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결 안된 질문

[초보자] 기어비 및 입문용 자전거 관련 질문
추천 수 ( 0 )즐거운 추석 보내셨는지요.
자전거 산지 어언 한달, 일주일에 한번정도 한강로드를 통해 강남북 동서 끝단 주행을 마치고
궁금한점을 질문드립니다.
1. 기어비 관련
참고로 제 자전거는 21단(3*7) 입니다.
업힐시 1 - 1,2,3 (앞-뒤)
일반 주행시 2-3,4,5
고속 주행시 3-5,6,7 로 놓는게 최대한 체인이 평행을 유지하면서 원활한 주행이 되는 듯 해서 이렇게 놓고
타고 있습니다. (출발시 2-3에서 단계별로 가속후 심한 언덕에서는 반대로 기어를 내려줍니다.)
궁금한점은 27단(3*9)의 경우 21단의 1-1 및 3-7을 넘어서는 범위로 기어비가 존재 하는지 또는
범위는 동일하고 기어비 사이의 조정을 좀더 세밀하게 하는것인지 궁금합니다.
오늘 한강에서 3-7놓고 앞차 따라가는데 동일한 회전수에 점점 멀어지더군요.
2. 입문자가 과연 Deore가 필요한가?
지금 타고 있는 자전거는 Alite300으로 21단 입문용 산악이라고 선전하더군요
초기 구입시 고수분들이 일관되게 추천하는 Deore급과 많은 고민 끝에 일단 타보고 부족하면 바꿀 생각으로
샀습니다.
제가 이해한 바로는 추후 업그레이드를 위해 Deore가 필요하다고 하는거 같은데 60-80만 정도의 자전거를 타다가
업하는것 보다 처음에 싼거(30만 이하) 타면서 엔진 먼저 업그레이드후 ,
계속 도로만 타면 업글의 필요성이 거의 없을것 같고 산을 타게 되면 100만 이상의 자전거로 교체하는게
보다 현명할거 같다는 생각이 드는데, 고수님들의 의견은 어떠신지요?
자전거 산지 어언 한달, 일주일에 한번정도 한강로드를 통해 강남북 동서 끝단 주행을 마치고
궁금한점을 질문드립니다.
1. 기어비 관련
참고로 제 자전거는 21단(3*7) 입니다.
업힐시 1 - 1,2,3 (앞-뒤)
일반 주행시 2-3,4,5
고속 주행시 3-5,6,7 로 놓는게 최대한 체인이 평행을 유지하면서 원활한 주행이 되는 듯 해서 이렇게 놓고
타고 있습니다. (출발시 2-3에서 단계별로 가속후 심한 언덕에서는 반대로 기어를 내려줍니다.)
궁금한점은 27단(3*9)의 경우 21단의 1-1 및 3-7을 넘어서는 범위로 기어비가 존재 하는지 또는
범위는 동일하고 기어비 사이의 조정을 좀더 세밀하게 하는것인지 궁금합니다.
오늘 한강에서 3-7놓고 앞차 따라가는데 동일한 회전수에 점점 멀어지더군요.
2. 입문자가 과연 Deore가 필요한가?
지금 타고 있는 자전거는 Alite300으로 21단 입문용 산악이라고 선전하더군요
초기 구입시 고수분들이 일관되게 추천하는 Deore급과 많은 고민 끝에 일단 타보고 부족하면 바꿀 생각으로
샀습니다.
제가 이해한 바로는 추후 업그레이드를 위해 Deore가 필요하다고 하는거 같은데 60-80만 정도의 자전거를 타다가
업하는것 보다 처음에 싼거(30만 이하) 타면서 엔진 먼저 업그레이드후 ,
계속 도로만 타면 업글의 필요성이 거의 없을것 같고 산을 타게 되면 100만 이상의 자전거로 교체하는게
보다 현명할거 같다는 생각이 드는데, 고수님들의 의견은 어떠신지요?
답변 (1)

1.모델마다 그런것도 있고 아닌것도 있습니다. 현 시마노 카세트 구분은 as,aq 그룹으로 나뉘며, 32,34t의 기어를 갖고 있습니다. 또한 앞 크랭크도 스트롱 타입이라 해서 t가 더 큰것이 나오는것이 있고, 7단과 9단의 크랭크의 기어 t 수도 다릅니다 ^^, 어떻게 조합하느냐에 따라 갖을 수도 다를수도 있겠습니다. 2. 처음 구입시 deore를 추천하는 이유는 deore 부터 9단 시스템이기 떄문에 훗날 파트의 업그레이드 및 교환시에 부품 수급이 8단 보다 수월해진다라는 장점이 있습니다. 꼭 풀 deore는 아니더라도 처음 구입시 27단으로 set 되어서 나오는것을 구입하시면 좀 더 수월하십니다.
의견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