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power of 경상도 ^^

........2006.07.08 22:29조회 수 1650댓글 22

    • 글자 크기


군대에서 만난 전우들 중 전 개인적으로 경상도 말이 상당히 정감있다고 느꼈는데요.^^

1. 단디 ~ 하다 (= do동사 + completely)
표준어로 "확실히", "분명히", "단단히"란 뜻. 가까운 관계에 있는 사람끼리 주고받는 상투적인 배려의 표시다. 부산/경남지역 20대 사이에 광역적으로 번져있는 관용구이며 서울사람이 한 번 맛들일 경우 정감 어린 새시대 새주인으로 거듭날 것이다.

예제)
◆ 이번 시험은 단디 봐라.
◆ 추운데 옷 단디 입고 나가라.
◆ 미꾸자꾸 단디 메고 학교 잘 다녀와 : 주로 노인분들이 애용
※ 동의어 :학시리, 츨즈히, 메메 [me~e me~e]


2. 만다 그라노? 만다꼬? (= What"s up? / What"s going on?)
"왜그래?" , "그럴 필요가 있을까?", "쓸데없는 짓 한다" 정도로 해석할 수 있다. 화들짝 놀란척, 걱정하는 척하며 안면을 약간 찌그리거나 목소리를 구엽게 질질 끌면 걱정의 강도가 더욱 깊어진다. "만다꼬" 뒤에(!) 표가 붙으면 "다 부질없다"라는 등 극단적 해석도 가능. 실제로 부산지역 고교/대학사회에서는 짝사랑의 아픔을 이 한마디로 대신하기도 한다.

예제1)
A: 그 머스마가 니 마음에 안등다 그 카드나? 계속 꼬시보지?
B: 만다꼬. (옅은 한숨)
통상적으로 "만다꼬"는 부가의문문의 기능을 담당하여 시비조로 들릴 수 있으나, 때에 따라 연인사이에서 예술로 승화되는 모습도 목격된다.
예제2)
A: 가스나야 일로 쫌 와봐라.
B: 으은 ~ 다. 와이카노. 만다꼬 이라노 ~~♡
※ 동의어 : 갠히 그란다. 와 이카노 ~~♡, 어데 ~~?


3. 고마 쌔리, 마! (= shut the fuck up / Right away)
직설적이고 파괴본능을 감추며 살아가는 영남인의 인생관을 대변한다. 호전적이되 그 이면에는 여린 속살로 버팅기는 인간일수록 자주 애용한다. 20대는 주로 미팅에서 상처를 받았거나, 시험성적 저조할 때 사용하며, 그 밖에는 대체로 직접적인 폭력과 관련된 일부 거리의 시인들을 제외하곤 사용하지 않는 편이다.

예제) 하! 칫나? 고마 구석에 쎄리 공가가 마, 칵~~마!
하! 이거 바라바라바라, 와 째리나?
이기이기이기 하! ....그냥 도망가면 된다.
※ 동의어 : 학! 쎄리 마!


4. 문디 (= dumb ass)
1,4 후퇴의 역사적 아픔에서 비롯되어 부산지역을 중심으로 생성된 문둥병 환자에 대한 속어이다. 그 후로 용어사용에 관한 논의가 계속되다가 인기스타 강호동을 통해 전국적으로 방송망을 타게 된 불멸의 역작이다. 현재는 동질환의 발병률이 상당히 낮은 관계로 가벼운 구박을 표현하는 용어로 발전하였다. "문디" 는 친구간, 가족간 회화시 사용해도 전혀 어색함이 없고, 연인사이에 통용되도 상스러움이 없다고 인식될 만큼 지역사회에서는 이미 굵직한 한 획을 긋고 있다. 어른에게 무단으로 사용하면 소정의 벌칙을 받게 된다.

