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결 안된 질문

무릎이 아프네여 ㅠ,.ㅜ
추천 수 ( 0 )타면 탈 수록 무릎이 아파오는데..
제 자세에 문제가 있는거 같은데 대체 머가 문제인지 모르겠어요,,
안장도 움직여 보는데 여전히,,
어떤날은 많이 아프고 어떤날은 덜 아프고,,
그 기준을 모르겠어요,,
엄지손가락도 아팠었는데 그 증상은 이제 긴장이 조금 풀어지면서
없어졌고,,
잔차탄 담날은 일어서고 앉을때마다 무릎이 시큰시큰,,
케토톱을 붙여야하나 쩝 =.=
제 자세에 문제가 있는거 같은데 대체 머가 문제인지 모르겠어요,,
안장도 움직여 보는데 여전히,,
어떤날은 많이 아프고 어떤날은 덜 아프고,,
그 기준을 모르겠어요,,
엄지손가락도 아팠었는데 그 증상은 이제 긴장이 조금 풀어지면서
없어졌고,,
잔차탄 담날은 일어서고 앉을때마다 무릎이 시큰시큰,,
케토톱을 붙여야하나 쩝 =.=
답변 (27)

제가 알기론..말이죠.. 안장에 앉았을때. 다운튜브와 크랭크를 평행하게 하고.. 그다음에 멘발로 발뒤꿈치를
폐달에 놓았을때... 사~~알~짝.. 구부러 지는게 좋은 자세로 알고 있는데요..artsnet 님께서 말씀하시는 방법으로 하면..안장이 아주 높을 우려가 있을꺼 같은데요 ^^;; 제가 잘못안건지..
그리고 뒷꿈치 방법을 모르시면 골반뼈에 안장을 맞추시는 방법이 쉬운방법이고 다른 방법은 안장에 앉아서 발앞꿈치가 땅에 이것도 사~알~짝 닫는 방법도 있다고 하던데..전 그렇게 하고 있거든요.. ^^;;
또 아리쏭하군요 ^^ㅋ
폐달에 놓았을때... 사~~알~짝.. 구부러 지는게 좋은 자세로 알고 있는데요..artsnet 님께서 말씀하시는 방법으로 하면..안장이 아주 높을 우려가 있을꺼 같은데요 ^^;; 제가 잘못안건지..
그리고 뒷꿈치 방법을 모르시면 골반뼈에 안장을 맞추시는 방법이 쉬운방법이고 다른 방법은 안장에 앉아서 발앞꿈치가 땅에 이것도 사~알~짝 닫는 방법도 있다고 하던데..전 그렇게 하고 있거든요.. ^^;;
또 아리쏭하군요 ^^ㅋ

크헉 ! 회원정보 보고 놀랏다는 ....
제가 고수여서 막대답해 드리면 좋겠지만 하수여서 슬픕니다.
일단 안장높이가 제대로 되었다는 가정하에 본다면 안장위치 세팅문제일 확률이 높습니다.일단 한번 아프기 시작하면 안아플 위치로 세팅해도 계속아프니까요.일단 조금 쉬고 통증이 없어질 무렵에 안장을 5mm뒤로 당기고,당기면 페달축과의 거리가 멀어지니까 안장을 아주 살짝 낮추고 하면서 조정해 보세요. 뒤로조금식 당기다 보면 전과는 다르게 페달을 찍어누르는게 아니라 살짝 민다는 느낌이 들며 무릎통증이 없어지는 부분을 찾을수 있을겁니다
제가 고수여서 막대답해 드리면 좋겠지만 하수여서 슬픕니다.
일단 안장높이가 제대로 되었다는 가정하에 본다면 안장위치 세팅문제일 확률이 높습니다.일단 한번 아프기 시작하면 안아플 위치로 세팅해도 계속아프니까요.일단 조금 쉬고 통증이 없어질 무렵에 안장을 5mm뒤로 당기고,당기면 페달축과의 거리가 멀어지니까 안장을 아주 살짝 낮추고 하면서 조정해 보세요. 뒤로조금식 당기다 보면 전과는 다르게 페달을 찍어누르는게 아니라 살짝 민다는 느낌이 들며 무릎통증이 없어지는 부분을 찾을수 있을겁니다

