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해결 안된 질문

[re] 많이 잘못알구 계시네요.....

怪獸13號 2003.01.21 01:06 내공 포인트
추천 수 ( 1 )
알미늄의 밀도는 철의 3분의1 티타늄의 반정도입니다.

어쩔수 없이 튜브사이즈를 키우는게 아닙니다.
같은 강도의 파이프를 만들때 어떻게 하면 더 가벼운 파이프를
만들수 있을까의 해답중 하나가 바로 오버사이즈튜빙인 것입니다.
튜브의 사이즈가 커지면서 튜빙의 두께는 얇아지는겁니다.
그를 통해 파이프의 총무게는 줄이면서 강도는 유지시켜 나가는 것이죠.

철소재의 자전거가 오버사이즈 튜빙을 안하는 이유중 하나가
그렇게 하지 않아도 충분한 강도를 얻을수 있는것도 이유지만
오버사이즈 튜빙을 할 정도로 얇게 판을 뽑아낼정도면 파이프가 되었을때
맥주캔처럼 찌그러지는것을 피할수 없어서 입니다.

대충 이해하셨으리라 믿습니다.






>
>뭐 저도 잘은 모르지만 다르게 생각하는 부분이 있어서요.
>
>티타늄의 경우는 저도 잘 모르겠지만, 흔히 쓰는 철(보통 Cr-Mo강)과 알루미늄 강의 경우 알루미늄이 철의 비해 밀도가 정확히는 모르지만 약 2/3정도 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따라서 알루미늄으로 만든 프레임은 무게도 철 프레임의 2/3정도 나와야 되겠지만 그렇지 못한 것이 현실입니다.
>
>그 이유가 바로 강성 때문입니다. 철의 경우 Tube size가 작아도 강성을 충분히 유지해 주지만 알루미늄의 경우 Cr-Mo강의 Tube Size로는 강성을 유지할 수가 없다고 합니다. 따라서 알루미늄 강은 어쩔 수 없이 그 Tube Size를 키워 충분한 강성을 주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 결과 부피는 철보다 더 커지고 무게도 예상했던 것보다 약간 늘어나게 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
>작은 Size의 Tube는 철(Cr-Mo강)이 더 만들기 쉬운 것 아닌가 해서요.
>
>이상입니다.
>
>틀린 것 있으면 지적해 주세요.
>
>>요즘 바빠서 왈바도 자주 못들리고 오랜만에 답글다는군요 ^^;
>>
>>티타늄은 무적의 합금이라..
>>그말이 맞을지도 모릅니다.
>>보통 대부분의 프레임 빌더들은 가격을 제외하고는
>>최고의 하드테일소재로 티타늄을 언급하죠...
>>티타늄은 아시다시피 철과 알미늄의 사이에 위치한 강성과 밀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게다가 신장성이 철이나 알미늄 보다 탁월하기 때문에 좋은 소재이지요.
>>(신장성이 낮으면 프레임이 부러지기 쉽습니다.)
>>그래서 명성을 얻고있는 프레임 빌더들이라면 한번쯤은 도전해보고
>>싶어하는 분야가 티타늄하드테일입니다....................
>>적당한 강도와 무게,탁월한 신장성.........
>>가격을 제외하고는 최고의 소재처럼 보이는거도 과장은 아니죠.
>>
>>하지만 최경량의 프레임을 알미늄합금들이 차지하고 있는 이유는
>>파이프가 굵어지면 그 강도는 훨씬 높아지기 때문이죠.
>>직경이 2배가 된다면 무게는 2배지만 강도는 8배로 늘어납니다.
>>그래서 알미늄의 경우 오버튜빙으로 파이프를 굵게 하는 것이죠.
>>여기서 철과 티타늄의 비애가 나타납니다.
>>철과 티타늄은 알미늄에 비해 상대적으로 밀도가 높기 때문에
>>얇게 파이프를 뽑아낼 경우 맥주캔과 같이 찌그러져 버리는게 알미늄보다 빠릅니다.
>>그래서 철과 티탄은 아무리 얇게 파이프를 만들려고 해도 한계가 있는것이죠..
>>
>>머 대충 제가 아는정도로 적어봤습니다.
>>저도 이쪽은 전혀 문외한이구 줏어들은것들이라 틀릴지도 모릅니다.
>>참고만 하십시오.
>>
>>
>>
>>>며칠전 한스 사이트를 간만에 들어 갔습니다...
>>>
>>>악명 높은 한스였지만 사이트만큼은 한국최고라고 생각하는 접니다..^^
>>>
>>>그렇게 설명 해놓은 사이트 별루 없더군요...
>>>
>>>여기서 설명 하길... 땅으로 튜브 내려칠때...
>>>
>>>티타늄이 철보다 손이 저리는 느낌이 강하다는 겁니다...
>>>
>>>이 뜻이 강성이 강하다는 것으로 받아들였죠...
>>>
>>>
>>>그런데 일명 "잔차 백쁘로 땡기기" 라는 책에서...
>>>
>>>티타늄은 휨성이 겁나게 좋아서... 튜브를 약간 두껍게 제작...
>>>
>>>그러므로 무게차가 알루미늄이랑 바랄만큼 차이나진 않는다는 글을 읽은 접니다...
>>>
>>>
>>>여기서 머리가 살살 어지러워 지는게...
>>>
>>>강성과 휨성은 반비례라는 저의 생각이 무너지는 듯한...
>>>
>>>강성이 단단한거고... 휨성이 잘 휘는거죠?
>>>
>>>강성 높으면 직진성이 강하고 휨성은 충격흡수 잘하고...
>>>
>>>강성 높으면 충격흡수 안되고 휨성 높으면 언덕 오르기 힘들다는 뜻아닌감???
>>>
>>>그렇담 타이타늄은 휨성과 강성을 다갖춘 무적은 메탈인가???
>>>
>>>
>>>글쓰니까 더 헷갈리네...
>>
>
목록 답변등록

답변 (3)

j2wzzang 2003.01.21 07:54
그런데 맥주캔은 알루미늄아닌가여?
0
怪獸13號 2003.01.21 08:53
알미늄이죠...물론 프레임튜빙은 맥주캔보다 두꺼우니 안 찌그러집니다.그렇게 찌그러지는 한계점에 도착했을때의 무게가 철과 티타늄이 알미늄에 대비하여 무겁다는거죠.
0
怪獸13號 2003.01.21 08:54
소재보다는 튜빙디자인을 통해 강도를 확보할수 있기 때문에 소재보다는 디자인이 중요한겁니다.유명프렘의 지오메트리,유명회사의 튜빙..그래서 선호하는거죠.
0

aliaff20210323.jpg



위로