예제)
◆ 문디 자슥아, 와 인자 연락하노? (애칭적용법)
◆ 뭉디 콧구멍이 王자다! (접속어용법)
◆ 생긴거는 문디 같아도, 아는 착하드라. (간접적 애교용법)
◆ 문디 꼭 지같은 생각만 하제. (3인칭 지칭)
※ 동의어 : 등씬


5. 우야꼬 (= What can I do ? / Oh my God !)
충격적인 사건을 겪었거나, 말못할 사정으로 신체적 고통을 이겨내는 이에게 본인의 동정심과 걱정을 전달할 수 있는 단어이다. 일식 우동을 연상하시겠지만, 역시 아니올시다이다. "우야꼬"는 표준어로는 "어찌할까", 혹은 "이걸, 어쩌나"와 같은 용법으로 사용되며 이미 매스미디어를 통해 대중과 친숙한 지역사회의 용어이다. 20대가 어떻게 이런 말을 쓸 수 있느냐. 환경지배론!

예제)
◆ 우야꼬, 내가 잘몬했데이 (감탄사적용법)
◆ 많이 아프나? 우야꼬~~(고통분담의 용법)
* 변형 :시상에, 아이구야, 바라바라


6. 머째이 머째이 사회자 머째이! (= MC is cool so much!)
멋쟁이, 멋쟁이에 비음이 첨가되면서 유행한 행사용 멘트. 유난히 애교 많은 경상도 아가씨들이 기분 UP될때만 쓰는 말. 여기서 사회자는 불특정 다수의 깔삼한 남성들을 이른다. 이 문장은 여교 앞 튀김집 사장님에서부터 서면, 남포동 나이트클럽 부킹 男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영역의 남성을 사용자 임의대로 지정할 수 있으며, 퀸카로부터 이 말을 들어야만 공식적인 직업인으로 성장할 수 있다.

예제)
◆ 아저씨, 멋째이네예


7. 그그는 그기고, 이그는 이기지....! (= A and B has a different general concert or circumstances)
부산사람들은 유난히 시끄럽다. 그리고 그들 중 대부분은 냉철함보다 삶의 현장에 뛰어드는 것을 선호한다. 이것저것 전후사정을 놓고 따지기 좋아하는 이들은 위 문장을 목숨처럼 애용한다. 이러한 어조는 시내 교통사고 현장이나, 부산지방검찰청과 법원, 각 관할 구청 및 종합병원에서 쉽게 목격할 수 있다. 사용자의 감정상태에 따라 시비 가리기의 수단으로 사용될 수도 있고, 목소리 큰 깍두기들 사이의 친목용어로 활용될 수도 있다.

예제)
◆ 이 바라, 자야, 친정은 친정이고 시댁은 시댁 아이가?
◆ 돈은 돈이고, 사람 목숨은 목숨 아인기요, 고마 합의 없으이까네, 포기하고
※ 동의어 : 어데? (말로 안되는 소리 마라)


8. 으은~~다! (No.....well....mmm....is it !)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청춘의 심정을 그대로 표현한 半거절형식의 문장이다. S+V+O+C 의 복문형식에서 주술관계가 완전히 파괴된 문장으로 아무데나 갖다 붙이면 말이 된다. 발전과정에는 어린이들의 전유물로 여겨졌으나 현재는 젊은 여성층에서 많이 사용한다. 가끔 좌석버스에서 애인과 통화하는 남성으로부터 이 문장을 접할 때가 있는데 경청하지 말 것! 신의 저주가 이런 것이다. 이 때 입을 쭈삐 내밀고 연음발음을 하면 더 귀엽다. 등을 좌우로 살랑살랑 흔들어도 즉각적인 효과가 있다. 남자들이 할 경우, 음폭을 최대한 중후하게 해야 멋이 난다.
주의사항 : 부산사람이 서울말 반에 부산말 반 섞어 이야기 한다면 면박을 주자. 누가 들어도 당신이 잘했다고 할 것이다.

