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결 안된 질문

체인도 위, 아래가 있나요?
추천 수 ( 0 )안녕하세요?
잔차나라 겨울바다입니다.
오늘 산에 다녀와서 모처럼 잔차를 닦고 유사정비도 하는데 체인 링크를 빼고 체인을 빼서 닦고 나서 다시 체인을 끼우고 시운전을 하니 뒤드레일러에서 드르륵 소리가 나더군요. 변속을 해도 계속 나길래 체인을 다시 빼서 뒤집어서 끼우고 시운전을 하니 소리가 안나더군요.
체인에도 위아래를 구분해야 하나요?
잔차나라 겨울바다입니다.
오늘 산에 다녀와서 모처럼 잔차를 닦고 유사정비도 하는데 체인 링크를 빼고 체인을 빼서 닦고 나서 다시 체인을 끼우고 시운전을 하니 뒤드레일러에서 드르륵 소리가 나더군요. 변속을 해도 계속 나길래 체인을 다시 빼서 뒤집어서 끼우고 시운전을 하니 소리가 안나더군요.
체인에도 위아래를 구분해야 하나요?
답변 (5)

체인링크에는 위아래가 있는것이 있지만(체인링크의 꺽여진 곡선이 체인링과 스프라켓을 감듯이 돌게) ...
체인자체만을 말할경우, 정확히 말한다면, 위아래개념이 아니라 안팎을 정할수 있습니다. 즉 체인연결핀으로 체인을 연결한 부위가 있을경우, 새체인핀을 끼우고 튀어나온 부분을 부러뜨리게 되는데, 이때 부러뜨린부분이 안쪽으로 가야 체인의 강성에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그이유는 패달링시 체인의 안쪽보다 바깥쪽이 더큰힘을 받기 때문인데, 새체인핀의 머리부분보다 부러뜨린부분이 아무래도 약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별차이는 없습니다. 쓸데없는 말을 한 것 같네요....)
체인자체만을 말할경우, 정확히 말한다면, 위아래개념이 아니라 안팎을 정할수 있습니다. 즉 체인연결핀으로 체인을 연결한 부위가 있을경우, 새체인핀을 끼우고 튀어나온 부분을 부러뜨리게 되는데, 이때 부러뜨린부분이 안쪽으로 가야 체인의 강성에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그이유는 패달링시 체인의 안쪽보다 바깥쪽이 더큰힘을 받기 때문인데, 새체인핀의 머리부분보다 부러뜨린부분이 아무래도 약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별차이는 없습니다. 쓸데없는 말을 한 것 같네요....)
의견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