10 Biking 2004.11.25 342
첨부 (0)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