저도 무릅통증으로 고생한 적이 있었습니다.
이글이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dlqhdwns님의 글(자유계시판에 올라왔던...)
앞무릎, 뒷무릎, 옆무릎 통증 원인/해소책
앞무릎 통증
안장이 너무 낮은 경우, 과한 언덕훈련, 너무 높은 기어를 스핀하는 경우 발생한다. 한쪽 무릎에만 통증이 있을 경우 양쪽 다리길이에 차이가 있는 경우일 수 있다. 시즌 초반 훈련양을 급격히 중가시킬때 발생할 수도 있다.
[해소책] 안장 높이를 높혀서, 발이 다운스트록 정점에 있을때 무릎 굴절각이 25도 이상 되지 않도록 하라. 그리고 기어를 낮춰 쉬운 기어를 스핀하며, 증상이 없어 질때 까지는 언덕을 피한다. floating 클릿을 사용하고, 크랭크와 페달사이에 스페이서를 넣거나, BB축이 좀 더 긴것을 사용하라. 양다리 길이가 다를 때는 안장 높이를 긴 다리에 맞추고, 짧은 다리쪽 클릿 밑에 얇은 판을 대어 다리길이를 같게 만든다.
뒷무릎 통증
안장이 너무 높고, 너무 안장 뒷부분에 앉으며, 햄스트링이 유연하지 않고, 페달링을 할때 발 뒷꿈치를 너무 아래로 떨어트리고, 너무 높은 기어를 사용할때, 클릿이 너무 많이 좌우로 움직일때, 햄스트링과 quadriceps 간 근육 불균형이 있을 때 발생한다.
[해소책] 안장 앞부분에 앉고, 안장높이를 낮추어라. 높은 기어를 스핀하거나 언덕훈련을 할때, 발뒷꿈치를 떨어뜨리지 말라. 클릿의 좌우 움직임은 5도 정도로 제한하라. 바이크 위에서 자주 스트레치 하라.
내측 옆무릎 통증
발끝이 바깥쪽으로 향하고, 양 무릎을 너무 밖으로 벌리고 페달링하는 경우 발생한다.
[해소책] 고정식 클릿을 사용하는 경우, 발끝이 안쪽으로 향하도록 클릿을 조정하여 내측 인대의 부담을 줄어 준다. floating 클릿을 사용하는 경우, 좌우로 움직이는 범위를 5도로 제한하라. BB축의 길이를 줄이는 것을 검토하라. 주행거리를 줄이고, 쉬운기어를 스핀하라. 달리기와 스키타는 것을 피하라.
외측 옆무릎 통증
클릿이 잘못 조정되어 발끝이 안쪽으로 향할때 오는 통증이다. 또한 BB축의 길이가 너무 짧은 경우, 안장 높이가 낮은 경우, 너무 높은 기어를 스핀하는 경우, 너무 과한 언덕 훈련을 할 경우 발생할 수 있다.
[해소책] 발끝이 약간 밖으로 향하도록 클릿을 조정하고, floating 클릿을 쓰되, 좌우 운동범위는 5도로 제한한다. BB축의 길이가 긴것을 써 무릎과 무릎사이를 넓힌다. 또는 페달과 크랭크 사이에 스페이서를 삽입할수도 있다. 안장높이를 약간 높이고, 양다리 길이가 서로 다른지도 체크해 보라. 언덕을 피하고, 주행거리를 줄여라.
이글이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dlqhdwns님의 글(자유계시판에 올라왔던...)
앞무릎, 뒷무릎, 옆무릎 통증 원인/해소책
앞무릎 통증
안장이 너무 낮은 경우, 과한 언덕훈련, 너무 높은 기어를 스핀하는 경우 발생한다. 한쪽 무릎에만 통증이 있을 경우 양쪽 다리길이에 차이가 있는 경우일 수 있다. 시즌 초반 훈련양을 급격히 중가시킬때 발생할 수도 있다.
[해소책] 안장 높이를 높혀서, 발이 다운스트록 정점에 있을때 무릎 굴절각이 25도 이상 되지 않도록 하라. 그리고 기어를 낮춰 쉬운 기어를 스핀하며, 증상이 없어 질때 까지는 언덕을 피한다. floating 클릿을 사용하고, 크랭크와 페달사이에 스페이서를 넣거나, BB축이 좀 더 긴것을 사용하라. 양다리 길이가 다를 때는 안장 높이를 긴 다리에 맞추고, 짧은 다리쪽 클릿 밑에 얇은 판을 대어 다리길이를 같게 만든다.
뒷무릎 통증
안장이 너무 높고, 너무 안장 뒷부분에 앉으며, 햄스트링이 유연하지 않고, 페달링을 할때 발 뒷꿈치를 너무 아래로 떨어트리고, 너무 높은 기어를 사용할때, 클릿이 너무 많이 좌우로 움직일때, 햄스트링과 quadriceps 간 근육 불균형이 있을 때 발생한다.
[해소책] 안장 앞부분에 앉고, 안장높이를 낮추어라. 높은 기어를 스핀하거나 언덕훈련을 할때, 발뒷꿈치를 떨어뜨리지 말라. 클릿의 좌우 움직임은 5도 정도로 제한하라. 바이크 위에서 자주 스트레치 하라.
내측 옆무릎 통증
발끝이 바깥쪽으로 향하고, 양 무릎을 너무 밖으로 벌리고 페달링하는 경우 발생한다.
[해소책] 고정식 클릿을 사용하는 경우, 발끝이 안쪽으로 향하도록 클릿을 조정하여 내측 인대의 부담을 줄어 준다. floating 클릿을 사용하는 경우, 좌우로 움직이는 범위를 5도로 제한하라. BB축의 길이를 줄이는 것을 검토하라. 주행거리를 줄이고, 쉬운기어를 스핀하라. 달리기와 스키타는 것을 피하라.
외측 옆무릎 통증
클릿이 잘못 조정되어 발끝이 안쪽으로 향할때 오는 통증이다. 또한 BB축의 길이가 너무 짧은 경우, 안장 높이가 낮은 경우, 너무 높은 기어를 스핀하는 경우, 너무 과한 언덕 훈련을 할 경우 발생할 수 있다.
[해소책] 발끝이 약간 밖으로 향하도록 클릿을 조정하고, floating 클릿을 쓰되, 좌우 운동범위는 5도로 제한한다. BB축의 길이가 긴것을 써 무릎과 무릎사이를 넓힌다. 또는 페달과 크랭크 사이에 스페이서를 삽입할수도 있다. 안장높이를 약간 높이고, 양다리 길이가 서로 다른지도 체크해 보라. 언덕을 피하고, 주행거리를 줄여라.

