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IRD Techno-GILDE 헤드셋

name2007.12.22 19:03조회 수 1264댓글 14

  • 2
    • 글자 크기







오랫동안 가지고 싶었던 헤드셋이었는데 국내에 들어온다는 소식이있어서 언능
구매했습니다.
우리나라에 현재 몇개의 샘플만 들어왔다고 하네요
빨간색은 내가 구매해서 없을것이고 다른컬러는 직접확인하여 보세요.
www.bike4989.co.kr
가지고 싶었던 제품이니많큼 기대를 저버리지 않으니 참 기분이 좋아 제 사용기를 적어드립니다.

====  제품 사양   ===

* Tange Sealed Cartridge Bearings
* Precision CNC-machined 7075 Aluminum Cups
* O-ring seal
* Stainless Steel Race
* 6 anodized colors: black, silver, red, blue, gold and titanium
* 110 grams, stack height 26mm, 1" & 1-1/8"

===  제품 특징 ===

- 일단 헤드셋 제조가 일본의 TANGE회사에서 OEM으로 생산되는 제품이라는 것입니다.
  베어링 하면 일제가 좋다고들 하죠.

- 프레임의 헤드튜브 밖으로 나가는 폭은 하단 13mm, 상단 14mm

- 실링방식
  - 하단은 베어링자체가 쉴드되어있음에도 헤드셋컵속에 들어있는 베어링을 덥어버리는 얇은 고무판
    이 베어링레이스사이에 존재하여 철저한 쉴드를 도모했다는 것입니다.
    전에 사용하던 킹헤드셋은 중간에 없어서 베어링위에 점도가 높은 그리스를 사용하여 레이스사이로
    스며드는 투습을 막았는데 사용하다가보면 그리스가 검게 변한것들이 외부로 조금씩나와 지저분해지는
    일이 있어서 좀 그랬는데 이IRD헤드셋은 그럴필요 없어 기분 좋네요.
  - 상단은 스티어러부분은 고무링으로 실링을 마무리 하였고 컵과 컵사이에는 하단컵을 상단컵이 덥는 형태로
    아무 정밀하게 작은 공간만을 만들어 투습을 방지하겠끔 하였네요.
    이런방식 맘에 들어요..전에 샾에 놀러갔는데 코호시스헤드셋도 상단부분을 같은 방식을 사용하는것보고 놀라웠거든요

- 또 하나 이것은 사용하는데 나타나는 기능은 아니고 분리/장착시에만 기분좋게 하는 것인데
  장착시 하단에서 쇼바를 집에넣고 상단에서 뚜껑을 덥기전에 베러링을 스티어러튜브에 고정시켜주는 링이 분리형이 아니라
  위 뚜껑에 고정형(손으로 탈부착 가능)으로 되어있어 작업시 손이 한번더 안가니 좋긴 하더라구요^^

- 내가 가지고 싶었던 헤드셋이어서 느낌이 그런건지는 모르겠으나 현재 여러개의 헤드셋사용해본 것과
  이번에 사용한 IRD헤드셋을 비교한다면 IRD헤드셋이 라이딩시 핸들링이 아주 가벼워 가장 높은 점수를 주고 싶네요.


  • 2
    • 글자 크기
광덕산 MTB대회 (by bool) 혼다의 머신 (by 듀랑고)

댓글 달기

댓글 14
  • 2007.12.23 00:34 댓글추천 0비추천 0
    개인적인 사견으로는 그다지...ㅡㅡ;
    이제껏 본 것들 중에서는 그 유명한 킹보다는...호프가 제일 좋더군요.
    완벽한 씰링처리와 마감......

    근데 제가 실재로 써본적은 없습니다.ㅎㅎㅎ 근데 만져만 봐도 빈틈없이 완벽한 느낌이 들더군요
  • 좀 창피하긴 하지만 초보질문하나 드리고 싶은데요....
    이런 해드셌(예를들어 KING등-일명 비싼 해드셋들)사용은 왜 하는건지
    이유가 궁굼합니다.
    제가 엔지니어라 그래도 기계나 철계통에선 좀 아는편인데
    구조적으로 볼때 비싼거나 싼거나 별차이를 모르겠던데...
    가끔씩 예쁜컬러에 10만원 중반대의 해드셌을보면 "이쁘다,자전거 악세사리같다"라는
    감탄을 하곤 합니다.
    그런데 돈이 주머니에 있어도 막상 구입하겠다는 생각은 제 입장에선 일명 돈발르는일
    정도로밖엔 이해가 않돼서요,,,정말 이런 해드셋 사용하면 코너링이 좋다거나
    아님 파워핸들처럼 느낌이 다른건가요?
    전 여태껏 완성차에 들어가있는 기본 해드셋 외엔 사용해본적이 없습니다.
    입문용 해드셋의 베어링은 사실 허접하더군요,거의 볼베어링 수준이라...하지만
    사용하는덴 문제점 없었습니다.
    요즘은 실드베어링 제품 사용하지만 별다른 차이 못느낍니다.
    이것도 캔크릭제품으로 별로 비싼거 아닙니다.

