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an you "speak" english?

clubkima2007.08.22 17:56조회 수 1057댓글 13

    • 글자 크기


개인적으로는 평소에 영어 조기 교육은 필요 없다고 생각하는 편이다.

그리고 심지어 일반 고등학생, 대학생 조차 영어를 배워서 써먹을 곳이 없다면

구지 그렇게 시간과 비용을 들일 필요가 있나 하고 생각하는 편이었다.


본인도 영어를 잘해야(?) 들어갈 수 있는 대학교를 나왔고
(자랑이 아니라 주변 상황의 이해를 돕기 위함이다)

또한 대학교를 다니는 중에서 원어민 교수와 함께 오직 영어로 대화하고

영어로만 사용해서 연극도 하고 해서 생활 영어 과목의 학점도 A+ 를 맞은 적도 있다.

또한 영어가 한국말처럼 들린다는 얘기를 아주 오래전에는 우스게 소리로 여겼었는데

예전 영어 공부 한창 할 적에는 AFKN 뉴스 방송을 보다가 갑자기 영어가 한국말처럼 들려서

깜짝 놀랐던 적이 있을 정도로 나름대로 영어 공부에 경력이 있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이렇게 영어를 배웠지만, 오랜 시간이 흐르고 배운 영어를 쓸 곳이 없어지자

아는 단어도 점차 흐릿해지고, 약간이나마 말할 수 있는 스피킹 능력도 퇴화되는 것 같고...

그렇게 영어를 사용할 곳이 없어지면서, 영어는 학문이 아니라 언어이므로

실제 필요할 때 공부해도 늦지 않다고 더욱 확신하게 되었다.



그런데.......

최근에 주변에 아는 미국인의 집에 머물게 되면서

식사를 마친 후 다소 긴 이야기를 하게 되었는데...

상대방이 빠른 말로 뭐라고 이야기 하는데

정말 말하고 싶은 것은 많은데 입이 떨어지지 않는 것이었다.

주절 주절 문법에 틀린 말이라도 구지 하자면 할 수 있었지만

오해가 있을 것도 같고 아는 단어도 바로 생각나지 않아서

그냥 몇마디 말로만 호응해 주고

"We need not going to church, but we need the Holy Spirit"

이라고 간단한 핵심(?) 문장 정도 밖에 말하지 못하였다.


예전에 강정화 라는 배우가 토크쇼에 나와서 자신이 유학하는 시절에

영어를 잘 못해서 말하고 싶은 바를 말하지 못해 눈물만 흘렸다는 이야기를 들었을 때는

아~ 그럴수도 있겠구나 했는데

실제로 본인이 직접 그런 상황을 겪어보니

정말로 답답하고 서글퍼지기도 했다.

영어에 투자한 시간은 많았지만 정작 제대로 공부해서 열매를 맺지는 못했다고나 할까?...

그 미국인과 대화 아닌 대화를 하면서 그 미국인이 말하는 것은 80% 정도는 알아들었으나

나머지는 말이 너무 빨라서 이해 못한 부분도 있고...

대응하는 의견을 말하고 싶고 또 머리 속에 문장이 성립되어 입으로 내뱉기만 하면 되는데

약간씩 문법에 틀리다는 것을 본인도 알고 있고... 그래서 선듯 입이 떨어지지는 않고...

실제로 미국인이 말하는 글자가 모두 문법에 딱 맞는 것은 아니겠지만,

한국인이 사용하는 주먹구구식 영어 표현과 미국인이 실제로 생활에서 사용하는 구어체는

많이 다르다.



토익 점수와 스피킹 능력과는 상관 없다는 것은 이제 공공연히 뉴스 기사로도 나오고 있고..

영어는 학문이 아니라 언어 이므로 학문을 공부하듯이 말고 언어를 배우듯이 배워야 하는 것도 알고 있고..

영어는 언어이므로 실제로 쓸 곳이 없으면 그렇게 열심히 할 필요는 없다고도

여전히 생각하지만...


상대방도 내가 자신의 말을 상당 부분 알아듣는 것을 알고는 있었지만

정작 별 다른 의견도 말하지 못한 나를 어떻게 생각했을까?....

물론 그 미국인도 한국에 오래 살면서 한국말은 거의 하지 못하니

서로간에 부끄러울 것 없이 당당(?)하게 생각할 수 있겠지만...