예제)
A: 니 오늘 내하고 영화나 한 편 때리러 갈래?
B: 으은~~다, 고마 니하고 조용히 같이 있을란다.
※ 동의어 : 이라지 마라. (자기 너무 좋아 ~)


9. 내사 괘안타...(= It"s so feel sad or To be sorry)
가지기는 싫고 남 주긴 아까운 심정을 노래한 문장이다. 주로 나비처럼 날아온 여인을 놓쳤거나, 남정네를 다른데 빼앗긴 사람들이 즐겨 쓰는 말로 "..."는 절대 안 괜찮다는 대의가 숨어있다. 수많은 아쉬움과 회한이 함축되어 듣는 이의 마음을 아프게 한다. 예외적으로 가끔 지역사회를 배경으로 한 드라마에서 중년의 여인이 이 대사를 읊을 때가 있는데, 반드시 스토리 전개를 참조해가면서 문장을 파악해야 한다.

예제)
A: 니 저번에 금마 그거 양다리 걸치가 째짓다메? 어야노?
B: 내사 괘안타 (머릿결을 날리며...이미 지나간 일이야)


10. 밥 문나? (= How about these days? / How do you do?)
"요즘 어떻게 지내?"라는 뜻. 영남 20대 지역사회인들의 일상에 가장 친숙하게 자리잡은 의미심장한 名文이다. 활용빈도가 높고 가치 함축적이라는 장점 때문에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대중적인 코드로 자리잡았다. 특히 길이나 복도에서 누군가와 지나칠 때 이 인사말은 필수적인 인간미, 표현미의 상징이다. 최근의 근황을 묻거나 걱정거리가 어떻게 해결돼 가는지도 포괄적으로 질문할 수 있으며, 심지어는 약속장소에서 연인이 만났을 때 처음 터뜨리는 애정표현 양식(내, 니 조타)으로 대체되기도 한다. 서울사람들은 월요일엔 원래 보고싶고....등의 미디어族 관용구로 공략한다.

예제) 연인을 만났을 때
A: 자야, 인자오나, 내 하나도 안보고 시픗따.
B: 대뽀까지 마라...(침묵)...밥은 문나?

"밥 문나"는 영남권 일상회화의 기본을 이룬다. 삶이 힘들고 지칠 때 문득 친구에게 전화해서 활용해 보시라.
A: 팔봉아, 내 그 가시나 때매 미치삐겠다.
B: 그래? ...(침묵)...그래 밥은 무가면서 미치겠나? (그래....니 마음 다 안다)

※ 동의어 : 어데 가노? (어디 가는 길인지 궁금해서 물어보는 것이 아니다. 그대의 인생이 어디로 흘러가는지를 묻는 것임을 명심할 것)


♧ 기타 약식 숙어
◆ 알라 오줌 만키로 : 갓난아기 오줌만큼 (매우 작은 양 = a little bit of)
◆ 됐다! 그마해라!: 이제 그만 좀 해둬! (이렇게 나오면 진짜 화난거다)
◆ 니 내 존나? : 사랑해, 니 마음은 어때?
◆ 맞나? : 오 그래?(상대방에게 장단 맞추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표현이다. 낮게 발음하면 상대방의 이야기를 듣고 있다는 증거로 입증되며, 고음 처리하면 방정맞게나마 동의한다는 심정을 표현할 수 있으므로 역시 활용빈도가 높다.)
※ 동의어 : "~글나?", "진짜가?", "대뽀아니고" 이 밖에도 성격 좋은 척 하려면 "고마 웃기" 또는 "실실 쪼개기" 등의 언어적 기술에 승부를 보라.


    • 글자 크기
여성 심리 ????????? (by maestro) 개떼 퇴치 요령 (by 시김새)

댓글 달기

댓글 22
  • 경상도 사람중에서도 특히 말이 좀 거친 사람들이 많이 사용하죠 ㅎㅎ
    그리고 경상도에도서 재미로 이런 말할 땨가 많아요.ㅋ (제 주위만 그런가 ㅋㅋ)
  •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머라카라캐싼노. 경상도분 빼고 무슨뜻인지 맞춰보시죠 ㅋㅋ
  • 상황 : 수학여행중....밤에 숙소에서 친구끼리 대화중.....