저는 처음 탈 때 , 특히 잔차 타는 시간이 많아지기 시작하면서 부터 무릎이 아파오기 시작했습니다.그런데, 무릎 아프기 시작할 때 부터 안장 높이 조절에 신경을 많이 썼습니다. 아주 많이 거의 매일 안장위치를 바꾸고 타봤져. 편할 때까지...지금은 거의 무릎이 아프지 않고 안장이 편(?)해서 휘휘휘파람을 불면서 자전거를 타거든요.이제 자전거 악세사리에 눈이 많이 가더라구요. 좀더 재미있고, 편하게 타고 싶은 욕심이 생긴다는거져. 안장이 편하지 않고 뭔가 자세가 불안정할 땐 정말 아무것도 생각 안납니다. 엉덩이 무릎만 편하면 원이 없겠다는 생각 뿐이죠. 참고하세요. 계속해서 안장높이 조절, 앞뒤조절, 앞코뒷부분 오르내리기 조절하세요!. 그럼 나아질지도 모르죠. 참고가 되시길 바람. 제 경우는, 지금 안장이 매우 낮아졌습니다. 핸들바 스템 위치와 거의 같은 수준까지 내려왔네여. 15년 탔다는 전문가가 내 잔차를 보시더니 안장을 많이 낮추라고 자꾸만 권유를 하셔서 어쩔수없이 그렇게 했어요. 만족합니다. 그리고 안장을 제경우는 앞으로 많이 당겼어요. 그런데 신기하게도 1시간 반 자전거 계속해서 타도 휘파람이 나오던데요. 전혀 다리가 아프지 않았으니까요. 안장을 지금 위치와 반대로 과감하게 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제경우였습니다. 참고되시면 좋겠다!
의견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