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해결 안된 질문

안장위치와 관련된 질문입니다..

guruma 2005.06.29 00:17 내공 포인트
추천 수 ( 0 )
안장의 전, 후 위치를 잡기위해서 열심히 왈바를 뒤져본 결과 다음과 같은 글을 찾았습니다..

[안장의 전, 후 위치. 첫번째 명심해야 하는 사항은 안장을 top tube나 stem 길이를 보완하기 위해서 움직여서는 안된 다는 점이다.  자전거 신발을 신고 자전거 위에 올라간 다음 평소에 하던 대로 안장의 중심에 앉는다. 패달에 신발을 끼우고 크랭크와 지면을 평행하게 놓는다. 그리고 보조자나 친구에게 무릎의 가장 튀어나온 부분에서 추가 달린 실을 늘어뜨리도록 시킨다. 이 때 실이 반드시 크랭크 끝에 닿아야 한다. 이 것을 중립 또는 ‘0’위치라고 말하며 대개 정상적인 위치라고 말할 수 있다. ]


그런데 여기서 나오는 크랭크에 대한 표현이 모호해서 도대체 무릎위치를 가늠할 수가

없네요..궁금한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1. 크랭크 암을 바닥과 수평으로 놓아라는 이야기인지?

2. 또 어느쪽 무릎을 기준으로 삼아라는 이야기인지..?

3. 무릎에서 실을 늘어뜨렸을때 실이 크랭크 끝에 닿아야 한다는데.. 이게 구체적으로

어느 부분인지... 페달을 말하는지, 앞쪽 체인을 말하는 건지, 아니면 크랭크 중심축을

말하는 건지??

4. 마지막으로 정상적인 안장위치를 잡은 후 그 곳을 기점으로 안장을 앞 뒤로 이동하

면 각각 어떤 문제나 장점이 있는지 ...

아~ 질문 내용이 많네요..--;

아무리 윗글을 해석해 봐도 이 질문들에 대한 답은 알 수가 없네요... 잠이 안옵니다..궁금해서..... 도와주십시오~

목록 답변등록

답변 (5)

cavefish 2005.06.29 00:58
음~사진을 보면 이해가 될 텐데 저도 무슨 소리인지 모르겠네요. 확실하진 않지만 안장의 전후위치는요 제가 알기로는 안장코에다 추가달린 실을 늘어뜨리고 그실하고 크랭크중앙
부분의 사이가 약 3~4CM정도되면 되는 걸로 알고 있는데...제가 잘못알고 있을 수도 있습니다. 스탬으로 조정하는것도 부족해서 안장까지 이동해야 한다면 프레임이 몸에 안맞는 거겠지요.
0
tuanroad 2005.06.29 01:03
안장에 앉으신다음. 오른쪽발을 패달에 올리세요. 그리고 우측패달과 좌측 패달이
자전거 측면에서 봤을때 수평상태로 놓으시고(오른쪽 패달이 앞쪽으로 ..)
이때. 무릅에 추를 늘어뜨려서. 이 추가 패달 중앙과 일치하게끔..입니다.
무엇보다. 일단 앉은 자세가 불편하진 않나 + 실 주행시의 패달링 범위 상태의 불편함
을 조화시키는게 좋겠죠.
0
balancer 2005.06.29 01:04
1.암을 바닥과 수평으로...
2.앞쪽으로 가 있는 무릎...
3.페달축....
4.앞으로 이동했을때....
장점=산악지형에서 기민한 대처에 다소 불리..,오르막에서 앞이 들리는것 약간...고속의 페달링..도로 라이딩...
단점=스템이 길어짐으로 내리막에서 무게 쏠림...장거리시 지구력딸림..

제가 알로 있는 상식입니다.
틀릴수도 있습니다.
고수분들이 틀린부분지적해 주세요

0
muaein 2005.06.29 01:06
1.크랭크암을 지면과 수평되게끔 한다..
2.앞쪽으로 나간 (핸들과 가까운) 무릎이 기준이 된다..
3.크랭크가 아니라 페달 축을 말한다..
4.안장 자체만의 위치로는 어떤 영향이 있는지를 명확히 구분짓기 어렵다..
이상입니다..
3번의 경우 페달축보다 무릎이 뒤에 놓여지면 스피드업에 유리하고 무릎이 앞에 위치하게되면 업힐에 도움이 됩니다..(안장을 전후로 움직여 위치를 조절함)
0
guruma 2005.06.29 13:08
햐~ 궁금증이 쌰~ㄱ 가셨습니다.... 대땅 감사합니다.... 항상 즐라 안라 하십시요~
0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