    학생1 - 다 꼬랐나?
    학생2 - 아~~진짜~가온거 다꼬랐따~
    학생1 - 좀...앵가이하지
    ^^*)
  • 타지방 사람들이 이걸 글자 그대로 읽어 내리는 순간...바보 되는겁니다. 적당한 비음과 특유의 높낮이가 들어가야 제대로 된 발음이 나오는거죠
  • 상황 : 국민학교 수학여행중....밤에 숙소에서. 방이 모자라 서울 학생 몇명과 함께 놀던 중...
    친구가 귀향 선물로 구입한 경주법주가 선반 위에 있었고, 학생들의 좌중진동으로
    선반에서 낙하하던 참에...

    갱상도 학생1 - 저게 머꼬?
    갱상도 학생2 - 아~~널찐다!~~ (떨어진다.)
    갱상도 학생3 - 어..어... 토끼라~~~(피해라.)
    .................
    상황종료.

    선반 아래 앉아있던 서울 학생 댁바리(머리)에 정통으로 낙하 바로 병원으로 후송 당함. ㅋㅎ
  • 친구들끼리 싸우다....
    카이 카지 니가 안카몬 내가 그카나?

    ????
    그렇게 하니까 그러는거다. 너가 안그러면 내가 그러겠냐?
  • 군대 다녀오면 다 해결되는 것이죠
    팔도 사투리가 골고루 머릿속에 쏘~옥~
    근디...제주도 말은 많이 겪어봐도 알쏭달쏭 하드만요...^^
  • 무한초보님의 답 : "뭐라 카노" ㅎㅎㅎ
  • 겨울에 서울에 기차타고 갔다.
    서울역에 내렸다.
    앞에 호떡 장사가 있다.
    갱상도 : 퍼떡 항개 꾸버 주~쏘!

    서울 호떡장수 : 네?

    갱상도 : 퍼떡 항캐 꾸버줄라 안캬요~참말로....ㅎㅎ

    서울 호떡장수 : 퍼떡은 없는디유?(호떡 전문점이라...)

    ㅋㅋㅋㅋㅋㅋㅋㅋ

  • 전라도 고참한테 고생하던 갱상도 사병...

    지가 고참 되니까....

    야! 수굼포 가지고 5초내로 집합....

    전라도 쫄따구들 그날 제사날...ㅋㅋ

  • 경상도 아가씨... 남대문 시장가서... 촌티 안낼라꼬..

    서울 표준말로,, 이거 얼마예요? 저건 얼마예요?? 하다가..

    좀 헐캐 해 주세요...
  • 2번문항은 우리마을에서는 "말라꼬"라고쓰며 무얼할려고~~해등으로 부정.거부.의표시임.
    `
  • "수루매 매매 좀굽어주소?"를풀이하면"오징어 바싹구어 주세요"입니다
  • 저도 각 지방의 사투리들을 다 좋아하는데 언제고 들을수록 정감이 있습니다. 요즘은 아무래도 매스컴 탓에 제대로 된 원어(?)가 점점 사라지는 느낌을 받기도 하네요.
  • 일례로 제주도 아이들 인터뷰할 때 보면 거의 표준어 쓰더군요. 가끔 심한 사투리도 섞여서 나올 법한데 신기한 일이죠..
  • 정감 가는 사투리 덕분에 즐감 했습니다...^^
    무한초보님 윽~쑤~로 건강 하시이소예~^^*
  • 거의 논문 수준이군요...

    1985년, 철원, 겨울, 야간 GOP 교대근무를 마치고 내무반으로 10분 휴식차 가는 도중...
    인솔자: 최 하사(본인- 경주), 이 일병(대구), 정 이병(청주)

    이 일병: 정 이병, 내무반에서 10분 후에 내 '깨배도'!
    정 이병: 이 일병님, '깨배도'가 뭐에유~
    최 하사: 그 것도 모리나, '께워달라' 아이가!

