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젖산역치 (Lactate-Threshold:LT)

法眞2003.09.02 09:46조회 수 3536댓글 0

    • 글자 크기


제목 없음 [시리즈 펌]

 

 

젖산역치는 마라톤 선수가 얼마나 빨리 달릴 수 있는가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이다. 가장 좋은 기록을 내기 위해 어떤 페이스로 달려야 하는가? 그것은 젖산이 축적되지 않으면서 낼 수 있는 가장 빠른 속도가 될 것이다.

젖산은 탄수화물 대사작용의 부산물로 만들어져 근육과 혈액에 축적되는 피로물질이다. 보통 낮은 강도의 달리기나 조깅을 할 때는 젖산의 양이 많지 않아 생성과 동시에 바로 제거될 수 있다.

그러나 일정 강도를 넘으면 젖산의 생산량이 많아져 분해할 수 있는 능력을 초과하여 근육과 혈액에 급격하게 축적되는 시기가 있다. 이 지점을 젖산역치라고 한다.

 
   
 


 

 

§ 젖산역치(Lactate-Threshold:LT) 향상을 위한 인터벌 훈련

LT트레이닝이 마라톤 훈련 중 가장 중요한 훈련이라는 것을 알고 있으면서도 많은 런너들이 LT를 어떻게 향상시킬 수 있는지 잘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 방법은 간단하다.

자신의 LT보다 약간 높은 강도에서 훈련을 하라는 것이다. LT 훈련이 언뜻 보기에는 스피드 훈련하고 비슷해 보일 수도 있다. 그러나 일정 속도를 지속하는 능력을 키우기 훈련이라는 점에서 보면 지구력 향상 훈련이라고 보는 것이 더 정확할 것이다.

물론 LT훈련은 순수하게 지구력 향상 훈련인 장거리 지속주 훈련보다는 훨씬 빠르다.

 
   
 


 

 

§ 자신의 젖산역치(LT) 찾자.

물론 실험실 상황에서 운동 중 피를 뽑아 측정하면 가장 정확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도로나 트랙에서 훈련하는 런너들이 이런 실험실 상황을 도입할 수는 없다.

최근의 연구에서는 심박수 역치에서의 운동 강도가 젖산역치에서의 운동강도와 상당히 많은 상관관계를 갖는다는 것이 밝혀졌다.

심박수 역치는 콘코니 테스트(Conconi Test)를 통해 알 수 있다. 콘코니 테스트는 심박계(Heart rate monitor)와 초시계만 있으면 어느 정도 어렵지 않게 구할 수 있다.

테스트 장소는 트랙이 좋다. 한 사람은 시계와 메모지를 준비하고 테스트 대상자는 심박계를 착용한다.

이 때 심박계가 컴퓨터에 자료를 다운로드할 수 있는 것이면 더 좋다. 테스트 대상자는 2~3킬로미터 가볍게 달려 몸 전체가 데워지도록 한다.

테스트 대상자는 처음 200미터를 마라톤 레이스페이스(만약 마라톤을 4시간에 뛰는 사람이라면 1분 13초에 뛴다)로 뛰다가 200미터 지점에서의 심박수를 기록자에게 알려준다.

그리고 다음 200미터를 5초 정도 당겨 뛰고 마찬가지 방법으로 심박수를 기록자에게 알려준다. 이렇게 계속 200미터마다 단계를 올려 완전히 뛸 수 없을 정도까지 뛴다.

이 테스트의 결과로 나온 심박수를 그래프로 그려보면 가파르게 증가하던 심박수가 어느 시점에 가서는 증가율이 둔화되는 시점이 보인다. 이 지점이 심박수 역치다.

트랙에서 테스트를 할 수 없는 경우 트레드밀에서 해도 된다. 이 심박수역치는 젖산역치와 어느 정도 근사하게 일치하므로 아마추어 런너들이 이를 준거로 젖산역치 훈련을 해도 무방할 것이다.

 
   
 


 

 

§ 젖산역치(LT) 향상을 위해선???

LT 향상을 위한 훈련의 종류에는 세가지 타입이 있다.

템포런(Tempo runs), LT 인터벌, LT 언덕훈련. 이 세가지 훈련 모두 기본은 같다.

