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해결 안된 질문

레이싱용 인라인 타시는 분께 질문입니다. ^^;;

austin 2004.08.17 01:56 내공 포인트
추천 수 ( 0 )
전 그냥 피트니스 정도 즐기는데요.
전에, 세미슬릭을 낀 저의 애마와 인라인이 맞바람 앉고 서로 경주아닌 경주를 하게 되었는데...그 분이 거의 선수급 같더라고요.
그런데, 정말 바람사이를 피한다고 해야하나? 굉장히 잘 달리시더군요.
전 무쟈게 밟으니깐 28~30킬로를 왔다갔다하는데, 그분은 30킬로 이상되시는거 같던데...맞바람에서요...

맞바람에서는 잔차가 유리하다는 말을 참 많이 들었거든요. 얼핏 생각하기엔, 폐달질보다는 몸쓰는게 더 힘드니깐, 맞바람에서는 행동횟수가 늘어나는 인라인이 더 빨리 지치니깐, 잔차가 유리한거 맞는거 같은데요.

바람을 잘 피하는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면, 맞바람 상태에서도 잔차이상의 속도를 낼 수 있는건가요?
목록 답변등록

답변 (8)

아이수 2004.08.17 02:38
맞바람에서 바람 받는 면적은
인라인과 자전거가 큰 차이는 나지 않을 것 같습니다.

일단 보통 mtb 와 레이싱 프레임 인라인을 비교하는 건 의미가 없고요.

레이싱 인라인과 비교하려면
자전거는 도로 싸이클과 비교를 해야겠지요.

자전거도 recumbent 라면
바람 저항은 확실히 적은 게 확실합니다.

일반 지오메트리의 자전거는 글쎄요.
인라인보다
확실히 바람 저항이 적다고 보기는 어렵지 않을까요.

자전거는 기계적으로 구조가 좀 더 복잡하고.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부분이 더 많다는 뜻)
페달링에 팔힘 등을 이용할 수 있으니
효율 면에서 유리한 것은 분명하다고 생각합니다.

전체적인 무게야
달리기 선수가 가장 가볍겠지만,
에너지 효율은

달리기 < 인라인 < 자전거 정도겠지요.

사람의 힘을 최적화 하기 위한
기술을 적용할 부분이 자전거 쪽으로 갈수록 늘어나니까요.

사실 자전거도
평소 운동하지 않던 사람이라면
이봉주 같은 사람 따라 가기가 벅찰 겁니다.^^

효율성 문제는
체력이나 운동 성과 등등이
유사하다고 할 때
의미가 있는 것이죠.^^
0
아이수 2004.08.17 02:41
오늘 금메달 딴
유도선수 이원희에게
몽둥이 들고 달려 들어도
이길 사람 많지 않을 겁니다..^^
0
아이수 2004.08.17 02:42
사람 목숨 값을 10 억으로 친다면.

그에 부속된 물건 가격이야
전체의 1% 미만 정도 밖에 안 되겠죠.^^
0
rudedeb 2004.08.17 03:00
바람을 잘 피하는 자세...
그 인라이너 뒤에서 슬립스트림 해버리세요
혼자 앞서나갈때랑 20~30%정도 차이납니다.
그리고 무쟈게 밟았을때 20~30Km정도의 속력이라면
타이어를 가시는것이 좋을듯.
스피드블라스터 1.75(케블러)의 경우
평속이 30, 무쟈게 밟았을때 45Km정도는 여유롭게 나오더군요...
물론 약간 얇상하지만 형태는 분명 MTB타이어입니다 ^^
0
Slegend 2004.08.17 07:48
스피드 인라인 200m 기록이 17초 정도 하는걸로 알고있습니다...(기억이 잘 않나내여..) 스피드 인라인 빨리 달릴 수도 있어여...
0
bloodlust 2004.08.17 10:00
실제적으로는 잘 모르겠지만 유체역학적으로 볼 때 땅에서 멀리 떨어져 있을수록 바람 저항을 많이 받습니다.

또한 자전거 자체의 단면적은 얼마 되지 않지만 이것이 유체역학적으로 유효한 단면적은 상당히 크다고 생각됩니다. 왜냐면 단면적 그 자체가 중요한 게 아니라 그 물체로 인해서 생겨나는 후방의 기류가 저항에는 더 큰 역할을 하거든요.

그래서 인라인이 유체역학적으로는 조금 더 이점이 있을 수 있을 듯합니다.
0
giugi 2004.08.17 13:14
인라인 상당히 빠릅니다. 선수들은 인라인 마라톤시 평속이 40 km정도 됩니다. 일반 사람들도 좀 잘타는 사람이면 30-35km정도는 나옵니다. 급가속시에서 평지에서 70 km까지도 나옵니다. 인라인 신고 자동차 뒤에 매달려가는 기록은 무려 300km가 넘습니다.
0
specialized-p2 2004.08.18 11:48
이야~300km갈떄 베어링이그 작은바퀴에서 고RPM을 견디다니.....대단;;
0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