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결 안된 질문

프레임 수명에 대해 한수 지도부탁드립니다.
추천 수 ( 0 )안녕하십니까??
왈바 중고장터에서 중고로 구입하였다가 샵에 갔더니 눈* 맞았다고 하더군요... 변속도 제대로 되질않고해서 조립하나하려고 하는데..
(초짜가 겁없이 도전한번해봅니다.)
가격이 만만치 않아서 프레임만 중고로 구입하여 직접 조립해보려고 합니다. ....풀샥으로 해보려고 하는데 자료를 수집하다보니 프레임 수명이라는게 나오더군요...
카본과 알미늄 프레임의 수명은 얼마나 되는지 고수님들의 한수 부탁드립니다.
왈바 중고장터에서 중고로 구입하였다가 샵에 갔더니 눈* 맞았다고 하더군요... 변속도 제대로 되질않고해서 조립하나하려고 하는데..
(초짜가 겁없이 도전한번해봅니다.)
가격이 만만치 않아서 프레임만 중고로 구입하여 직접 조립해보려고 합니다. ....풀샥으로 해보려고 하는데 자료를 수집하다보니 프레임 수명이라는게 나오더군요...
카본과 알미늄 프레임의 수명은 얼마나 되는지 고수님들의 한수 부탁드립니다.
답변 (10)

프레임의 수명이라는 것이 어떤상태를 기준으로 정하는 건지는 모르겠지만
cr-mo가 수명이 제일 짧다......현재 cr-mo를 2대째 타고 있지만 처음 들어 보는 소리네요 --;;
cr-mo에서 부식이 가장 우려 되는 부분이지만 실질적으로 보통의 사용자가 일반적으로 사용한다면
과연 부식에 의해서 사용을 못할정도 까지 갈수 있을까요?
선수들의 경우 수많은 물세차에 의해서 프렘 사용 불가까지 가는 경우가 극히 드물게 있다고는 하지만 매우 예외적인 부분입니다.오히려 알미늄 프렘의 크랙이 간 경우의 보고가 훨씬 많습니다.
간단하게 재료공학 관련 서적들을 보시면 각각 재료들,합금들의 원초적인 성질부터 수많은 경우에서의 특성들이 잘 나타나 있습니다.
참고로 보통의 알미늄 프렘의 경우 보증기간이 몇년이지만 cr-mo경우 십수년에서 수십년의 보증기간을 가지고 있습니다 ^^;;
참,cr-mo합금에서 탄성한도란 것에 대해서 여러 책들을 통해서 살펴보고,교수님들에게도 여쭤봤지만 탄성한도가 있다는 정보는 얻지 못했습니다.
제가 잘못 알고 있다면 자세한 정보를 가르쳐 주셨으면 좋겠네요 ^^))
cr-mo가 수명이 제일 짧다......현재 cr-mo를 2대째 타고 있지만 처음 들어 보는 소리네요 --;;
cr-mo에서 부식이 가장 우려 되는 부분이지만 실질적으로 보통의 사용자가 일반적으로 사용한다면
과연 부식에 의해서 사용을 못할정도 까지 갈수 있을까요?
선수들의 경우 수많은 물세차에 의해서 프렘 사용 불가까지 가는 경우가 극히 드물게 있다고는 하지만 매우 예외적인 부분입니다.오히려 알미늄 프렘의 크랙이 간 경우의 보고가 훨씬 많습니다.
간단하게 재료공학 관련 서적들을 보시면 각각 재료들,합금들의 원초적인 성질부터 수많은 경우에서의 특성들이 잘 나타나 있습니다.
참고로 보통의 알미늄 프렘의 경우 보증기간이 몇년이지만 cr-mo경우 십수년에서 수십년의 보증기간을 가지고 있습니다 ^^;;
참,cr-mo합금에서 탄성한도란 것에 대해서 여러 책들을 통해서 살펴보고,교수님들에게도 여쭤봤지만 탄성한도가 있다는 정보는 얻지 못했습니다.
제가 잘못 알고 있다면 자세한 정보를 가르쳐 주셨으면 좋겠네요 ^^))

http://www.corearoadbike.com에 가시면 자전거 구조라든지에 대해서 자세히 나옵니다.
위에분이 말씀하신 탄성한도가 짧다는 것은 극한강도가 우수하다는 얘기 아니신지? -_-a
제가 배우기로 크로몰리는 탄성이 일반 알미늄보다 휠씬 뛰어나기에 그렇다면 탄성한도가 더 크게 되는데 -_-a
위에분이 말씀하신 탄성한도가 짧다는 것은 극한강도가 우수하다는 얘기 아니신지? -_-a
제가 배우기로 크로몰리는 탄성이 일반 알미늄보다 휠씬 뛰어나기에 그렇다면 탄성한도가 더 크게 되는데 -_-a

저도 크롬몰리 타는데 다행이군요..하지만 솔직히 부식 두렵습니다. 거의 매일 프레임 체크하고 비올때는 나가기가 겁납니다.^^
카본차에 대해 쓴다면 재료의 수명보다는 프레임제조방식과 사용용도 문제입니다. 헤드,드롭아웃등에 알루미늄을 쓰고 본딩을 하면 본딩의 수명이 4~5년정도 라 생각되구요. 통짜 카본도 있지만 역시 한계가 있구요. 카본은 상당히 강한 소재이지만 연결부위나 끝부위에서 큰힘을 받으면 깨어질 가능성이 있고 역시 점으로 하중을 주면 깨어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탄성에 있어서 절대적인 위치의 카본이지만
매년 혹은 원하는 때마다 프레임을 바꿀수가 있는 레이서가 아닌이상 카본은 내구성이나 강도에서 별로라고 생각합니다. 알루미늄도 부식됩니다. 다만 그 부식된 산화막이 더이상 부식되지 않게 막아주는 역할을 해서 좋지요.하지만 알루미늄의 특성이 피로를 저장하는 문제가 있지요.
카본차에 대해 쓴다면 재료의 수명보다는 프레임제조방식과 사용용도 문제입니다. 헤드,드롭아웃등에 알루미늄을 쓰고 본딩을 하면 본딩의 수명이 4~5년정도 라 생각되구요. 통짜 카본도 있지만 역시 한계가 있구요. 카본은 상당히 강한 소재이지만 연결부위나 끝부위에서 큰힘을 받으면 깨어질 가능성이 있고 역시 점으로 하중을 주면 깨어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탄성에 있어서 절대적인 위치의 카본이지만
매년 혹은 원하는 때마다 프레임을 바꿀수가 있는 레이서가 아닌이상 카본은 내구성이나 강도에서 별로라고 생각합니다. 알루미늄도 부식됩니다. 다만 그 부식된 산화막이 더이상 부식되지 않게 막아주는 역할을 해서 좋지요.하지만 알루미늄의 특성이 피로를 저장하는 문제가 있지요.
의견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