즉 혈액 내에 젖산이 축적되기 시작하도록 강한 강도로 뛰는 것, 즉 LT보다 약간 높은 강도의 페이스로 훈련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렇지만 너무 강한 강도로 훈련하면 훈련을 효과가 있는 시간만큼 지속할 수 없으므로 피해야 한다.
LT보다 낮은 강도의 훈련도 이 훈련을 위한 페이스로 맞지 않다. LT 훈련한 다음 날 통증을 느낀다면 너무 지나치게 높은 강도로 훈련한 것이다.


훈련명칭
방법

템포런
가볍게 3킬로미터 워밍업, 6킬로미터를 하프마라톤 페이스로 달리기, 1~2킬로미터 쿨다운 조깅. 훈련 장소로는 트랙이나 거리가 정확한 도로가 좋다. 그래야 시간을 정확하게 체크할 수 있기 때문이다.

LT인터벌
템 포런을 서너 번 끊어 실시하는 것도 많은 효과가 있다. 이런 훈련을 ‘순환 인터벌(Cruise interval)’이라고도 한다. 예를 들면 LT페이스로 8분간 3번 반복하고 그 사이에 3분 정도의 조깅을 한다.

LT 언덕훈련
LT를 향상시키기 위한 아주 좋은 방법 중의 하나는 아주 긴 언덕을 달리는 것이다. 자신의 집 주변에 다행스럽게도 이런 조건의 언덕이 있으면 이곳에서 훈련을 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 젖산역치 훈련을 하면???

젖산역치(LT)를 끌어 올린다는 것은 유산소적으로 운동할 수 있는 강도(속도)를 높인다는 것이다. 이를 생리학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젖산역치 훈련을 하면 같은 강도의 훈련에서 우선 젖산의 생산이 적어지고 젖산을 분해하는 능력이 좋아져 LT가 올라가게 된다. 이러한 변화의 가장 중요한 이득은 다음과 같다.

 
   
 


 

 

젖산역치 훈련의 효과

1. 미토콘드리아의 수와 사이즈의 증가

2. 유산소 효소의 활성화

3. 모세혈관의 수 증가

4. 미오글로빈의 증가

너무 길지요..^^

몸에 좋은 보약은 쉽게 얻어지지 않는답니다....

 
   
 




    • 글자 크기

댓글 달기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3 조선산 탐험기 12 -- 온양 광덕산편2 onbike 2003.09.02 3890
42 온바이크의 역마살 투어 2 - 충남 아산 영인산편 onbike 2003.09.02 3924
41 조선산 탐험기 8 : 강촌 검봉산-봉화산(지도 복원) onbike 2003.09.02 4006
40 [운동요법] 질환자와 여성의 운동1 法眞 2003.09.02 4019
39 [ 1-14일] 97-98 나홀로 캐나다횡단기 4,800km Bikeholic 2003.09.02 4112
38 [31-38일] 97-98 나홀로 캐나다횡단기 4,800km3 Bikeholic 2003.09.02 4132
37 겨울철 라이딩 요령 法眞 2003.09.02 4294
36 역마살 투어 5 : 경기 가평 연인산(지도 복원) onbike 2003.09.02 4316
35 라이트 제작기 #1 Bikeholic 2003.09.02 4431
34 조선산 탐험기 13 -- 무의도 탐험4 onbike 2003.09.02 4440
33 젖산 제거에 사우나와 고온욕중 어느것이 효과적일까?2 法眞 2003.09.02 4611
32 온바이크의 역마살 번개 1 -- 강원도 홍천 좌방산 임도 onbike 2003.09.02 4742
31 주책칼럼 # 6 - 투어떄 필요한 것들에 대한 짧은생각7 주책소동 2003.09.02 4777
30 조선산 탐험기 6 : 강화 석모도 해명산(지도 복원)2 onbike 2003.09.02 4899
29 주책칼럼 # 4 - 자전거 팔자에 관한 짧은 생각2 주책소동 2003.09.02 5041
28 주책칼럼 # 3 - 등에 메는 물통에 관한 짧은 생각4 주책소동 2003.09.02 5711
27 주책칼럼 # 1 - 헬멧이야기4 주책소동 2003.09.02 5765
26 바로 아래글이 복귀 신고 글이었는데.. 주책소동 2008.11.14 6546
25 자전거갖고 지하철 타기 1 - 미국편 Bikeholic 2003.09.02 6564
24 다시 시작하는 조선산 탐험: 경기도 파주 감악산4 onbike 2009.11.17 6828
첨부 (0)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