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스캇 지니어스 질문입니다.

흑기사2006.04.18 18:28조회 수 697댓글 4

    • 글자 크기


스캇 지니어스의 질문...
흑기사   | 2006·04·17 23:40 | HIT : 165 |

    
안녕하세요 잔차 왕 초보 입니다.
그냥 저냥한 자전거 타고 있습니다. 도로만 타고 있지요...
잔차를 꾸준히 타고 동호회두 나가고 싶은데 직업 특성상 그렇게 못하고 있습니다.
요즘 스캇 지니어스에 꼿혔습니다. 근데 보니 참 종류와 뭔 말들이 많은지...
뭐가 뭔지도 솔직히 모르겠고...
XC,올마운틴,어반 절 너무 어지럽게 합니다.
전 걍 도로라이딩과 산은 가보지 못했지만 산을 꼭 타고보 싶은 라이더 입니다.
여기서 질문 들어 갑니다.
지니어스는 풀샥 입니다. 풀샥은 도로타기 안좋은가요?
지니어스 가지고는 산타기가 힘든가요?
암튼 지니어스30정도 사서 탈까 생각중인 초보 라이더 질문입니다
좋은 답변 부탁드립니다..

211.195.XXX.214
  
니르바나  도로에서도 그럭저럭 잘나갑니다. 왜냐~뒷샥이 리모트로 잠기기 때문이지요~
06·04·17 23:54


red40  지니어스30 정도면 왠만한 산에서도 재밌게 탈 수 있고, 도로에서도 충분히 달릴 수 있는 좋은잔차일거 같은데요..
06·04·18 00:06


흑기사  감사합니다.질문 하나더 지니어스50-10까지 차이는 부품차이인가요?
LX - XT - XTR ? 이차이 인가요? 제가볼땐 그런것 같아서...
06·04·18 00:37 삭제


sunao  부품차이도 있고 프레임차이도 있습니다.
10,20,30은 카본 40,50은 알미늄 임돠...
06·04·18 09:19


eldl  궂이 카본까지 필요 할까요?? 가격차두 많은댕.... 차라리 저급 사시고 용품사세요
안전이 제일입니다 그리고 지니어스는 RC와 MC로 나눠 집니다 RC는 리어트레블80으로 짧고
레이싱 모델이며 MC는 리어트레블이 100이고 올마운틴에 들어갑니다 개인적인생각엔 올마운틴 보단 트레일바이크(XC와 올마운틴 중간)가 맞는듯.... 개인적으로는 MC로 40이나 50 추천합니다
06·04·18 10:40


흑기사  좋은 답변들 감사합니다. 카본이 알미늄 보다 가볍고 튼튼한가요?
막님 말대로 저도 MC를 살예정인데 용품을 사라하시면 어떤걸 사라하시는지..
혹시 헬멧이나 져지를 말씀하시나여? 그건 다 있는데...
아님 부품을 좋은걸루 바구라는 말씀이신지...
제가 읽은 글에는 XT 와 XTR 별 차이 없다기에 걍 올 XT로 꾸밀까 했는데...
참 자전거 사기 참 힘드네요...
06·04·18 11:50 삭제


mum  MC의 리어 휠 트래블은 125mm입니다. 지니어스는 총 3단계로 샥이 작동되지요.(락-트랙션-풀액티브) 원리는 에어탱크의 체적을 줄여서 자연스러운 프리로드를 형성시킵니다. 새로운 개념이죠. 여기에 VPP 시스템이 추가되어 일명 "바빙제로"를 실현하려고 했습니다. 이것이 스캇이 기존의 싱글피봇 시스템을 버리고 멀티링크로 간 까닭입니다.(제논홈피참조)

카본이 알로이에 비해서 가볍다고 할 수 없지만, 지니어스 카본은 알로이 프레임보다 가볍습니다. 탄성은 당연히 카본이 좋죠. 자전거 제조는 "진동"과의 전쟁이라고 할 만큼 진동을 줄이는데 모든 노력을 다하고 있습니다. 카본파이버의 사용은 "진동"을 줄이는 설계에 있어 특효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단점은 깨진다는 것이죠. 또한 표면이 손상되면 수분을 흡수하여 내구성이 현저하게 떨어진다는 것과 제조가 상당히 까다롭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단점보다는 장점이 훨씬 많습니다. 그래서 최근에는 자전거 제조에 카본을 중용하고 있죠(하이엔드만 해당)

