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체인마디가 빡빡한 현상이 자주 일어날때..

cheri5022006.10.04 11:12조회 수 710댓글 5

    • 글자 크기


제 자전거를 타다보면,,체인 관절(연결부분?)이 갑자기 뻑뻑해지면서 체인이 튀는현상이 일어납니다.

손으로 위아래 움직이보면..정말 이녀석이 갑자기 뻑뻑해졌는데...왜 그런지는 모르겠고..

그래서 체인을 한마디 잘라내고 별 이상없이 타다보면..또 그런현상이 일어납니다.

이게 무슨현상일까요?

지금 벌써 두번째인데...체인을 갈아야하나요? 원인을 알수가 없네요..



그럼 고수님들 조언 부탁드립니다.



아 그리고 링크된 체인 사용해 보신분 있으신가요? 어때요?  체인을 간다면..XT나  XTR급으로 갈려고 하는데..옳은 선택은

무엇일까요?

http://3002bike.co.kr/shop/display/home.php?mode=subdetail&num=3661


    • 글자 크기
무체인 자전거 (by wdh6kl) 쑥스럽군요..^^ (by 도전맨)

댓글 달기

댓글 5
  • 체인 변형일 가능성이 큼니다
    - 앞기어 큰거 넣고 뒷기어 작은거 넣고 다리 터질떄까지 꾹꾹 눌러 주라는 고수님 말씀에 따랏지만 안되더군요.

    - 그래서 링크된 체인으로 저도 갈았습니다. 아주 좋던데요. 예전에 쓰던 XTR보다 너무가벼워 좋습니다.

    - 가까운 시일안에 체인을 휘발유에 넣어서 세척한경우 / 오랫 동안 안탄 경우라면 윤활한번 해보시고요
  • 평소에 윤활을 잘 해 주는데도(체인오일) 체인 변형이 오는 이유는 여러가지가 있는데... 그 중 가장 간과하기 쉬운 내용이 변속습관과 지나친 기어비의 사용입니다.
    체인라인의 허용 한계치를 벗어난 기어비의 잦은 사용이라든지, 변속시 지나치게 급하거나 무리한 힘(무릎에)을 가해 변속한다든지...
    이런 경우에 가장 많이 발생합니다.
    평소 변속습관을 잘 더듬어 보세요.

    올바른 변속 방법은 주행시 평소 다리힘의 70%정도로 낮추어서 최대한 부드럽게 해줘야 합니다. 특히 앞변속의 경우 큰 기어로 올릴때 쉬프팅을 너무 급하게 하지 말고 부드럽게... 작은 기어로 내릴때도 역시 팅~ 하고 체인이 튕겨나간다는 느낌으로 하면 안됩니다. 최대한 부드럽게 스르륵 내려간다는 기분으로.
    오르막에서의 변속은 경사도에 맞게 미리미리 해 줘야 합니다.

    체인 변형은 대부분 서서히 진행 하는 것이 아니라 물리적 충격에 의해서 갑자기 옵니다. 위 설명 드린 경우(상황)에서 처럼요.
    라이딩시 그걸 못 느꼈을 뿐이지 지난 라이딩 중에 체인을 어느 순간 아프게 한 적이 있기 때문에 변형이 오는 겁니다.

    개인적으로 체인은 시마노사의 제품 보다는 SRAM처럼 모서리가 둥글게 깍여 있는 체인이 변속이 부드럽습니다. 근데 시마노만 사용하다 보면 그 부드러움을 느끼지 못하죠.
    카본 핸들바의 탄성이나 진동(충격) 흡수성을 카본바 사용할땐 모릅니다 하지만 카본 사용하다가 알비늄바로 바꾸면 몸이 바로 느끼는 것처럼

    ...체인의 변형이 왔다면 변형이 온 체인 부분을 좌우로 비틀어 틀어줘서 유격을 만들어 주는 방법 말고는 없습니다.
    그리고 분명 체인은 소모품입니다. 주기가 어떤가에 따라 다르지만.
    개인적으로 체인 두 벌로 번갈아 사용하길 추천 드립니다.
  • cheri502글쓴이
    2006.10.4 14:52 댓글추천 0비추천 0
    답변 주신분들께 정말 감사하다는 말씀을 드리고 싶습니다...특히 십자수님의 말씀을 듣고 잘 한번 생각해보았습니다...어제일을 생각해보니...이런일이 있었던거 같습니다..식당에서 밥을 먹을려고 정차하면서..체인의 장력을 풀어야한다는 생각으로 앞뒤장력을 최소화 하려고 변속을 했거든요...타다닥~~ 식당에 들어가기전까지는 멀쩡히 작동하다가 밥먹고 나와서 그런현상이 일어난걸 봐서는...아마도 십자수님의 말씀대로인거 같습니다...근데..변속을 몇단씩 갑자기 타다닥 ...그러니까...뒷기어를 9단으로 빠르게..내일때..체인에 무리가 온거 같네요....
  • 주행중이 아니고 바퀴가 안구르는 상태에서 다운쉬프팅을 한 다음 크랭크를 돌려서 변속을 하셨군요...ㅋㅋㅋ 좋지 않은 습관입니다.
    자전거를 정지 시킬땐 전 항상 출발 할때의 기어비까지 내리고 정지합니다. 보통 2-4정도에 두죠... 장기간 보관 할때만 장력을 걱정 하시고 평상시 라이딩때는 신경 안써도 될만큼 드레일러의 장력은 충분합니다.
    장력이 약해져서 드레일러 바꿔 본 적 한번도 없습니다.
    너무 복잡하게 생각해도 머리 아픕니다. ㅋㅋㅋ
    아무튼 원칙대로만 하면 일 없습니다. 한가지 팁을 더 드리자면.
    뒷 기어의 저단쪽에서는 안튀는데 7,8,9에서만 튄다면. 그것도 9단에서 더 심하게 튄다면 그건 아주 오래된 스프라킷이 아니라면 분명 체인 변형입니다. 전체 체인 마디를 손으로 하나씩 꺼어 보면 분명 한 두 곳 빡빡한 부분이 있답니다. 그거만 틀어서 유격 만들어 주면 바로 잡아 낼 수 있죠. 경험이고 노하우이니 이 글 읽으시는 분들 참고 되시길...

