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디스크 블리딩 질문입니다.. 답답합니다..ㅡㅡ;

로드러너2004.07.10 00:10조회 수 409댓글 8

    • 글자 크기


블리딩을 했는데요.. 혼자 집에서..

피스톤을 끝까지 밀어놓고 블리딩을 마쳤는데요..

레버를 잡으니..

패드가 너무 가까이 붙어버립니다..

리턴거리가 너무 짧아졌습니다.. 그리고

실린더가 중앙쯤에 고정되었습니다.. 거기서 왔다갔다합니다..

당연히 로터도 끼울수없지요.. ㅡㅡ;;;

1) 다른 브레이크도 블리딩시 피스톤을 끝까지 밀어줍니까?

2) 피스톤에 혹시 리턴스프링같은 것이 들어가있나요?
아니면 유압자체의 힘만으로 되돌아가는건가요?

3) 혹시 피스톤과 캘리퍼 본체와 사이에 이물질 때문에 리턴이 안될수도 있나요?


궁금합니다..

혹시.. ㅡㅡ?
어떤분이 블리딩시에 레버를 몇번 잡았다 놨다 해주라던데 그것 때문에 피스톤이 나와서 고정된것일까요?  

답답하기가.. 하늘을 찌를듯합니다..

고수님들의 답변 기다려봅니다..


    • 글자 크기

댓글 달기

댓글 8
  • 스트레스 많이 받으시겠어요. 먼저 피스톤을 끝까지 밀어 넣는 것은 기본입니다. 반드시 그렇게 해야 합니다. 이물질 때문에라기 보다는 실린더의 외벽에 윤활이 되지 않아 뻑뻑해서 그럴 수 있습니다. 그런 경우 문제의 반대편 실린더를 밀어넣은 상태에서 레버를 잡으면 문제의 실린더가 나올 것입니다. 이것을 몇번 반복하시다 보면 같은 비율로 실린더가 나올 것 같네요. 그리고 레버를 몇번 잡았다 놓는 것만으로 좋은 결과를 얻지 못합니다. 1) 실린더를 끝까지 밀어넣고서 2) 캘리퍼에서 레버쪽으로 오일을 아주 천천히 밀어넣고(무지천천히) 3) 밀어넣으며 유압호스를 밑에서부터 위까지 강하게 빨리 두들겨 줍니다. 호스 내벽에 공기방울을 제거하기 위해 4) 레버쪽에서는 빠르게 잡았다 놓았다를 반복하여 레버쪽의 공기방울을 제거해야 합니다. 할일이 많지요. 그런것 같아도 하다보면 고만고만 하답니다. 공기방울을 제거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 오일을 밀어 넣는 작업은 2 ~ 3회 정도 해주세요. 공기방울을 제거하기 위해 절대 성급히 오일을 집어넣으면 안되고 유압 호스를 손가락으로 두들겨 내벽의 공기방울 제거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가급적 캘리퍼와 호스를 프레임에서 분리해서 레버를 가장 위에 놓고 직선으로 놓은 상태에서 작업을 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일 것입니다.
  • 메드니스님 답변 감사합니다. 저도 궁금했던것이였거든요^-^) 언제 실행을 해야할텐데..ㅡ.ㅡ;
  • 로드러너글쓴이
    2004.7.10 09:36 댓글추천 0비추천 0
    감사합니다..(__)
  • 다른 이상 없다면 다음 2가지에 문제가 있을 듯..
    (ㄱ) 필요 이상 피스톤을 안쪽으로 밀어 넣어 재 리턴시 피스톤 작용이 어느 지점에서 원활치 않음.
    (ㄴ) 오일이 필요 이상 들어가 있음.
    해결할 수 있는 방법 은,
    1. 브레이크 레바 고정 볼트 약간 풀어 오일 주입 탱크 뚜껑이 지면과 평행돼도록. 캘리퍼 뭉치 분리 지면에 수직으로 늘너뜨림. 블리드니쁠에 고무호스 끼고 끝부분에 힌 고무봉 씌움.
    2. 브레이크레바에 있는 오일 주입 뚜껑 열고 오일 충분히 넣음.(작업중 오일은 수시로 점검 적정선 항시 유지)
    3. 캘리퍼에 붙어 있는 블리드니플을 왼쪽으로 약 45도 풀어놓은 상태에서 피스톤을 평평한 판으로 서서히 양방향으로 밈(틈이 약 2-3mm, 오일 블리드니뿔 구멍으로 흘러나옴). 순간적으로 블리드니쁠 잠그 고 동시에 피스톤사이 2-3mm 두께의 평평한 판자(pad spacer)로 고정.
    4. 브레이크 주입구, 라인, 캘리퍼를 딱딱한 고무 등으로 서너번 적당히 두드려줌. 브레이크 레바를 3-4번 서서히(오일 체크) 끝가지 잡아당김.
    5. 캘리퍼 프레임에 장착. 오일 점검하면서 브레이크레바 작동이 정상인지 확인.
    6. 작동 느슨하면 니쁠 45도 정도 연상태에서 레바에 힘주어 오일 약간 뺌고 동시 니쁠 잠금(라인내 공기 제거)

