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결 안된 질문

업힐시 뒷바쿠기 헛도는 이유..
추천 수 ( 0 )안녕하세요. 산악자전거를 사랑하는 사람입니다. 입문한지는 얼마 되지 않았는데 주로 산에 오르고 있어요. 얼마전부터 업힐시 자갈길이나 흙길에서 잔차 뒷바퀴가 자꾸 헛도는데 이런 현상이 왜 일어나는지 고수님들 의견 부탁드립니다. 꾸벅..
답변 (9)

결국은 타야와 지면의 마찰력이 바쿠를 졸리는 토크보다 낮아서 그런거지요.
그러니 헛바쿠 안돌게 하려면
1. 토크를 낮춘다.- 넘 낮은 기어비는 헛 바쿠를 유발함다.
2. 마찰력을 높인다 - 배울만큼 배운 우리는 마찰력 = 질량 x 마찰계수 임을 잘 알고 있죠
체중은 일정하지만 앞, 뒤 바쿠에 분배되는 건 라이더의 포지션에 따라 달라지죠.
마찰계수는 길바닥 상태, 타야에 그립력에 따라 달라지구요.
결론
1. 내공을 쌓아서 적절한 기어비를 선택 접지력이 좋은 트래일을 따라 체중이동 잘해서 올라간다.
2. 돈 좀 써서 접지력 좋은 타야로 개비한다 ^^
그러니 헛바쿠 안돌게 하려면
1. 토크를 낮춘다.- 넘 낮은 기어비는 헛 바쿠를 유발함다.
2. 마찰력을 높인다 - 배울만큼 배운 우리는 마찰력 = 질량 x 마찰계수 임을 잘 알고 있죠
체중은 일정하지만 앞, 뒤 바쿠에 분배되는 건 라이더의 포지션에 따라 달라지죠.
마찰계수는 길바닥 상태, 타야에 그립력에 따라 달라지구요.
결론
1. 내공을 쌓아서 적절한 기어비를 선택 접지력이 좋은 트래일을 따라 체중이동 잘해서 올라간다.
2. 돈 좀 써서 접지력 좋은 타야로 개비한다 ^^

1. 무게중심을 잘 따져야 한다.
=> 앉아서 탈때는 최대한 상체를 숙이고 핸들을 크랭크 방향으로 당깁니다.
서서 탈때는 엉덩이 위치가 안장 위에 있는 상태에서 페달링을 하세요.
2. 타이어 공기압을 적당하게 한다.
=> 산에서는 32~35psi, 도로에서는 40psi
3. 기어비를 잘 선택한다.
=> 너무 가볍거나 너무 무거운 기어비를 사용할 때 슬립현상 발생.
4. 슬릭의 원인중 타이어로 인해서 발생하는 것은 20~30%도 안될겁니다.
로드타이어로도 가파른 오르막 올라갈 수 있고..
또 굵은 타이어 장착했다고 해서 슬릭이 안나는 것도 아닙니다.
5. 마지막으로 초보자의 경우 업힐시 상체가 딱딱하게 고정되는 분이 많은데요...
어깨의 힘을 빼서 자연스럽게 롤링을 시켜줘야 합니다.
=> 앉아서 탈때는 최대한 상체를 숙이고 핸들을 크랭크 방향으로 당깁니다.
서서 탈때는 엉덩이 위치가 안장 위에 있는 상태에서 페달링을 하세요.
2. 타이어 공기압을 적당하게 한다.
=> 산에서는 32~35psi, 도로에서는 40psi
3. 기어비를 잘 선택한다.
=> 너무 가볍거나 너무 무거운 기어비를 사용할 때 슬립현상 발생.
4. 슬릭의 원인중 타이어로 인해서 발생하는 것은 20~30%도 안될겁니다.
로드타이어로도 가파른 오르막 올라갈 수 있고..
또 굵은 타이어 장착했다고 해서 슬릭이 안나는 것도 아닙니다.
5. 마지막으로 초보자의 경우 업힐시 상체가 딱딱하게 고정되는 분이 많은데요...
어깨의 힘을 빼서 자연스럽게 롤링을 시켜줘야 합니다.
의견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