    이론적으로 봅시다.
    큰 기어에선 체인 꺽이는 각도가 작아서 큰 이상이 발견 되지 않지만 작은 기어쪽 일수록 체인마디의 꺽임이 크죠? 페달의 힘을 전달한 체인이 기어를 벗어나면서 빨리 펴져야 하는데 안펴지고 그넘이 트러블을 일으키는 원리지요. 또한 드레일러 케이지의 텐션 풀리와 가이딩 풀리를 지나며 꺽인 체인이(풀리 역시 작은 cog-11T)이므로 거길 지난 체인이 빨리 펴져서 스프라킷에 걸려야 하는데 안펴지게 되는 결과로 덜커덩~ 하며 펴지는 과정에서 튀는겁니다.

    저단(1,2,3)에서는 왜 안튈까요?
    자전거를 거치대에 걸어 두고 뒷 드레일러 변속을 하며 케이지를 잘 살펴 보세요 케이지의 위치와 체인의 꺽임 각도를요...
    작은 기어(9단)일수록 케이지의 각도(텐션 풀리의 위치)는 뒷쪽으로 가고, 저단일 수록 앞쪽으로 가죠. 앞쪽으로 갔을때와 뒷쪽으로 갔을때 가이딩 풀리를 지나는 체인의 꺽임각도가 어떤가요? 9단일때가 체인이 가이딩 풀리를 더 물게 되죠? 당연 체인의 꺽임도 더 큽니다. 펴지는데 시간도 오래 걸리죠. 뻑뻑한 마디가 있다면 그넘을 그 회전각을 제대로 못돕니다.
    말로 쓰려니 길어지기만 했는데 아무튼 다 같은 말입니다.
    아무튼 결론은 고단에서 어느 마디가 튀면 그건 체인 마디 점검이 가장 빠른 길입니다.

    ================================
    특히나 잘 가던 자전거가 갑자기 튀면 백발백중 이 현상입니다. 이런 경우엔 절대로 케이블 텐션 가지고 잡을 생각 마시고 반드시 체인부터 확인을...
    에~~ 이상 시행착오를 너무 많이 겪어버린, 그리고 잔머리 잘 굴리고 중 2(81년)때부터 자전거 만지작 거리길 좋아 하는 중고참 짜수의 열강이었습니다.
    초보님들~~! 이젠 걱정 마세요~! ㅋㅋㅋ
    ================================
    참 체인은 뻑뻑해지는 체인변형이 일어나기도 하지만 트위스트로도 휜답니다. 예전 광덕산에서 오르막때 급격한 변속을 했는데 앞드레일러가 틀어져 버리더랍니다. 그때 체인이 드레일러와 크랭크 사이에 뭉그러져서 트위스트 변형이 오더랍니다. 원인은 제가 급격한 변속을 한 이유도 있지만 드레일러를 프레임에 적정토크 이하로 조여졌다는 사실...
    그 자전거는 제가 맨처음 구입한 켄델 F-700이라는...
    물론 초보때 일입니다.(이 글은 왜 쓰는지 눈치 빠른 분들은 아실겁니다.-샵 관련)
  • cheri502글쓴이
    2006.10.5 12:26 댓글추천 0비추천 0
    정말~ 감사드립니다..오랜 노하우를 가르쳐주시고...^^...복 많이 받으세요.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Q/A 게시판의 이용방법을 알려드립니다 :::35 Bikeholic 2002.12.05 138292
74942 하드테일이냐 XC냐...5 starrynight 2005.10.22 705
74941 트렉4300에서 스템과 싯포스트 업글하면 몇키로 줄까요?5 malibu2 2005.04.15 606
74940 타이어 어떤것쓰십니까??5 go4231 2006.07.20 573
74939 철티비 개조5 s000s 2005.04.24 675
74938 크로스맥스 sl은.....5 휘아아빠 2007.11.07 702
74937 림이 약간 휘었는데요?5 cskh 2003.03.18 283
74936 크랙관련 문의?5 rocki 2007.12.24 561
74935 올마운틴과 XC풀샥의 차이점이 궁굼합니다.5 freeboom 2006.08.28 1386
74934 제 잔차 무게 재보니....5 tgfac(탈퇴회원) 2004.01.30 421
74933 무체인 자전거5 wdh6kl 2005.05.28 616
체인마디가 빡빡한 현상이 자주 일어날때..5 cheri502 2006.10.04 710
74931 쑥스럽군요..^^5 도전맨 2004.10.08 245
74930 초보용 자전거 추천해주세요^^5 dongwan7 2005.06.17 418
74929 키190 에 몸무게85면 어떤자전거를...5 hichan82 2005.07.09 625
74928 GT하드테일자스카팀구입할려고하는데요5 bluesee8321 2006.11.20 470
74927 *사진첨부* 이 잔차 프리인가요? 올마운틴인가요?5 시원한 맥주 2005.07.20 1012
74926 행거가 부러졌는데 해외제품이라 있을까요?5 faraway1999 2006.12.22 470
74925 리모트락 제거5 hysd 2007.01.12 481
74924 타이어 문의드립니다^^5 seasanai 2008.09.28 707
74923 자작 백미러입니다..5 pueriss 2005.08.17 425
첨부 (0)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