    웃으면서 걸어가던 그때 생각이 나네요.
    다들 잘 있는지...
  • 타지방에서 얼마간 생활하다 보면 말이 섞이는 현상을 경험합니다. 저도 모르게 자꾸 듣다보니 입에서 어중간하게 나오기는 하는데 완전하진 않고 참 어중띱니다. 서울말도 아니고 경상도말(부산말)도 아이고 저도 막 헷갈립니다.
  • 무쇠다리님의 이글은 너무 재미있기에 캡쳐해서 나중에 한번 더 정독해볼만 하네요. 제가 P시에서 T시로 이사간후 도로에서 운전자들끼리 싸우는 것을 목격했는데 참 거 대단하더군요. 영업용 택시가 뒤에서 빵빵거렸다고 승용차 운전자가 열받아서 뒤따라오는 택시를 막아서고 길로 내려왔습니다. (저는 그때 길가에서 싸움구경했습니다.) 근데 뭐라고 말하는지 너무 빨리 말해서 도무지 알아들을수가 없고 생각나는 것은 이런 말들입니다. 승용차 운전자가 약 30초간 속사포처럼 뭐라고 뭐라고 택시 운전사에게 쏴붙이더니 맨마지막에 그러더군요. 쳐라 마~! 바쁜데 가라 마~! 제가 알아들은 것은 이 말밖에 없습니다. T시에서 살아갈 일이 걱정됩니다.
  • 걱정하실필요없슴니다 똑같은상황에 당하면 30초만주시하면서 침묵을지켜보세요 1분만지나면 상대혼자지침니다.제경험상 그때논리적으로 알아듣게반박하세요........
  • 경상도 사투리가 영어로 해석되야 합니까? 굳이 영어로 해놓은 이유가 뭔지..아쉽네요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드디어 복구했습니다. 와일드바이크 심폐소생의 변!39 Bikeholic 2019.10.27 2520
186853 방금 자전거 도난당할뻔했습니다 ㅎㅎㅎ22 testery 2006.10.21 1914
186852 샵에서 물건이 팔리나요?22 환경보호 2006.10.18 2383
186851 반갑지않은 반기문유엔사무총장22 dunkhan 2006.10.17 1913
186850 자전거로 뛰어든 개22 바람천사 2006.10.07 2527
186849 비싼(?) 정품 자전거 A/S가 이 모양이라면...22 용가리73 2006.09.23 2303
186848 고 용마님 사고에 관심가져주신 모든분께 감사드립니다 -22 천리마 2006.09.11 1957
186847 얼마전 구입한 상태 A급이라는 SID샥입니다.22 mtbpark 2006.09.01 1857
186846 10000점.22 뽀스 2006.08.23 1525
186845 동호인 여러분들의 의견을 구합니다.22 karis 2006.08.15 2117
186844 사망사고 난 후지 잔차의 국과수 발표22 karis 2006.08.12 11832
186843 모험심에 불타는 소년을 만났습니다.22 digiman 2006.08.07 6053
186842 GT가 별로인가요?22 SRKOOK 2006.08.06 1721
186841 서로에 대한 예의를 지켜주세요22 callingyou 2006.07.23 1538
186840 (퍼옴)스타벅스 커피를 마시는건 팔레스타인 사람들의 피를 마시는 것22 mtbiker 2006.07.17 1686
186839 여러분들은 왜 자전거를 타십니까22 hkrs3 2006.07.09 1648
186838 여성 심리 ?????????22 maestro 2006.07.09 1802
power of 경상도 ^^22 ........ 2006.07.08 1650
186836 개떼 퇴치 요령22 시김새 2006.07.08 1649
186835 설마 mtb 동호인의 소행이라고는....22 우현 2006.07.05 2222
186834 조용한 자전거 매거진22 靑竹 2006.06.28 2259
첨부 (0)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