적어도 나 스스로 생각하기에는 참으로 부끄럽고 마음에 결심이 필요한 시간이었다.

10년 이상 투자한 시간이 아까워서라도 비록 사용할 곳이 없을지라도

최소한의 스피킹 능력을 확보해야 할 것 같다.

미국에서 살면 1~2년 정도면 충분히 회화 능력을 습득할 것 같은데
(1년 정도 일주일에 2시간 정도만 원어민과 대화해도 회화 능력이 상당 부분
진전되는 것을 볼 때, 머리 속에 단어만 충분히 입력되어 있다면 1년 정도면
일정 수준 이상의 회화 능력은 쉽게 익힐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한국에서 그런 환경을 만나기란 쉽지 않은 것 같고..

하긴 요즘 영어 회화 학원은 예전과 좀 다르게 변한 것 같지만...
(이런 환경 속에서 부실 강사 얘기도 물론 있지만....)



PS) 평소에 젤리를 좋아하는데, 과일을 얇게 썰어서 말린 젤리 형태의 제품도 있더군요.

요즘은 무인공색소, 무인공감미료 제품의 젤리도 나왔서 좋았는데,

과일을 말려서 젤리맛과 거의 동일하게 만들 수 있다는 것은 처음 알았습니다.

중국이나 우리나라에도 과일을 말린 과자 형태의 음식이 있는 것으로 아는데

비록 미국산 제품이지만 여러가지 과일을 말린 것이 정말 젤리 맛이 나게 만든 제품은

최근에 처음 먹어보니 참... 감회가 새롭네요.

우리 나라에도 이런 제품이 있을 것 같은데 어디서 파는지.... 음...





    • 글자 크기
오픈한지 한달되었습니다.. (by arena) 어쩜 한 생명 구할 지도 모르는 일인데.. (by yun3838)

댓글 달기

댓글 13
  • a few.....conglish입니다....^^:::

    건조시킨 과일류의 젤리는 식품류 수입상 같은데서 본 것 같습니다.

  • 가장 자신있게 구사하는 영어한마디..........."Hey man! What's up?"......ㅡ,.ㅡ;;;;
  • clubkima글쓴이
    2007.8.22 18:54 댓글추천 0비추천 0
    영어 배우면서 답답했던 것 중의 한가지는 노래를 들을 때 가사 중에 영어 랩 부분을 들을 때 잘 못알아 듣는 부분이 있다는 것... 그런 랩 가사는 앨범 자켓의 가사에도 표시되어 있지 않는 경우가 많더군요. 그래서 몇십번씩 반복해서 들으며 랩 가사를 해석해봤던 기억이 있네요. ^_^;;; 예전에는 한국 가수의 영어 랩이 실제 미국인에게도 자연스럽게 들리는지 궁금해서 미국에서 오래 생활한 유학생에게 물어봤는데 발음이 좋게 들린다더군요. 외국인이 한국말 하면 약간 어색하게 들리는 것처럼 미국사람이 들을 때 한국 가수의 영어 랩이 어색할까 생각했는데 대부분은 발음상 자연스러운가 보네요.
  • 랲은 대부분 슬랭이라 미국사람도 못알아 듣는 경우가 있다고 하던데요...
  • 저의 경우에는 서바이벌 잉글리쉬라서 외국인을 만나도 신나게 잘떠들고 농담도 하고 그러는 수준입니다. 그렇지만 외국인도 알고 나도 잘아는 사실 하나는 절대 문법에 충실하지 않다는것이죠.

    나름 발음만 좋다는 말 무척 많이 들었습니다. 영어 잘못하는 사람이 들으면 거의 원어민 수준의 발음이지만 아는 사람이 들으면 말은해도 서바이벌 잉글리쉬로 배운거라 문법과 별로안 친하죠

    그래서 요즘저의 고민은 문법공부해서 토익 만점맞자입니다.ㅜ.ㅡ;;
    근데 그게 무척 어렵습니다 ㅜ.ㅜ
    나보다 말못하는 애들도 점수 잘나오던데 왜 난 이모양인지.... 암만해도 노력 부족인것 같습니다.휴~~
  • 음.... 잉글리쉬... 금요일마다 외국인과 접촉하려 많이 시도하고 있습니다만,,
    접촉한다고 해서 쉽게 대화가 통하질 않더군요...다만, 술이 취하면 이상하게 서로 의사소통이 잘 되는듯 싶습니다.ㅎㅎㅎ
  • 음.....클럽키마님 말씀에 절대 동감합니다......ㅎㅎㅎ
    저는 솔직히 말하면 한국가수의 랩도 못알아 듣겠더군요...ㅋㅋㅋ
  • 아 러시아 여성과 남성이 자주 가게에 오는데 전 한국말로 합니다

