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오늘도 비켜줬건만...

smilejiho2004.06.13 01:11조회 수 272댓글 0

    • 글자 크기


갈지자 행보에 버벅거림에

한강잔거도로 오르막(?) 삽질부터

그 내리막 다운힐(?)까지..

참을 인자 그려가며 피해왔건만...

이따위 마인드라면 굳이 그럴거 없겠군요.

더블 에어혼이나 달아볼까... ㅡ_ㅡ^

흠...

그나저나 아직도 드림위즈가 있었다는 사실에 놀랄 뿐입니다.

저런 마인드를 가진 부사장이 있는데 아직도 안망했다니 흠..

신기할 따름입니다.




>(질문1)자전거도로에서 인라인스케이트를 타는 것은 불법일까?
>
>(질문2)인라인스케이트나 자전거는 ‘차’일까 ‘보행자’일까?
>
>
>(질문3)자전거도로에서 정상 주행 중이던 자전거에 인라인스케이트가 무단횡단을 하다 부딪쳤다.과연 누구의 과실이 더 클까?
>
>
>
>
>인라인스케이트나 자전거를 타는 사람이라면 한번쯤 품어 봤음 직 한 의문들이다. 그런데 이런 질문들에 자신 있게 정답을 말할 수 있는 사람은 과연 몇이나 될까?
>
>
>
>
>
>
>
>고유가로 인한 대체교통수단으로, 또 최근 ‘웰빙’열풍 등으로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인스케이트와 자전거를 즐기는 인구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
>
>
>
>우리나라 인라인스케이트 인구는 약 450만 명. 자전거는 2002년에만 사상 최고인 150만대가 팔리는 등 650만 명 가량이 타는 것으로 추정된다.
>
>
>
>
>하지만 변화된 시대에 걸 맞는 법 개정이나 시설물 이용 지침이 만들어 지지 않고 있는 것은 물론 상대방을 배려하는 라이더들의 의식부족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많은 부작용을 낳고 있다.
>
>
>
>
>▼인라인스케이트 vs 자전거▼
>
>
>
>
>이른바 ‘로드런’이 유행하며 공원 등 제한된 장소에서 즐기던 인라이너들이 도로로 쏟아져 나왔다.
>
>
>
>
>인라이너들이 선택한 ‘로드런’ 장소는 자전거도로. 그런데 대부분의 자전거도로는 폭이 좁다.
>
>
>
>
>대표적인 자전거도로 인 서울 한강시민공원 자전거도로의 폭은 3m 남짓. 중앙선으로 분리된 편도의 넓이는 1m50밖에 안 된다. 이 좁은 도로에 원래 있던 자전거 외에 인라인스케이트와 마라토너까지 몰리자 각종 충돌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기 시작했다.
>
>
>
>
>자전거 타는 사람들은 “왜 자전거 도로에 인라인스케이트가 들어오냐”며 불만을 제기했다.
>
>
>
>
>그러나 자전거 타는 사람들의 목소리는 별 공감대를 얻지 못했다.
>
>
>왜냐하면 한강 변 자전거도로는 ‘자전거전용도로’가 아닌 ‘자전거보행자겸용도로’였기 때문(자전거 이용 활성화에 관한 법률).
>
>
>도로교통법상 ‘보행자’인 인라인스케이트도 당연히 이용권리가 있는 것.(질문 1·2의 답)
>
>
>
>
>자전거 타는 사람들의 불만은 또 있다.
>
>
>도로교통법 2조 13호에 자전거는 차로 규정돼 있다. (질문2의 답)
>
>
>이로 인해 자전거겸용도로에서 일어나는 각종 사고의 시시비비를 가릴 때 억울 하게(?) 가해자가 되는 경우가 잦다는 피해의식에 시달리고 있는 것.
>
>
>
>
>2만 명 이상이 가입된 대표적인 MTB 동호회 사이트 와일드바이크(www.wildbike.co.kr)등 각종 자전거 관련 게시판에는 인라인스케이트와의 충돌사고로 인한 억울함을 호소하는 글을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다.
>
>
>
>
>실제 경찰에서도 “자전거도로에서 자전거 관련 사고가 발생했을 때 자전거를 자동차’로 규정한 도로교통법의 교통사고처리지침에 따른다”고 밝혔다.(질문3의 답)
>
>
>
>
>그렇다고 인라이너들의 불만이 없는 것은 아니다.
>
>
>
>
>대표적인 인라인스케이트 사이트인 인라인시티(www.spark.dreamwiz.com)운영자인 박순백 드림위즈 부사장은 “자전거에게 기득권이 주어진 것 같은 느낌이 드는 ‘자전거도로’란 명칭부터 고쳐야 한다”고 주장한다.
>
>
>그는 “한강 자전거도로의 경우 ‘인라인도로’로 봐도 무방할 정도로 인라인스케이트가 점령했다”며 “(절이 싫으면 스님이 떠나듯) 자전거는 교외로 나가거나 국도에서 타면 될 것 아니냐”고 말했다.
>
>
>
>
>이런 불만들은 각각의 전용 도로를 만들어 주면 간단하게 해결된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그럴만한 공간이 없다는 게 문제.
>
>
>
>
>▼“공존 방법 모색해야”▼
>
>
>
>
>문화일보에서 인라인 기자 커뮤니티를 운영하는 김구철 기자는 “자전거와 인라인스케이트의 싸움은 무의미하다”며 “(현실을 인정하고)서로의 문화를 이해하고 ‘공존’할 방법을 찾아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
>
>
>
>그는 “자전거 도로의 명칭을 ‘녹색도로’라고 바꿔 모든 무동력 교통수단이 이용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며 “선진국의 경우 도심 곳곳에 화석연료를 안 쓰는 교통수단 전용 도로를 늘리고 있는 추세라고 말했다. 그는 “우리도 양측이 힘을 합쳐 ‘녹색도로’를 도심까지 확대하는 공동사업을 추진 할 방법을 찾아봐야 한다”며 “인라인스케이트와 자전거를 타는 사람 간의 적극적인 교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
>
>
>
>박해식 동아닷컴기자 pistols@donga.com
>
>--------------------------------------------------------------------
>인라인쪽의 손을 들어주는 것 처럼 보입니다.
>인라인도 보행자였군요. 처음 알았네요... ㅋㅋ
>제일 싫어하는 결론이 이딴식의 결론인데.....
>
>서로 대안을 찾자, 공존의 길을 모색하자, 서로 이해해야 한다....
>참나.. 어쩌라는겐지....
>


