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결 안된 질문

좌우 브레이크 방향 통일시키자!!!
추천 수 ( 0 )길들이기 나름이라고 하지만 국내에서 판매할때는 왼쪽을 뒷브렉으로 오른쪽을 앞브렉으로 세팅해서 판매해야 정상적입니다.
그리고 그렇게 타셔야 앞으로 다른 것들을 타시더라도 지장이 없습니다.
평생 자기 자전거만 탈수는 없는 노릇.
일반 생활자전거 전부가 오른쪽이 앞브렉입니다.
그리고 오토바이 전부가 오른쪽이 앞브렉입니다.
좌우 브렉이크 전환은 한번 길들이면 다음에는 바꾸기가 무척 어렵고 위급상황시에 애초의 습관이 작동합니다.
오토바이와 생활자전거, 또는 다른 사람의 엠티비 등을 아예 안타실 생각이라면 마음대로 타셔도 상관없겠지만 한방향으로 전원 통일 시키는 것이 좋을것 같습니다.
저는 좌우전환된 상태로 일주일 정도 길들이다가 오늘 위급상황에서
완전 새될뻔 했습니다.
그리고 그렇게 타셔야 앞으로 다른 것들을 타시더라도 지장이 없습니다.
평생 자기 자전거만 탈수는 없는 노릇.
일반 생활자전거 전부가 오른쪽이 앞브렉입니다.
그리고 오토바이 전부가 오른쪽이 앞브렉입니다.
좌우 브렉이크 전환은 한번 길들이면 다음에는 바꾸기가 무척 어렵고 위급상황시에 애초의 습관이 작동합니다.
오토바이와 생활자전거, 또는 다른 사람의 엠티비 등을 아예 안타실 생각이라면 마음대로 타셔도 상관없겠지만 한방향으로 전원 통일 시키는 것이 좋을것 같습니다.
저는 좌우전환된 상태로 일주일 정도 길들이다가 오늘 위급상황에서
완전 새될뻔 했습니다.
답변 (25)

차는 우측 통행이죠.... 자전차도 마찬가지....
잔차에서 내릴때 어느쪽으로 내리시나요...
오른쪽으로 내려야 합니다....
뒤에서 차가 올때... 왼쪽으로 내리면 사고 위험이 있죠..
이 장면에서.... 잔차를 끌고갈때... 뒷브렉이 오른쪽이면 휠신 편리합니다....
시에서 실시하는 초등학생 자전차면허증 시험때...
이부분이의 비중을 좀 높게 다루고 있습니다.
시마노가 전부 왼쪽이 뒷브렉이죠... 일본이라서 그런것이 아닌가.. 합니다...
오토바이는 차와 마찬가지로 악셀에서 발을 때야 브레이킹을 할수있죠....
악셀을 풀어야 브레이킹을하게 오른쪽에 앞브렉을 다는게 아닐까 합니다...
잔차에서 내릴때 어느쪽으로 내리시나요...
오른쪽으로 내려야 합니다....
뒤에서 차가 올때... 왼쪽으로 내리면 사고 위험이 있죠..
이 장면에서.... 잔차를 끌고갈때... 뒷브렉이 오른쪽이면 휠신 편리합니다....
시에서 실시하는 초등학생 자전차면허증 시험때...
이부분이의 비중을 좀 높게 다루고 있습니다.
시마노가 전부 왼쪽이 뒷브렉이죠... 일본이라서 그런것이 아닌가.. 합니다...
오토바이는 차와 마찬가지로 악셀에서 발을 때야 브레이킹을 할수있죠....
악셀을 풀어야 브레이킹을하게 오른쪽에 앞브렉을 다는게 아닐까 합니다...