    가격은 요기 컴퓨터를 가르키면서 ㅡㅡ;;

    또다른 언어를 배우고는 싶지만 마음같이 쉽게 되지 않는게 다른나라 언어인거

    같습니다~ 그냥 전 한국에서 한국말만 하고 살려구요 !!
  • 세계 공통어 ~~~~~~~~~~바비 랭귀지 ㅎㅎㅎㅎ
  • 바디 랭귀지 아닌가요 ?
  • 그런 현상이 해외에 있는 교민들에게서도 나타나더군요..
    한국에 자주 안들어오고 10년 이상 사신 분들은 한국어가 서툴어진다는...
    물론 교민들과 접촉이 많으면 그런 현상은 별로 없는데,
    미국 출장가서 교포분들을 만날 때마다 느끼는 것은,
    이분들의 한국어가 가면 갈수록 단순해진다는 거죠..

    영어도 마찬가지인거 같네요.
    어학연수를 다녀왔더라도 한동안 안쓰면 그뿐이고,
    (실제 제 경험입니다. 못하는 영어로도 6개월 이상 체류하니까 들릴만큼 들리고 말할 만큼 하게되더군요.. 물론 떠나기 전 준비도 많이 해야죠.)
    해외쪽 업무를 하면서도 업무상 한정된 내용의 말만 하다보니 외국어 사용에 한계가 생기더군요.

    그리고 한번도 배우지 못한 스페인어를 일하면서 한 3~4년간 자주 들었더니만
    자세하게는 몰라도 들으면 무슨 내용인지는 파악될 정도가 되더군요...

    오묘한 언어의 세계랍니다...
    은근슬쩍 자랑해서 죄송합니다.. ^^;
  • 아, 그리고.... 짧으나마 제가 경험한 바로는 한국말 잘하는 사람이 외국어도 잘하더군요..
    한국말로 농담 잘하면 영어로도 잘합니다... 진짜요..
  • what's up? 하면 떠오르는 이단 옆차기 사건...ㅎㅎㅎ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드디어 복구했습니다. 와일드바이크 심폐소생의 변!39 Bikeholic 2019.10.27 2520
183893 건강주의보! (MBC뉴스를 보고...)13 Bluebird 2007.09.12 1260
183892 빨라진 주행속도, 그리고 나13 shrewd 2007.09.11 1261
183891 깜빡이...13 STOM(스탐) 2007.09.10 954
183890 그런가~~?13 STOM(스탐) 2007.09.07 768
183889 스카이(형)님이 고문? 당했다!!!13 nemiz 2007.09.06 926
183888 후덜덜~~~"첫 경험"13 더블 에스 2007.09.06 1177
183887 윌리의 마지막 단계,,,13 45RPM 2007.09.06 1159
183886 강촌대회때 강촌리조트 예약해 놨는데..13 보고픈 2007.09.06 1173
183885 금산 투어링 대표가 ?13 하늘기둥 2007.09.05 782
183884 쌀집 잔차님13 줌마 2007.09.04 889
183883 mtb-school 소개 13 스타벅스 2007.09.04 1770
183882 비몽사몽13 靑竹 2007.09.03 802
183881 국가가 나서서 국력을 분열시키고있다.13 dunkhan 2007.09.02 1141
183880 헝그리 바이커가 바라본 랜스형님13 salmon25 2007.09.01 1772
183879 협상 돈 주고 한거였군요13 rsslove 2007.09.01 1391
183878 강촌대회 참가하시는 분들 계십니까.13 Bikeholic 2007.08.30 1112
183877 개그^^13 말발굽 2007.08.29 1071
183876 자전거 채널을 보려고, 월 3~4만원을 지불해야 한다면 보시겠습니까?13 elksung 2007.08.29 1445
183875 오픈한지 한달되었습니다..13 arena 2007.08.29 1219
Can you "speak" english?13 clubkima 2007.08.22 1057
첨부 (0)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