카본 자전거 소유자들의 공통적 불만은 내구성에 있지 않습니다. 보통 기스에 약하고, 메인터넌스에 신경을 써야하는 점이 공통적 불만입니다. 여유가 된다면 카본 프레임을 타보세요. 카본 MTB를 타본다는 것은 흔한 경험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06·04·18 15:11


흑기사  답변 감사 드립니다. 질문 있습니다. 그럼 카본은 상처가 생기면 부식이 빠르고 복구가 힘들다는 말입니까? 그럼 차라리 MC40-50(아로이)을 사서 부품을 업하는게 훨씬 좋다는 말두 되겠네요.. 위에 어떤 님이 답해주신것 처럼...
글구 카본 프레임이 그리 가격이 부담이 되는 겁니까? 흔한 경험이 아니라는 말이...
카본과 알로이... 아 이제는 이곳두 걱정인가... 왕초보 머리 깨집니다.. ㅡㅡ;


글 읽어 보시고 답해주시길...


    • 글자 크기
로터 사이즈 키우기? (by kstbest) GT자스카 프레임 질문입니다. (by dlrbwhd)

댓글 달기

댓글 4
  • 질문이 뭔지 모르겠네요. 맨 위의 내용이라면 이렇게 답해주고 싶습니다.
    장비를 탓할게 아닙니다. 입문용, 저가형 자전거로도 산, 도로 잘 타시는 분 많습니다.
    그리고.. 꼭 저 위의 질문 내용에 답을 하자면..
    풀샥이라고 도로 타는데 힘든건 아닙니다. 요즘 뒷샥이 잘나와서 바빙을 줄여주기도 하고, 락도 있어서 하드테일과 비슷한 정도까지 왔다고 하더군요. 지니어스로 도로 타는데는 무리 없을것입니다. 단지 도로만 탈거라면 풀샥까지는 필요없다는것이죠.
    또 지니어스로 산에 가는것 가능합니다. 자전거에 맞는 용도라는게 있죠. 지니어스는 몇m 드랍같은걸 하는 자전거가 아닙니다. 울퉁불퉁한 길 올라가고 내려오는 그런 자전거입니다.
    당연히 산악용이니 산에 갈 수 있는거죠.

    그리고 XC, 올마운틴, 프리라이딩, 다운힐.. 요런건 다니는 곳이 얼마나 험한가?를 두고 나눈거라 보시면 될것입니다. 다운힐 쪽으로 갈 수록 험한 곳을 다니는 용도기에 튼튼하게, 무겁게 나오는 것으로 보면 될겁니다.
  • 흑기사글쓴이
    2006.4.18 20:42 댓글추천 0비추천 0
    네 감사합니다.윗글은 제가 질문한거고 다음들은 횐님들꼐서 답변해주셨던것 복사해 붙입겁니다. 제 마지막 질눔은 카본으로 가느니 차라리 알로이로 가서 부품 업하는게 더 좋냐고 물어본것 입니다. 막님께서 카본은 소재가 좋으나 기스에 약하다는 말에...
    카본과 알로이에 무게와 내구성에 차이가 없다면 차라리 알로이가 좋지 않을까 해서 질문 드립니다.!!
  • 카본의 장점은 '승차감'에 있습니다. 알로이는 그대로 충격을 몸으로 전달한다면
    카본은 잔충격을 몸으로 걸러서 보내주어 승차감이 고급스럽고 장기라이딩에 덜피곤합니다.
    단, 아무래도 뾰족한 점에 걸리는 충격에 약할 수는 있지만, 최근의 카본 기술들 역시
    그에 대해 많이 발전하고 있어서 생각만큼 무르거나 약하지는 않습니다.
    오히려 타는 스타일에 따라서 알로이 보다 수명이 더 길게 나올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같은 구조라면 카본쪽이 알로이 보다 좀더 가볍게 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 mum
    2006.4.19 17:59 댓글추천 0비추천 0
    알로이 프레임의 가격은 재료의 차이보다는 가공의 차이입니다. 버티드나 테퍼드와 같은 튜빙 가공부터 튜브간 접합을 위한 용접가공의 균일함, 그리고 용접 부위 주변의 고른 스트레스 분배를 위한 후처리 작업등 많은 작업들이 있습니다. 최상급에 해당하는 알로이 프레임은 좋은 상기와 같은 질 좋은 제조과정을 통해 라이더들에게 널리 애용되고 있습니다.