    단지 이쁜 컬러때문인지
    아님 탁월한 성능 때문인지...전부터 이런것이 참 궁굼하더군요.
    이상하게 질문이 되버렸네요..^^..
  • 90%는 뽀댑니다..
  • 뽀대죠..
  • 2007.12.23 19:48 댓글추천 0비추천 0
    예쁜컬러에 2만원대 헤드셋도 요즘 나옵니다...
  • 2007.12.23 19:49 댓글추천 0비추천 0
    정작 구동부의 일부인 풀리도 XT이하에선 베어링 대신 프라스틱 부싱으로 때우는데
    헤드셋에 실드베어링이다 니들베어링이다 하는건 사실 큰 의미는 없죠
  • 그나마 킹해드셋 이쁜걸로 구매할지도 모르겠다던 2%의 지름신마저 달아나 버리는군요..^^..
    외람되지만 그런 해드셋을 비싼돈주고 구입하시는분들(참 많던데) 정말 이해를 못하겟네요.
    "나 명품쓴다"...뭐 이런 건가요?
  • 크리스킹은 모르겠구요.. 제가 경험해본 바로는
    저가형 헤드셋의 경우엔 베어링의 실링이 제대로 안됬는지. 어느정도 사용하면 핸들이 약간씩 무거워 지고 정비를 해줘야 하더라구요..]
    하지만 고급 베어링을 사용한 해드셋 제품들은 오랜시간 이 지나도 실링이 제대로 되서인지.
    핸들링의 차이가 없더군요..
    뭐..손으로 돌리는 정도의 핸들링이라면 별반 차이 없지만.. 라이딩중 고개만 돌리는 행동..
    (사람은 고개를 돌리면 자신도 모르게 몸의 중심이 그쪽으로 살짝 이동합니다. -보드탈때 흔히들 하죠..방향을 꺾을려면 그쪽을 쳐다보라고..) 만으로도 핸들이 돌아가는 상태가 고급 제품들은
    오랜시간 유지되더라구요.. 어느정도 이상 제품은 뽀대죠..
    방행 전환할때 의식하고 핸들을 손으로 잡아 돌리시는 분은 아마도 없으실겁니다..
    자연스럽게 체중이동에 의한 셀프스티어로 방향을 전환하니깐요..
    그럴때 어느정도 고급 제품들이 부드러움이 오래 지속 된다는 소리죠..
  • 여러가지 여러자전거에 써본 결과는 다 똑같음... 1%가 다르더라도 일반라이더는 절대로 느끼지 못할것이라는데에 한표..KING이라고 써있는 뽀대, 그리고 그 KING을 써야만 나중에 중고가격을 제대로 보장받을 수 있다는 믿음이 크다고 봄..
  • 좋은 헤드셋 의 조건은 뽀대 뿐만이 아닙니다.
    헤드셋,크랭크,허브는 차폐성과 내구성이 동반되는 제품이 가격이 조금 비싼편인것 같습니다.

  • 저가형의 경우 브레이킹시 유격 발생이 좋지 않더군요. 이 유격이 진동으로 바뀌면 프레임 피로도에도 나쁜 영향을 미치겠죠. 가격으로 말씀드리기 뭐하지만 한 3만원짜리 정도면 충분합니다. 그 이상은 뽀대겠죠.
  • 2007.12.24 09:45 댓글추천 0비추천 0
    내구성 입니다. 한번 사면 될 것을 저가들은 몇번씩 베어링 교체나, 구입을 해야하니......
  • 제가 듣기론 kohosis에서도 IRD에 해드셋 oem납품 하는걸로 알고있습니다
  • 차폐성과 내구성은 저도 동감합니다.
    제가 사용하던것들은 기름도 좀 묻어나고,기름때도 달라붙고...
    암튼 오랜만에 분리하면 미세한 흙가루때문인지 서거덕거리긴 합니다.(짜증나죠)
    하지만 이런건 주기적으로 분해청소하고하고 허브그리스 발라주면 됩니다(별로 귀찮지 않습니다=이또한 정비의 즐거움이니=저는 코다 익스트림과 쥬디버터 정도 사용합니다)
    칼라가주는 튜닝의 즐거움 과 명품의 값어치 ...이것도 무시 못하죠.
    하지만 여전히 제 입장에선 사용하기 꺼려지는 ,아니 선뜻 구매하기 힘든 고가라는 사실.
    단지 그겁니다.
    그냥 제 입장에서만 그렇다는 것입니다.
    가격대비 성능면에서만 볼때 입장이죠.
    예전 흔한 논쟁이 되었던 유명핼멧과 싸구려 핼멧의 논쟁 같은 그런 것 말이죠.
    문제는 사용하는 사람의 만족이겠죠.
    결국 질문 아님 질문이 되었는데 글쓰신 분께는 쌩뚱맞은 저의 리플로
    조금 부담을 드린것 같아 죄송스럽게 생각하구요,나름데로 성의있는 리플들도 감사드립니다.
    덕분에 제가 미처모르던 그런것도 알게되었습니다..^^..
    다들 즐거운 성탄절을 보내세요.
첨부 (2)
b.gif
133.9KB / Download 1
a.gif
122.8KB / Download 2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