    이상입니다. 좋은 결과 바랍니다. 작업전 오일, 필요 공구(특히 블리드니쁠용 써
  • 로드러너글쓴이
    2004.7.10 10:42 댓글추천 0비추천 0
    좀더 자세한 설명 감사합니다.. 근데 추가 질문인데요.. 실린더의 위치는 잡았는데.. 레버를 완전히 잡았다가 놓아도 실린더의 이동 거리가 얼마 되지않습니다.. 뭐가 잘못된건가요?
  • 잔차일 경우 자동차와 달리 실린더 이동거리 아마 0.1mm 내외이거나 패드와 로터면이 거의 닿은 상태에서 로터면까지 이동할 뿐입니다. 자체적 으로 수축시키는 스프링은 없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굳이 필요한 것도 아니지만). 단 패드 고정하는 두개의 shaft 로 약간의 수축효과는 있습니다. 이 두개의 shaff 를 점검하시고 필요하다면(이상있으면 교채) 휜 방향으로 약간 더 휘어주어(구부러지지 않도록) 텐션을 좀더 증가시켜 패드를 고정해 보심이... 근데 장착후 주행에 이상 없으면 O.K. 로 보는데... 너무 근심 마시길...Good luck!
  • 로드러너글쓴이
    2004.7.10 11:18 댓글추천 0비추천 0
    감사합니다..(__)(--)(__)(--)v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Q/A 게시판의 이용방법을 알려드립니다 :::35 Bikeholic 2002.12.05 138278
68982 라이트 추천 해주세요 (4-5만원대)4 akmakun 2003.10.30 302
68981 [re] SOS !!!4 ........ 2003.01.17 215
68980 NRS의 MPH 브레이크 질문입니다..4 태팔[泰八] 2003.11.06 292
68979 자이언트 ACid에 아시는분???4 POBA 2003.01.23 506
68978 이거 크랙인가요?4 회색무지개 2003.11.14 503
68977 이 자전거에 대해서 알려주세요4 mcdino 2005.10.19 345
68976 타이어 질문입니다4 깡따 2007.08.27 445
68975 다운 크라운 구할 수 있을까요.....4 김민우83 2003.01.29 350
68974 스페샬라이즈드 S워크 장갑 사용하시는분 안계시나요??4 jeon7770 2004.07.20 353
68973 락샥 레바 sl 트래블 조정은 어떻게 해야 하나요??4 nanjinjja 2005.04.23 442
68972 입문용 자전거 2모델중 무지 고민중입니다. 조언좀 부탁드립니다.4 kenshin0305 2006.07.26 453
68971 어떤 라이트가 괸찬을 까요4 버버리 2007.10.16 517
68970 클릿 페달 추천!!부탁합니다.4 nysports 2007.11.08 658
68969 [질문] 엘파마 LX 6000 VS 프로코렉스 XO 9004 kp135 2003.04.01 606
68968 21단을......4 koy12 2003.04.06 414
68967 키177센티인데 프로카 작을까요?4 zzatwo 2004.01.25 372
68966 21단휠셋과 24,27단용휠셋의 차이?4 pdaisoung 2004.02.15 318
68965 엘리트 레이싱 스템 각도 질문입니다4 surisuri 2005.06.11 237
68964 자전거 구입문의?4 megasaw 2003.05.27 425
68963 30만원 내외 하드테일프레임 추천 부탁드립니다.4 performer77 2004.10.14 475
첨부 (0)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