    • 글자 크기
기본 사상이 잘못된 기사라고 생각됩니다. (by Bluebird) 인라인 타는 사람입니다. ^^ (by huni0622)

댓글 달기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드디어 복구했습니다. 와일드바이크 심폐소생의 변!41 Bikeholic 2019.10.27 4418
116916 인라이너분께, 질문 드립니다. ^^;; rain215 2004.06.13 1825
116915 이미 틀렸다구 봐야.. 필스 2004.06.13 246
116914 그게.........ㅠ.ㅠ 필스 2004.06.13 200
116913 입문용 뒷쇼바있는거 어덯게 생각하세요? hsg0809 2004.06.13 396
116912 첼로 CXC 7000 F 무쟈게 비싸더군요..ㅎㅎ topgun-76 2004.06.13 1063
116911 우왕..배웅후 어쩐지 집에 와서는 잠이 안오더라구요.(냉무) 똥글뱅이 2004.06.13 190
116910 오늘 집에서 떡 잔치 했습니다 넘버3 2004.06.13 185
116909 rider72님의 글 잘 읽었습니다. coda10 2004.06.13 254
116908 오늘 팔뚝 벌겋게 익었습니다. yessunny 2004.06.13 213
116907 아~ 날초~ 2004.06.13 212
116906 ==삘스님과 카니발 유저분들과 운전하시는 모든 분들께 캠패인== 레드맨 2004.06.13 227
116905 오늘자 동아일보 기사입니다. 어쩌라는 건지... 참나... rider72 2004.06.13 332
116904 오늘 집에서 떡 잔치 했습니다 coda10 2004.06.13 279
116903 중학교때 '푄' 현상을 자꾸 '쬔' 현상으로 읽어서.. prollo 2004.06.13 256
116902 오늘자 동아일보 기사입니다. 어쩌라는 건지... 참나... rider72 2004.06.13 339
116901 푄 현상을 아십니까? 날초~ 2004.06.13 512
116900 기본 사상이 잘못된 기사라고 생각됩니다. Bluebird 2004.06.13 282
오늘도 비켜줬건만... smilejiho 2004.06.13 272
116898 인라인 타는 사람입니다. ^^ huni0622 2004.06.13 485
116897 맨 왼쪽이 삘스란 분이신가요? 십자수 2004.06.13 215
첨부 (0)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