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결 안된 질문

잔차 종류 선택에 대해서 질문드립니다,도로 주행경험 많으신분들 조언부탁합니다,
추천 수 ( 0 )지금은 알톤 뉴제드3.0 (삼십만원대임,앞뒤 샥있음)로 약 22키로 정도를 출퇴근합니다.
한 육개월 타다보니 힘도 들고,좋은 자전거 장비들이 눈에 들어와서 장비하고 타는 방식도 바꾸어 보고자 합니다,
잠실-분당-용인 코스인데요..........어떤 종류 잔차가 가장 적합할까요?
싸이클은 너무 숙이는 자세라 거시기 압박이 심할 것 같아 싫고요
조금 거친 인도도 다녀야 할것이고, 산은 안갑니다,...
속도많이 낼땐 40도 넘는것 같더라고요.......
조건은 이정도 입니다
풀샥이 좋나요?
하드태일 좋나요? .
앞뒤모두 샥이 없는게 좋나요?
그리고 크릿 패달질 하면 시간단축되냐요?
타야는 어떤 것이 좋나요?
급은 어느이상정도면 될까요?.....비싸면 좋겟지만 서도..
장거리 도로 주행에 특히 좋은 차종이 따로 있습니까?있으면 추천좀..
한 육개월 타다보니 힘도 들고,좋은 자전거 장비들이 눈에 들어와서 장비하고 타는 방식도 바꾸어 보고자 합니다,
잠실-분당-용인 코스인데요..........어떤 종류 잔차가 가장 적합할까요?
싸이클은 너무 숙이는 자세라 거시기 압박이 심할 것 같아 싫고요
조금 거친 인도도 다녀야 할것이고, 산은 안갑니다,...
속도많이 낼땐 40도 넘는것 같더라고요.......
조건은 이정도 입니다
풀샥이 좋나요?
하드태일 좋나요? .
앞뒤모두 샥이 없는게 좋나요?
그리고 크릿 패달질 하면 시간단축되냐요?
타야는 어떤 것이 좋나요?
급은 어느이상정도면 될까요?.....비싸면 좋겟지만 서도..
장거리 도로 주행에 특히 좋은 차종이 따로 있습니까?있으면 추천좀..
답변 (6)

XC하드테일이 좋을듯 싶은데요.
리지드 포크는 잔충격때문에 쉽게 피로가 올듯 싶습니다.
전 클릿을 사용안하지만 다들 평속이 올라간다고들 하시더라구요.
타이어는 슬릭보다는 세미슬릭 타이어가 좋을듯 싶습니다. 슬릭이 잘나가긴하지만 MTB에 끼면 보기도좀 그렇구<개인적인 취향> 잘미끄러지기때문에 세미슬릭이 좋을듯 싶네요.
급이라함은 부품등급이겠죠 데오레급 조금 더투자하셔서 LX정도라면충분 하리라 봅니다. 예산이 많다면 더좋은것에 눈을 돌리셔도 되겠지만 일단 로드타기에는 전 데오레도 불만은 없습니다. 좀 험악하게타서 잘부셔지는 단점이 있긴하지만.
전에 일본인 MTB타는사람에게 물어보니 장거리투어에는 알루미늄보다 무겁지만 철제 프레임을 사용한다고 하더군요. 강도가 더강하기 때문에 돌발상황에 대처하기 좋다구 하더군요,<---앞뒤로 가방달린 자전거를 말하는듯 싶네요.
전 현재 풀데오레급으로 사용중에있지만 산 로드 장거리 모두 불만없이 1.95~2.1 타이어로 커버하고있습니다.
일단 중요한건 타보시구 부족한건 보완해나가시면 어떨가요? 프레임 사이즈는 신중하게 고르세요 바꾸기 힘든 부품이니까요 ^-^
리지드 포크는 잔충격때문에 쉽게 피로가 올듯 싶습니다.
전 클릿을 사용안하지만 다들 평속이 올라간다고들 하시더라구요.
타이어는 슬릭보다는 세미슬릭 타이어가 좋을듯 싶습니다. 슬릭이 잘나가긴하지만 MTB에 끼면 보기도좀 그렇구<개인적인 취향> 잘미끄러지기때문에 세미슬릭이 좋을듯 싶네요.
급이라함은 부품등급이겠죠 데오레급 조금 더투자하셔서 LX정도라면충분 하리라 봅니다. 예산이 많다면 더좋은것에 눈을 돌리셔도 되겠지만 일단 로드타기에는 전 데오레도 불만은 없습니다. 좀 험악하게타서 잘부셔지는 단점이 있긴하지만.
전에 일본인 MTB타는사람에게 물어보니 장거리투어에는 알루미늄보다 무겁지만 철제 프레임을 사용한다고 하더군요. 강도가 더강하기 때문에 돌발상황에 대처하기 좋다구 하더군요,<---앞뒤로 가방달린 자전거를 말하는듯 싶네요.
전 현재 풀데오레급으로 사용중에있지만 산 로드 장거리 모두 불만없이 1.95~2.1 타이어로 커버하고있습니다.
일단 중요한건 타보시구 부족한건 보완해나가시면 어떨가요? 프레임 사이즈는 신중하게 고르세요 바꾸기 힘든 부품이니까요 ^-^
의견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