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해결 안된 질문

타이어에 관한 바보같은 질문

xarin145 2004.05.15 00:29 내공 포인트
추천 수 ( 0 )
왜 한국에선 슈발베가 인기가 없을까요? 지금 잠시 독일에 있지만, 여기선
슈발베가 거의 시장을 독점까지는 아니더라도 엄청나게 차지하고 있는데요.
바이씨클라이프 같은 걸 읽어봐도 슈발베에 관한 리뷰는 전혀 없고, 대체로 콘티넨탈, 스페셜, 미쉐린 등등만 있네요. 콘티넨탈 같은 경우는 독일제긴 한데 경쟁에서는 슈발베한테 못 이기지요. 미쉐린도 거의 못봤어요. 고급 잔차 보면 대부분 슈발베가 기본으로 되어 있지요. 뭐 제가 관찰하고, 이것저것 따져본 결론이라 물론 '주관적'일 수 있지만, 한국에서는 왜 그럴까요? 혹시 한국 거라서 그런 건 아닐까 조심스레 조심스레 생각해봅니다. 리플 바래요.
목록 답변등록

답변 (6)

Vision-3 2004.05.15 00:34
슈발베가 한국 꺼 인가요?
0
xarin145 2004.05.15 00:35
흥아 타이어 제품이에염.
0
다리 굵은 2004.05.15 00:35
그.....약간의 참조라면....유럽쪽에서의 슈발베의 인기는 적절한기능과 싼 가격 입니다. 여기서 가격이 중요한데....유럽의 사용자들은 적어도 타이어를 다소 빠른시간에 교체를 하는 소모품으로 여기고 있기 때문 입니다. 해서 고급이던 저급이던 슈발베가 많이 장착이 되어 있지요. 대신 다른 부분이 한등급 높은 부품으로 되어 있는경우가 많습니다.(또는 가격이 낮던가...) 참조가 되셨는지....
^^*)
0
xarin145 2004.05.15 00:39
슈발베가 콘티넨탈과 경쟁 업체인데, 콘티 제푸과 비교하면 늘 2유로정도(3000원)가 쌉니다. 가격이 좋다는 건데 그와 아울러 기능면에서도 뒤떨어지지 않다면, 그리고 선택의 폭도 다른 타이어에 비해 그 종류가 엄청나다면 경쟁력이 있다고 말하고 싶군요. 저의 질문은 왜 한국에선 취급이 안되는지 그게 궁금한거지염^^
0
headake 2004.05.15 11:01
메이커 선호... 비싼거 선호.. 그런것이 많이 작용하지 않나 생각함다.. 바뀌어야 할 거시기인데... 같이 타는 미국인 엉아는 97년식 24단 짜리 갈고 닦으며 아직도 열심히 타고있죠.. 즐거운 잔차~~!
0
bloodlust 2004.05.15 12:09
한국에서 IRC 타이어가 싸구려 취급받는 거랑 비슷하지 않을까요?? ^_^
0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