저는 왼쪽을 앞브레이크로 하는것이 맞다고 생각합니다.
(RR rule이죠..the Right hand control the Rear brake)
2가지 이유가 있는데요...
먼저 도로통행방식입니다.
좌측통행하는 일본의 영향을 많이 받아 좌측이 뒷브레이크가 된 것이 관습화된것 같은데...
교차로에서 좌회전을 할 경우 왼손으로 수신호를 해야하는데 이때 오른손만으로 컨트롤을 해야합니다.
만약 오른쪽이 앞브레이크라면 돌발상황에서 급제동시 전복의 위험이 크죠.
우회전시에는 우측도로끝에 붙어서 돌기때문에 특별히 오른손으로 수신호를 할 필요는 없죠.
두번째는 케이블경로입니다.
왼쪽을 뒤, 오른쪽을 앞브레이크로 했을 경우 앞브레이크는 위에 분이 언급했듯이 2번 커브를 그리게 되면서 저항이 더 생기게 됩니다.(단 디스크의 경우는 오른쪽 앞이 조금 더 완만한 커브경로를 가집니다)
그리고 선정리도 크로스되지 않고 좌우가 분리되는 양상으로 핸들을 어느 한쪽으로 틀었을때 케이블이 많이 꺽이게 됩니다.
그렇지만 가장 중요한건 습관일겁니다. 몸에 익숙한 것이 왼쪽이 뒷브레이크라면 그대로 쓰시는게 정답이겠죠. 특히 오토바이, 생활자전거, 산악자전거를 모두 다 타실 경우에는 더욱 그렇겠죠~
(RR rule이죠..the Right hand control the Rear brake)
2가지 이유가 있는데요...
먼저 도로통행방식입니다.
좌측통행하는 일본의 영향을 많이 받아 좌측이 뒷브레이크가 된 것이 관습화된것 같은데...
교차로에서 좌회전을 할 경우 왼손으로 수신호를 해야하는데 이때 오른손만으로 컨트롤을 해야합니다.
만약 오른쪽이 앞브레이크라면 돌발상황에서 급제동시 전복의 위험이 크죠.
우회전시에는 우측도로끝에 붙어서 돌기때문에 특별히 오른손으로 수신호를 할 필요는 없죠.
두번째는 케이블경로입니다.
왼쪽을 뒤, 오른쪽을 앞브레이크로 했을 경우 앞브레이크는 위에 분이 언급했듯이 2번 커브를 그리게 되면서 저항이 더 생기게 됩니다.(단 디스크의 경우는 오른쪽 앞이 조금 더 완만한 커브경로를 가집니다)
그리고 선정리도 크로스되지 않고 좌우가 분리되는 양상으로 핸들을 어느 한쪽으로 틀었을때 케이블이 많이 꺽이게 됩니다.
그렇지만 가장 중요한건 습관일겁니다. 몸에 익숙한 것이 왼쪽이 뒷브레이크라면 그대로 쓰시는게 정답이겠죠. 특히 오토바이, 생활자전거, 산악자전거를 모두 다 타실 경우에는 더욱 그렇겠죠~

오토바이의 오른 앞브레이크는 안전성을 위해서라고 합니다. 오토바이의 경우 제동력의 거의 대부분이 앞브레이크에서 나오고 또 그것이 더 바람직하므로, 따라서 악력이 더 큰 오른손에 앞브레이크를 할당하는 것이 더 안전하다고 합니다. 그래서 오른쪽 앞브레이크가 거의 룰처럼 되었나 봅니다.
반면, 자전거의 경우는 꼭 그렇지는 않습니다. 오히려 엠티비의 경우 다운힐에서 오른손으로 앞브레이크를 갑자기 꽉 쥐면 전복의 위험이 있기도 합니다. 그리고, 도로주행시에는 uroest님의 말씀처럼 우측통행 국가에서는 아무래도 왼손으로 수신호를 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때 오른손으로 핸들바를 잡고 뒷브레이크로 컨트롤하는 것이 더 안정적이라고 생각됩니다.
저는 왼쪽에 앞브레이크입니다만, 하여간 자전거에서 어느쪽에 앞브레이크냐는 오토바이의 그것처럼 절대적인것 같지는 않습니다.
국가별로 보면 일본, 영국, 호주 등과 같은 좌측통행 국가에서는 오른쪽에 앞브레이크를 할당하고, 기타 미국 등과 같은 우측통행 국가에서는 왼쪽에 앞브레이크를 할당하는 경향인 것 같습니다.
반면, 자전거의 경우는 꼭 그렇지는 않습니다. 오히려 엠티비의 경우 다운힐에서 오른손으로 앞브레이크를 갑자기 꽉 쥐면 전복의 위험이 있기도 합니다. 그리고, 도로주행시에는 uroest님의 말씀처럼 우측통행 국가에서는 아무래도 왼손으로 수신호를 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때 오른손으로 핸들바를 잡고 뒷브레이크로 컨트롤하는 것이 더 안정적이라고 생각됩니다.
저는 왼쪽에 앞브레이크입니다만, 하여간 자전거에서 어느쪽에 앞브레이크냐는 오토바이의 그것처럼 절대적인것 같지는 않습니다.
국가별로 보면 일본, 영국, 호주 등과 같은 좌측통행 국가에서는 오른쪽에 앞브레이크를 할당하고, 기타 미국 등과 같은 우측통행 국가에서는 왼쪽에 앞브레이크를 할당하는 경향인 것 같습니다.
의견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