    카본의 제조 과정은 "성형"입니다. 아주 가는 탄소섬유를 사용하여 특정패턴으로 직조하고 에폭시와 같은 접착물질을 사용하여 탄소섬유사이의 미세한 틈을 정교하게 채워서 강한 소재로 만들어냅니다. 이렇게 만든 튜브를 접합하거나 모노코크 타입으로 프레임을 제작하게 되는데, 많은 시간이 필요합니다. 또한 카본 프레임의 경량화를 위해 스틸이나 알로이 튜브들처럼 버티드를 하게됩니다. 하지만 금속성 재질과는 달리 카본 프레임의 버티드 공법은 특수합니다. SCOTT의 CR1의 경우, 카본섬유 원단을 양끝에서 강하게 잡아당겨서 버티드 하는 방법을 사용합니다. 비닐의 양끝을 잡아당기면 생기는 현상과 비슷합니다.
    금속재질을 사용한 프레임 제조에 익숙한 많은 자전거 제조사들이 카본 프레임 제작이 까다롭다고 생각하는 것은 위와 같이 프레임 공정이 아주 다르기 때문입니다.

    알로이나 스틸은 충격에 의한 임팩트 순간 휨현상을 보입니다. 흔히들 프레임이 먹었다는 표현들을 하죠. 금속성 재질의 일반적인 현상입니다. 카본의 경우 다이아몬드 구조의 강한 분자구조때문에 휨 현상을 보이지 않습니다. 일정량 이상의 충격이 오면 깨져버리죠. 깨진 탄소섬유 덩어리들은 부셔지기 시작하고 파이버 조직상에 습기가 들어차게 됩니다.

    알로이의 경우 강한 충격을 받으면 크랙이 생기거나, 휨 현상을 보입니다. 휨 현상은 프레임의 밸런스를 잃어버려 진동흡수, 조향력의 대부분을 상실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며, 일정 시간 후에는 특정부위에 누적 피로도가 집중되어 곧 크랙이 발생하게 됩니다.

    무게가 어느것이 가볍다고 단정지을 수 없습니다. 프레임 제조사의 제작의도와 제조기법에 따라 많은 무게 차이를 보이기 때문입니다. 각 프레임이 가지고 있는 특장점 중 어느 것이 자신에게 필요한 요소인지를 파악하여 프레임을 선택해야 합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Q/A 게시판의 이용방법을 알려드립니다 :::35 Bikeholic 2002.12.05 138285
70402 첼로 CXC-3000D를 질렀습니다. 사이즈가 제게 맞나요?4 peter3 2008.07.08 694
70401 락샥 파일롯의 적정 공기압은 요?4 popoboy1 2004.11.16 445
70400 타이어 추천좀 바랍니다.4 nairobe 2003.07.11 419
70399 어반용, 어떤게 괜찮을지....4 jinhaha 2004.12.05 418
70398 튜브리스 타이어 위치교정후 바람이 좀 빠지는데?4 lgh2319 2008.09.12 433
70397 트랙 8500 프레임에 관하여..4 pyoungwon2 2003.07.25 537
70396 질문여4 sang333333 2003.07.26 169
70395 브레이크 구성을 할려고 합니다.4 zzzz10 2004.04.13 209
70394 대두(大頭)용 풀페이스 헬멧 어디서 사나요?4 종이비행기 2004.04.27 425
70393 그립과 바지 문의입니다.4 필아트 2003.08.08 343
70392 49만원으로 신차 이잔차가 가격대비 최고사양 일까요~?4 미르코크로캅 2006.04.08 575
70391 레프티샥 문의요?4 teen90 2007.03.03 414
70390 로터 사이즈 키우기?4 kstbest 2009.02.12 664
스캇 지니어스 질문입니다.4 흑기사 2006.04.18 697
70388 GT자스카 프레임 질문입니다.4 dlrbwhd 2004.05.17 455
70387 1.95휠에.. 2.35타이어가..4 Re레디전에 2004.05.19 299
70386 일반자전거에 MTB부품이 맞나요?4 Bluebird 2005.02.05 289
70385 스템 바꿀때 포크 길이 질문입니다4 kyt2 2003.09.05 311
70384 유압디스크브레이크오일4 yeaeun20 2006.05.02 398
70383 일반적인 jersey 사이즈 고르는 요령 알려주세요~ ^^4 present9 2005.02.13 245
첨부 (0)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