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해결 안된 질문

옳바른 변속기 사용 방법좀 가르쳐 주세요~

jerrybus 2004.08.03 18:15 내공 포인트
추천 수 ( 0 )
alite1500 27단을 구입한 초보입니다. 그냥 평지에서는 기어를 어떻게 놓고 타야 하는지....앞에 3개 뒤가 9개 그래서 27단이잖아요. 작은 톱니부터 계산을 하는건지...큰 톱니부터 하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이제 2틀 탔는데 앞은 건드리지 않고 뒤쪽만 바꾸면서 타는데요. 이렇게 해도 되는건지...옳바른 변속기 사용법과 평지와 언덕에서 적절한 기어비좀 가르쳐주세요...제가 초보라 작은 톱니인지 중간이지....를 가르쳐 주셔야 이해할 수 있습니다.
친절한 답변 기다리겠습니다~
목록 답변등록

답변 (6)

bloodlust 2004.08.03 18:33
최대한 체인이 평행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변속하시면 됩니다. 그러니까
(앞에 제일 작은 거)-(뒤에 제일 큰거 3개),
(앞에 중간거)-(뒤에 중간 세개),
(앞에 제일 큰거)-(뒤에 제일 작은 거 세개)
이런 식으로 변속하시는 게 좋습니다. 변속 시점은 다리에 힘이 좀 들어간다 싶으면 변속해주면 됩니다. 다리에 힘이 많이 들어가는 기어비는 좋지 않습니다.
0
십자수 2004.08.03 19:48
러스트님의 말씀은 정답(?) 이구요 어디까지나 아이디얼한 기어비라 볼 수 있겠구요... 이래 열심히 변속하긴 힘들겁니다. ..ㅋㅋㅋ 위사항이 원칙이라 생각하시고 그 외 기어비는 적정선에서 타협을... ㅋㅋㅋ 앞 가운데 놈으론 모든 기어 수 다 쓸 수 있구요, 앞 작은넘일때 뒤는 반드시 중간 1-4이내.. 앞이 큰넘일땐 뒤는 반드시 6-9범위 이내... 여튼 김희주님 말씀은 원칙입니다.. ㅋㅋㅋ
0
cannonone 2004.08.03 20:05
초보자를 위해서는 다음이 가장 쉽겠습니다.
1. 다리가 너무 힘들면 기어비가 잘못된 것이다.
2. 구동계열에서 드르르륵 소리가 나면 체인이 앞 드레일러에 닿는 소리이므로 이것도 잘못된 것이다.
자전거를 세워두시구요, 변속 연습을 해 보세요. 직접 보시고 그 원리를 좀 아시게 되면 이해가 쉽게 가실겁니다. 변속이 많이 익숙해 지면 저처럼 급출발과 급가속을 즐기시면 되겠습니다, 그러나 자전거 부품의 수명은 짧아지니 적당히 ~~~~
0
bloodlust 2004.08.03 22:14
세상을 원칙대로 살아야죠.. 십자수님.. ㅋㅋㅋ
근데 저거는 진짜로 '원칙'이고 뒷 스프라켓이 위아래로 하나씩은 '유도리'가 있을 수 있습니다. 저는 2-4에서 출발해서 2-7까지 쓰다가 3-6, 3-7... 이렇게 바꿉니다.
0
jerrybus 2004.08.04 01:28
답변 주신 모든 분들 정말 감사합니다~^^그런데 십자수님 말씀처럼 앞이 작은 놈일때 중간 1~4라는 말씀이 뒷쪽 톱니 작은거 부터인가요? 아님 큰거 부터인가요?? 오늘도 블러드러스트님 말씀듣고 기어 바꿔보려고 했는데 밤에 타는지라 봐도 보이질 않고 당췌 기어를 어떻게 놓고 타고 있는지 모르겠습니다 ^^; 그저 다리가 힘들면 바꾸고 또 페달이 헛돌면 바꾸고 그러고 있습니다.
이러다 얼마 못타고 잔차 버리는건 아닌지...ㅋㅋ
0
bloodlust 2004.08.04 02:12
음음.. 인디케이터가 있지 않나요? 그거 보고 맞추심 되지요. 밤에는 잘 안보이긴 합니다만...
그리고 보통 앞 기어(체인링)는 작은 것부터 1-2-3 이고 뒷 기어(스프라켓)는 큰 것부터 작은 순으로 1-2-3...9입니다.
0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